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서울시 독성
물질 중독관
리센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베이킹소다 구연산 과탄산소다 안전하게 사용하기

요약 테이블
출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천연세제 삼총사로 불리는 베이킹소다, 구연산, 과탄산소다는 친환경 세제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요. 집집마다 집안 청소와 세정, 세탁을 목적으로 천연 세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출처: www.unsplash.com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베이킹소다

베이킹소다는 무독성이고 부작용이 적어 식용으로도 사용되는 안전한 물질인데요.

베이킹소다는 염기성을 띄는 물질이고, 일반적인 생활 오염들과 악취는 산성을 띄고 있습니다. 이 둘이 만나면 결합하여 수용성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깨끗하게 닦이게 됩니다.

약 염기성으로 눈에 들어가면 가벼운 점막 자극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Q. 베이킹소다와 구연산을 섞으면 가스가 나오는데 몸에 해로울까요?

베이킹소다와 구연산을 섞으면 중화 반응이 일어나면서 부산물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데요. 욕실처럼 밀폐된 공간에서 많은 양을 섞으면 두통, 구토, 호흡곤란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구연산

구연산은 오렌지, 레몬 등의 과일에도 포함되어 있는 천연 성분이며, 구연산 수용액은 중간 정도의 산성으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모두 분해할 수 있습니다.

물때의 경우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물질이 주로 침착되어 발생하므로 구연산과 접촉하면 분해반응을 일으켜서 쉽게 제거가 됩니다.

구연산 수용액은 산성이기 때문에 눈과 피부, 호흡기에 노출되었을 때 자극을 줄 수 있는데요. 특히 흡입할 경우 기침이나 호흡 곤란, 목의 통증을 일으키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Q. 구연산과 락스를 혼합해서 사용해도 될까요?

구연산을 락스와 혼합해 사용할 경우 인체에 해로운 염소 기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혼합해서 사용하면 안 됩니다.

과탄산소다

과탄산소다는 강한 염기성 물질로 물과 섞이게 되면 탄산나트륨과 과산화수소로 분해되면서 살균과 표백작용을 나타냅니다.

베이킹소다와 달리 알칼리성이 강해 식용이 아니므로 식품이나 식기류에 사용해서는 안되며, 맨 손으로 만지거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눈에 들어가면 점막 손상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천연세제 안전하게 사용하기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 & 사용한다.
수용액을 어린이의 손이 닿는 곳에 두면 실수로 마실 수가 있어요.
조미료와 혼동될 수 있으므로 세제를 보관하는 장소에 따로 보관하세요.

2. 락스와 혼합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유독한 염소 가스가 발생할 수 있어요.

3. 분무 사용을 되도록 피한다.
구연산, 과탄산소다는 흡인되면 호흡기 자극이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꼭 필요한 경우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4. 경구 노출 시 억지로 구토하지 않는다.
소량 노출은 괜찮아요. 증상이 없으면 지켜보세요.

5. 피부, 점막에 노출된 경우 흐르는 물로 충분히 씻어낸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과탄산소다가 눈에 들어간 경우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세요.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누구나 쉽~게 노케미 하우스, 정채림]
  • ・ [발생상황에서 본 급성중독 초기대응 포인트, 일본중독정보센터]

출처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도서 소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의 예방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정보입니다. 생활환경 속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와 예방법을 전달합니다.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베이킹소다 ・ 구연산 ・ 과탄산소다 안전하게 사용하기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