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물질 중독관
리센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화장품류의 일반적 독성정보
출처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
---|
우리가 흔히 화장품이라고 통칭하는 제품들에는 바디케어, 메이크업, 헤어케어, 방향제, 그리고 입욕제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화장품류는 인체에 사용하는 물질인 만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화장품 안전기준에 관한 규정' 등에 의하여 엄격하게 안전성이 관리되는데요.
자연 갈변 샴푸로 국내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샴푸가 화장품 사용금지 원료로 새로이 지정된 1,2,4-트리하이드록시벤젠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판매 중지 행정예고를 받았던 사건은 이러한 안전성 관리를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화장품류의 독성은 높을까요?
화장품류 중에서도 베이비 로션 등 아기 전용 화장품들은 무독 또는 독성이 낮은 물질로 분류되며, 소량에서 중등량의 섭취에도 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크림류는 보습 및 유분 보급을 위한 제품으로 약한 소화기 자극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파우더류는 피부 색조를 보완하는 메이크업 용품으로 독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흡인한 경우에는 폐렴이나 호흡부전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매니큐어류는 아세톤을 포함하고 있어 가벼운 소화기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나 독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헤어케어 제품들에는 계면활성제, 에탄올, 유분 또는 과산화수소 등이 포함된 경우가 많으며 대량 복용하거나 노출시에 에탄올에 의한 중독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입욕제는 다양한 종류의 성분을 포함하며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등 여러 형태의 제품이 시판되고 있는데요. 성분 대부분은 무독성이거나 독성이 낮지만, 유황이나 다황화칼슘을 포함한 제품은 대량 섭취 시 심각한 중독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상당한 주의를 요합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의 예방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정보입니다. 생활환경 속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와 예방법을 전달합니다.
전체목차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화장품류의 일반적 독성정보 –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