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표백공정은 흰 천을 만들거나, 변색 방지를 위한 정리가공에서 사용된다. 표백제로는 흔히 염소·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하이포아염소산칼슘·과산화수소 등이 사용된다.
1774년 셸레가 염소를 발견하고 1785년 베르톨레가 염소의 표백성질을 증명하였다. 1799년 테넌트가 만든 표백분은 천과 종이를 표백하기 위해 대량생산되었다. 표백분은 1920년대까지 계속 표준 표백제로 사용되었으나, 그후 액화염소와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 용액으로 점차 대체되었다.
표백분은 소석회를 염소 기체와 접촉시키거나, 석회를 분사시켜 만든다. 과산화수소는 면 표백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대체물로는 아염소산나트륨과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이 있다.
표백공정은 흰 천을 만들거나, 다른 가공품을 위한 직물 제조 또는 다른 공정에서 생기는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리가공에서 사용된다. 표백제로는 흔히 염소·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하이포아염소산칼슘·과산화수소 등이 사용된다.
1774년 스웨덴의 화학자 카를 빌헬름 셸레가 염소를 발견하고 1785년 프랑스의 화학자 클로드 베르톨레가 염소의 표백성질을 증명할 때까지 주요표백제는 햇빛이었다.
1799년 스코틀랜드의 화학자 찰스 테넌트가 도입한 염소와 소석회를 결합해 만든 표백분은 그후 천과 종이를 표백하기 위해 대량생산되었다. 이것은 염소와 같은 효과를 지녔으며 더 쉽게 취급 및 수송할 수 있으나 불안정하고 상당 부분의 비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었다. 표백분은 1920년대까지 계속 표준 표백제로 사용되었으나, 그후 액화염소와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 용액으로 점차 대체되었다.
표백분은 납이나 콘크리트로 된 커다란 4각형 연소실의 바닥에 펼쳐져 있는 소석회를 염소 기체와 접촉시키거나, 기체가 공급되는 수평관을 통해 석회를 분사시켜 만든다. 과산화수소는 현재 면을 표백하는 데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대체물로는 아염소산나트륨과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이 있다. 목재와 동물성 섬유는 이산화황 같은 산성 환원제로 표백한다. 펄프와 제지공업에서는 흔히 이산화염소·과산화수소·과산화나트륨·이산화황·아황산수소나트륨·히드로아황산나트륨이 사용된다. 합성 섬유는 섬유의 화학적 조성에 따라 산화제나 환원제로 표백한다.
광학 표백제, 즉 푸른 색을 띤 백색 빛을 내는 형광 백색 화학약품은 진정한 표백제가 아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