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서울시 독성
물질 중독관
리센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건조제 실리카겔

요약 테이블
출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식품 포장 안에 들어있는 ‘먹지 마세요(DO NOT EAT)’라는 글귀가 적힌 주머니의 투명한 알갱이들을 물에 넣어본 적 있으실까요?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알갱이들은 실리카겔이라고 하는 수분을 흡수하는 화학물질로 식품이나 의약품을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첨가된 건조제인데요.

실리카겔을 물에 넣으면 톡톡 튀는 것처럼 느껴지는데 이는 실제로 튀는 것이 아니라 실리카겔의 미세한 구멍으로 물이 들어가 흡수될 때 생기는 소리입니다. 실리카겔이 물을 흡수하게 되면 물이 닿은 겉부분은 급격하게 팽창을 하지만 아직 물이 채 스미지 못한 알갱이의 내부는 부피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있게 되어 결국 균열이 일어나면서 ‘틱’하고 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건조제란?

습기에 취약한 식품이나 의약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첨가한 물질들을 건조제라고 부르는데요. 이러한 건조제에는 단순히 수분을 빨아들이는 물리적 건조제와 수분과 반응해 수분을 없애는 화학적 건조제가 있습니다.

물리적 건조제

종류
실리카겔, 알루미나, 클레, 제올라이트 등

실리카겔(Silica gel)은 조미 김이나 건조식품, 새로 구매하는 신발 내부 등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건조제인데요. 실리카겔은 실리카(이산화규소)가 주성분으로 구성된 다공성 물질로 수분을 잘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은 무색투명하나 파란색 제품도 볼 수 있는데요. 이는 파란색 염화코발트가 수분과 결합 시 색상이 분홍색으로 변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건조제 교환 필요 여부를 보여주기 위해 염화코발트를 색소로 첨가하였기 때문입니다

물리적 건조제 예시: 실리카겔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화학적 건조제

종류
석회건조제, 염화칼슘, 황산구리, 오산화인 등

석회 건조제(산화칼슘)은 주로 김이나 전병 등의 쌀 과자에 사용되는 데요. 수분과 반응하여 발열하고 알칼리인 수산화칼슘을 생성합니다.

염화칼슘은 의류용 건조제의 주원료이며 도로변의 제설에 쓰이는 하얀 가루가 바로 이 물질인데요. 무게 대비 5배 이상 습기를 빨아들일 수 있으나 물을 많이 흡수하면 액체 상태가 됩니다.

화학적 건조제 예시: 산화칼슘, 염화칼슘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건조제는 인체에 어떤 독성을 나타낼까요?

대표적인 건조제인 실리카 겔은 화학적인 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며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다량 섭취할 경우 장에서 분해되지 않고 물리적인 폐색을 유발할 수 있으며, 팽창해서 깨진 유리질 파편이 점막에 상처를 줄 수 있어 먹어서는 안됩니다.

또한, 염화코발트가 코팅되어 있는 경우 소화기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염화코발트는 발암물질(2B등급, 국제 암 연구소)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산화칼슘은 화학 작용 시 열을 일으켜 발열로 인한 점막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대사물질인 수산화칼슘은 알칼리 물질로 점막의 화학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염화칼슘은 쓴 맛으로 대량 섭취는 드물지만, 점막 자극 작용으로 구역,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구 노출 시에는 안구 통증이나 안구의 표재성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건조제를 실수로 잘못 섭취하였을 경우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 입안에 남아있는 것을 바로 뱉게 합니다. 스스로 뱉거나 가글이 어려운 소아의 경우에는 입안을 확인하여 제거하고 깨끗한 수건으로 닦아냅니다.

* 건조제로 인하여 화학적 ・ 물리적 점막 손상이 발생한 경우는 구토 유발 시 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억지로 토하게 하지 말아야 합니다.

2. 건조제가 눈에 들어갔을 때에는 눈을 비비지 않도록 주의하고 즉시 흐르는 물에 30분 이상 충분히 헹구어 내도록 합니다.

3. 다량 섭취하거나 노출이 되었을 경우, 이상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평가를 받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발생상황에서 본 급성중독 초기대응 포인트, 환경부&환경독성 환경보건센터
  • ・ 실리카겔 식품첨가물 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
  • ・ "Silica Gel: Non-Toxic Ingestion with Epidemiologic and Economic Implications." The Israel Medical Association Journal: IMAJ 17.10 (2015): 604-606.
  • ・ "Management of Calcium Oxide Intoxication." Prehospital and Disaster Medicine 16.S1 (2001): S65-S66.
  • ・ Calicium hloride, Hazardous Substances Data Bank (HSDB), https://pubchem.ncbi.nlm.nih.gov/source/hsdb/923
  • ・ Calcium oxide,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https://www.cdc.gov/niosh-rtecs/EW2F4D60.html

출처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도서 소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의 예방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정보입니다. 생활환경 속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와 예방법을 전달합니다.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건조제 ・ 실리카겔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