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서울시 독성
물질 중독관
리센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진드기 물림 사고 예방법과 제거법

요약 테이블
출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진드기 매개 감염병 월별 발생현황 (2019~2022년)

출처 : 질병관리청 감염병 누리집. (2019~2022년 월별 통계).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대표적으로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이 있는데요.

쯔쯔가무시증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일부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며, 진드기에 물린 후 10일 이내 발열, 오한 등의 증상과 물린 부위에 가피(검은 딱지)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전체 환자의 80% 이상이 털진드기 유충의 활동 시기인 9-11월에 집중 발생합니다.

    • 1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형성된 가피

      출처 : 2023년도 진드기 설치류 매개 감염병 관리지침, 질병관리청

    • 2활순털진드기

      출처 : 2023년도 진드기 설치류 매개 감염병 관리지침, 질병관리청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는 주로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일부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진드기에 물린 후 4-15일 이내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납니다.

SFTS 환자는 참진드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기인 4월~11월 사이에 발생하는데, 특히 10월에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아직 특별한 치료제나 예방백신이 따로 없어 진드기 물림 예방 및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참진드기에 물린 흔적

출처 : 2023년도 진드기 설치류 매개 감염병 관리지침, 질병관리청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작은소피참진드기

출처 : 2023년도 진드기 설치류 매개 감염병 관리지침, 질병관리청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감염병명 쯔쯔가무시증 SFTS
발생원인 - 쯔쯔가무시균(Orientia tsutsugamushi)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
- SFTS 바이러스(Dabie bandavirus, SFTSV)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려 발생
주요 증상

특징
- 잠복기는 10일 이내
- 주요 증상은 발열, 오한,
근육통, 발진, 두통 등
- 진드기에 물린 부위
검은 부위(가피, eschar) 관찰
- 잠복기는 5-14일(중앙값 9일)
- 주요증상은 발열, 피로감,
소화기계 증상, 근육통, 두통,
신경계 증상
치명률 - 국내, 약 0.1-0.3%
*2011~2022년 누적
- 국내, 18.7%
* 2013~2022년 누적
- 백신, 치료제 없음
출처 : 2023년도 진드기 설치류 매개 감염병 관리지침, 질병관리청
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발생 원인과 주요 특징

진드기에 물린다고 해서 무조건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국내에서 서식하는 진드기 중 극히 일부만 감염병을 옮길 수 있으므로, 너무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 질병관리청이 실시한 전국 진드기 채집 조사 결과에 따르면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진드기는 0.5%의 최소 양성률을 보였다고 보고하였습니다.

하지만 진드기에 물린 뒤 6~14일(잠복기) 이내에 고열과 함께 구토, 설사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진드기 사고 예방법

1.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2.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를 씻어 햇볕에 말리기
3.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4.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5.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6. 야외 활동 이후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있지 않은 지 확인하기

진드기 제거법

올바른 진드기 제거법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핀셋을 이용하여 피부에 밀착시켜 진드기를 잡는다.

2. 진드기를 비틀거나 누르지 않고 바로잡아 당겨서 제거한다.

3. 제거한 진드기를 밀폐된 용기에 넣는다.

* 병원을 방문하게 되면 보관한 진드기나 사진을 가지고 방문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진드기에 물린 피부를 소독제로 깨끗이 소독하고 소독연고를 바른다.

* 알코올, 매니큐어, 바셀린을 바르거나 불 붙인 성냥 사용과 같은 민간 요법은 피부 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5. 2주 이내에 고열, 구토, 설사와 같은 이상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지 관찰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2023년도 진드기 설치류 매개 감염병 관리지침, 질병관리청]
  • ・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수칙, 대한감염학회]
  • ・ [Tintinalli’s Emergency Medicine 9th edition, Ch 161. Zoonotic infections]

출처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도서 소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의 예방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정보입니다. 생활환경 속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와 예방법을 전달합니다.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진드기 물림 사고 예방법과 제거법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