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물질 중독관
리센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아이스 팩
출처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
---|
아이스 팩이란?
아이스 팩은 포장재 안에 냉매를 넣어 오랫동안 낮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품인데요. 최근 온라인 쇼핑몰에서 신선식품이나 냉장식품을 주문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아이스 팩 사용도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분리수거할 때 별도로 아이스 팩용 분리수거함을 설치할 정도로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제품이 되었습니다.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상담 사례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에는 다음과 같은 사례들이 접수되었습니다.
- 가정에서 찜기에 아이스 팩이 들어있는지 모르고 고기와 야채를 쪄 먹은 후 걱정되어 문의
- 가정에서 물에 담가둔 갈비에 아이스 팩이 터져 내용물이 들어감. 물로 헹군 후 섭취 여부 문의
- 2세 아이로 가정에서 소프트 타입의 아이스 팩(추정)을 이로 뜯음. 내용물을 먹었는지 알 수 없지만 걱정되어 문의
아이스 팩의 냉매 성분
아이스 팩의 냉매로는 어떤 성분들이 사용될까요?
물 | - 가장 흔하고 안전한 성분이지만, 다른 냉매보다 냉각 효과가 짧습니다. - 어는 점을 낮추기 위해 소량의 소금을 첨가하기도 합니다. |
---|---|
고흡수성 수지 | - 젤 형태로, 기저귀에도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 안전하고 재사용이 가능하지만, 찢어지면 젤이 새어나올 수 있습니다. |
프로필렌글리콜 | -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안전한 물질로, 냉각 효과가 오래 지속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
아이스 팩 노출 시 대처방안
식품 냉각용 아이스 팩은 무독성, 식품 안전 성분을 사용하므로 소량 노출되어도 인체에 무해합니다.
하지만 일부러 먹지 마세요!
• 물 성분이라도 식음료용으로 사용하지 마세요.
• 프로필렌 글리콜은 소량 노출 시 안전하지만, 다량 섭취하면 의식변화, 대사성 산증, 간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노출사고 발생 시 이렇게 대처하세요!
• 내용물이 새서 피부에 묻었다면 흐르는 물로 씻어내세요.
• 눈에 들어갔다면 깨끗한 물로 15분 이상 씻어주세요.
• 내용물을 삼켰을 때는 입안을 물로 헹구고 뱉어내세요.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친환경 아이스팩 사용 실태조사, 한국소비자원(2021.4.)]
- ・ [발생상황에서 본 급성중독 초기대응 포인트, 일본중독정보센터]
출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의 예방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정보입니다. 생활환경 속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와 예방법을 전달합니다.
전체목차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아이스 팩 –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