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서울시 독성
물질 중독관
리센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물림 사고에 주의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독사들

요약 테이블
출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뱀독은 단백질과 폴리펩티드에 여러 물질들이 혼합된 복잡한 자연독소라고 하는데요. 같은 종류라고 하더라도 지역이나 뱀이 섭취하는 먹이에 따라서 뱀독의 성분과 비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독소가 몸에 주입되면 출혈, 수포, 피부 변색 및 궤양 등 국소적인 증상뿐만 아니라 현기증, 구토, 발열, 시각장애, 두통, 호흡곤란 등 다양한 전신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독사들은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한국에 서식하는 독사는 바다뱀을 제외하면 살모사, 쇠살모사, 까치살모사, 유혈목이가 있는데요.

뱀과인 유혈목이를 제외한 나머지 3종은 모두 살모사과에 해당하는 독사입니다. 이중 까치살모사는 신경독과 출혈독 둘 다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는 모두 출혈독 계열 독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살모사

방언
실망이, 까치독사, 독사, 흰점박이, 부에기

한국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지역에 골고루 분포하고 있는데요.

머리 양쪽이 흰 백선이 선명하게 있고, 꼬리가 노란 것이 특징입니다. 등에 새겨진 둥근 반점 무늬는 엽전모양으로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습니다.

살모사

원작자: 김태우, 저작권재산권자: 국립생물자원관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쇠살모사

방언
부독사, 불독사, 부예기, 사시, 부기

살모사와 비슷한 둥근 무늬를 갖고 있으나, 꼬리 끝이 검은 색을 나타내어 구별점이 되는데요. 맹독성의 독을 가지고 있어, 동물 실험 결과에서는 살모사 3종 중에서 가장 강한 독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쇠살모사

원작자: 도민석, 저작재산권자: 국립생물자원관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까치살모사

방언
칠점사, 칠점백이, 까치독사, 점치

한국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지역에 골고루 분포하고 있는데요.

머리에 7개의 점이 있다고 하여 칠점사로 불리기도 하며, 정수리에 거꾸로 된 V자 모양의 무늬가 있고, 눈에서 목까지 흰 선이 없는 것이 살모사와 구별점입니다.

다른 두 종의 살모사와 달리 신경독성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까치살모사

원작자: 김현태, 저작재산권자: 국립생물자원관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유혈목이

방언
꽃뱀, 늘메기, 너불데기, 너불메기, 화사

몸 빛깔은 지역에 따라 다르나, 대개는 녹색 바탕에 불규칙한 무늬가 있습니다. 무늬는 붉은 색이며 목의 무늬는 노란색이고 검정무늬가 등선 양쪽에 있습니다.

예전에는 독이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이후 독액이 혈관의 내벽을 손상시켜 출혈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유혈목이

원작자: 송재영, 저작재산권자: 국립생물자원관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뱀 물림 사고의 많은 경우에서 뱀을 목격하지 못하거나, 본인이 무엇에 물렸는지 모르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독사의 종류에 따른 초기치료법이 다르지 않기 때문에 무리해서 뱀을 포획하려고 하거나 서식지를 뒤져보는 행위는 2차 물림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삼가야 합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한국산 독사의 생태학적 특징 및 독성, 교상빈도에 관한 조사 및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2(1):58-77.1998]
  • ・ [한국 뱀 교상에 대한 항뱀독소.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6.12 (2013): 1091-1103]
  • ・ [한국산 독사교상의 임상적 특성."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 51.1 (1996): 119-127]

출처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도서 소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의 예방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정보입니다. 생활환경 속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와 예방법을 전달합니다.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뱀 물림 사고에 주의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독사들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