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서울시 독성
물질 중독관
리센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니코틴 액상 전자담배의 위험

요약 테이블
출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최근 액상 전자담배의 보급 증가와 더불어 니코틴액의 유독성이 알려지고 관련 규제도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자담배는 여전히 기호품이라는 이유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고, 전자담배를 가정에서 보관하면서 오용에 대한 사고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특히나 니코틴액 용기 모양이 안약과 유사하여 오용하는 사고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니코틴액에 첨가된 향으로 인해 음료로 오인하여 사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전자담배 배출물에 일반적으로 흡연자와 간접 흡연자 모두에게 해로운 니코틴 및 기타 독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는데요.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기의 니코틴 섭취는 뇌 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나중에 담배를 피우기 시작할 가능성이 두 배로 증가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전자담배 사용은 심장 질환 및 폐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임산부의 니코틴 노출은 태아의 뇌 발달에 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전자담배 관련 위해 내용별 현황

출처 : 한국소비자원 (2015.05.19) 전자담배 니코틴 오 ・남용 우려 높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따르면 구토, 가슴통증, 구강내염증 등 사용 후 부작용 사례가 가장 많았고(31.7%), 니코틴 액상을 유아가 가지고 놀다가 빨거나 눈에 넣은 사례들(4.8%)도 보고되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9년 국내 유통되는 153개 액상형 전자담배의 액상을 대상으로 주요 유해성분의 검출여부 및 검출된 화학물질의 독성학적 평가를 실시하여 발표하였습니다.

니코틴은 중독을 유발하는 직접적인 물질로 호흡기, 점막, 피부, 장을 통하여 흡수될 수 있습니다. 경구를 통한 니코틴 중독 시 구강 및 식도, 위의 점막에 통증 및 자극을 주어 구토, 복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니코틴은 노출 농도에 따라서도 여러가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
고농도 노출 호흡근 마미로 인한 호흡 부전, 경련, 혈압저하, 심정지, 서맥
저농도 노출 구역, 구토, 혈압상승, 어지럼, 빈맥, 빈호흡
니코틴 노출 농도에 따른 여러가지 증상
※ 니코틴 치사량 : 성인 0.5-1mg/kg (6.5-13mg/kg으로 보고한 연구들도 있음)
LD50, 경구복용 소아 0.1mg/kg (2mg이하 용량으로 사망한 사례 있음)

불가피할 수 있는 가정 내 유독물질, 이러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가정 내 유독물질 보관 방법은?

• 어린 아이들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주의하여 보관한다.
• 별도의 상자나 잠금 장치가 있는 보관함에 보관한다.
• 음료수와 오인할 수 있는 다른 용기에 옮겨 담아 두지 않고 원래 용기에 보관한다.
• 원래 용기에 보관이 어려운 경우 다량 노출 사고 방지를 위하여 소량으로 나누어 보관한다.

전자담배와 니코틴 액상 급성 중독 시 주의사항

• 눈에 들어 갔을 때
절대 눈을 비비지 말고, 흐르는 물에 즉시 20분 이상 세척 후 안과 진료를 받으세요. 니코틴의 화학적 성분으로 인해 결막염, 각막염, 충혈, 따가움, 눈곱, 시력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먹었을 때
소아의 경우 소량으로도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피부를 통한 체내 흡수도 빠르기 때문에, 소량이라도 소아가 섭취 또는 접촉 시 의료기관을 즉각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세요.

• 의도적으로 니코틴 용액을 복용했을 때에는 고농도 노출의 위험이 높습니다.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거나 실신, 의식저하, 경련, 호흡곤란 등의 이상증상이 있을 때에는 즉각 119에 신고하세요.

인용문
“가장 좋은 방법은 금연입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국민건강증진법 시행령 제27조의2 담배의 구분]
  • ・ [전자담배 관련 최신 답변, WHO. https://www.who.int/news-room/questions-andanswers/item/tobacco-e-cigarettes ]
  • ・ [Gordon, Terry, et al. "E-Cigarette toxicology." Annual Review of Pharmacology and Toxicology 62 (2022): 301-322.]
  • ・ [E-Cigarettes and Liquid Nicotine, American’s Poison Centers, https://www.aapcc.org/track/ecigarettes-liquid-nicotine ]
  • ・ [Walley, Susan C., et al. "A public health crisis: electronic cigarettes, vape, and JUUL." Pediatrics 143.6 (2019).]
  •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한국소비자원(2015.05.19),https://www.ciss.go.kr/www/selectBbsNttView.do?bbsNo=85&nttNo=12594&key=189]
  • ・ [Goldfrank's Toxicologic Emergencies, 11th E, Ch 82 Nicotine, p1204]
  • ・ [국내 액상형 전자담배 내 유해 의심성분 분석결과 발표,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2019.12.12.)
  • ・ [Actual condition survey on electronic cigarette. Seoul: Korean Consumer Safety Center. 2009.]
  • ・ [Yang SY et al. Acute nicotine poisoning due to electronic cigarette liquid: systematic review of case repor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2020]

출처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도서 소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의 예방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정보입니다. 생활환경 속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와 예방법을 전달합니다.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니코틴 액상 ・ 전자담배의 위험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