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물질 중독관
리센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가정용품 속 독성물질 전지류
출처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
---|
단추형 전지의 종류에는 알칼리전지, 아연 공기전지, 코인형 리튬전지 등이 있는데요. 전지가 식도나 귀, 코안에 걸려있게 되면 방전하여 점막 표면의 체액을 전기분해하고 궤양이나 천공 등의 점막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단추형 전지 중 코인형 리튬전지는 크기가 커서 삼킬 경우 식도에 걸리기 쉽고, 전압이 높아 손상이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이 짧기 때문에 즉시 소아 내시경이 가능한 응급실을 방문해 제거를 시도해야 합니다.
원통형과 각형 전지들도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지들인데요. 단추형 전지와는 달리 장관 내에 머무를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체내에 머무르면 이물질이므로 기계적인 손상이 있을 수 있으며, 내부의 화학물질(염화아연, 염화암모늄, 수산화칼륨 등)이 유출되면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점막 자극 증상을 유발하거나 점막 손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전지류는 삼킬 경우 자연적으로 배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체내에 지속해서 머무르면 유출된 화학물질이 국소적인 반응을 넘어 인체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다 사용한 전지라도 완전히 방전되었다고는 할 수 없으며 독성 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를 바랍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의 예방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정보입니다. 생활환경 속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와 예방법을 전달합니다.
전체목차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가정용품 속 독성물질 전지류 –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