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서울시 독성
물질 중독관
리센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자동차 세차용품

요약 테이블
출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세차용품 종류

자동차 세차용품에는 다양한 종류들이 있고 구성 성분도 제조사에 따라 다양합니다.

세차용품 주성분
카샴푸 에탄올, 계면활성제, 방부제(파라벤), 인공색소 및 향료 등
자동차왁스 밀랍, 유기용제(석유계 탄화수소, 글리콜류, 알코올), 계면활성제, 실리콘, 연마제 등
유리세정제 계면활성제, 알코올, pH조절제, 방습제 등
실내 ・ 휠 크리너 에탄올, 아세트산, 계면활성제, 벤즈알데하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등
실내 ・ 휠 코팅제 에탄올, 유기용제, 계면활성제, pH조절제, 광택제 및 향료 등
유막 제거제 연마제(알루미늄 옥사이드, 실리콘, 칼슘 카보네이트 등),
세정보조제(글리콜 메틸 에테르), pH조절제 등
윈도우 워셔액 에탄올, 계면활성제 등

위험 성분

세차용품은 목적과 제조사에 따라 다양한 구성 성분을 가지지만 공통적으로 계면활성제와 에탄올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계면활성제나 에탄올은 경구로 섭취할 경우 소화관 점막 자극에 의한 구역질, 구토, 복통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눈이나 피부에 노출될 경우는 점막 자극으로 인하여 발진이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에탄올은 체중이 적은 소아에서는 저혈당, 중추신경억제 등 심각한 중독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소량 노출각주1) 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가와의 상담을 필요로 합니다.

또한, 윈도우 워셔액은 기존에는 겨울철 빙결 방지를 위해 메탄올을 주로 사용하여 소량 노출에도 심각한 중독 증상을 유발할 수 있었는데요. 이러한 인체 위해성을 이유로 국내에서도 2018년 1월 1일 이후부터 메탄올이 주성분인 워셔액의 유통 및 판매가 금지되었고, 현재는 에탄올이 주성분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현재는 워셔액의 메탄올 함량을 0.6% 이하로 규제하고 있습니다.
MSDS 예시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이외에도 세차용품은 제조사에 따라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는 만큼 제조사별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를 이용하여 정확한 성분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물질안전보건자료는 전 세계에서 시판되고 있는 화학 물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명세서로 화학 물질의 유해성 및 위험성, 노출 시 응급조치 요령 등도 설명하고 있어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제품 구매 후 해당 물질의 MSDS를 얻기 위해서 홈페이지를 확인해보거나, 제조 및 판매 회사에 전화하여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Tintinalli’s Emergency Medicine, Ch. 185 Alcohols p1222-1232
  • ・ 직업성 메틸알코올 급성중독 진료지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 워셔액 안전실태조사(2019년 12월), 한국소비자원

출처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도서 소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의 예방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정보입니다. 생활환경 속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와 예방법을 전달합니다.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자동차 세차용품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