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서울시 독성
물질 중독관
리센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나프탈렌 중독과 예방법

요약 테이블
출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나프탈렌은 자극성 냄새를 지닌 백색결정의 물질로 살충제, 방부제, 탈취제, 그리고 가정용으로는 좀약으로 이용되고 있는데요.

과거 집집마다 옷장 한구석에 신문지로 싼 나프탈렌은 좀약의 대명사처럼 사용되어 왔으며, 유해성이 여러차례 지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쉽게 구입이 가능하며 여러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나프탈렌은 사람에게 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지정되어 있으며, 환경부에서도 2021년 나프탈렌 좀약 판매와 사용금지 하려던 것을 유보해 유해성 평가를 실시 중인 만큼 가정 내 중독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나프탈렌의 사용은 상당한 주의를 필요로 합니다.

나프탈렌에 노출되면 어떠한 중독 증상이 발생할 수 있을까요?

급성중독

나프탈렌에 경구 노출되면 구토, 복통, 설사, 식욕부진 등 위장관 장애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

특히 나프탈렌은 가정용품 중에서도 비교적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나프탈렌이 함유된 좀약을 한 알이라도 어린이가 섭취하게 되면 혈액 세포에 손상을 가져오는 용혈성 빈혈이 유발되거나 경련, 호흡부전 등 심각한 중독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나프탈렌 증기는 눈, 피부, 호흡기관 등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흡입할 경우 두통, 혼란, 메스꺼움, 피로, 구토, 발한, 혼미 등을 유발하는 중추신경계통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나프탈렌에 장기간 노출되면 어떠한 유해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을까요?

만성중독

나프탈렌에 만성으로 중독되면 말초신경염과 만성신부전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체 상태의 나프탈렌을 장기간 흡입하여도 신장과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발암성

국제암연구소에서는 2002년부터 나프탈렌을 사람에게 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물질 (발암성 등급 2B)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나프탈렌의 유해성을 파악해 2013년부터 나프탈렌을 특정수질유해물질각주1) 로 분류하였습니다.

가정 내에서 나프탈렌 중독사고는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요?

• 시중에는 나프탈렌을 대체할 수 있는 인체에 무해한 제품들이 있습니다.

천연성분(예 : 숯, 삼나무 조각, 아로마 오일 등)으로 만들어진 대체품을 이용하면 나프탈렌으로 인한 중독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불가피하게 나프탈렌 좀약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면, 아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두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어린이들의 담요와 옷 혹은 어린이가 있을 수 있는 장소에는 나프탈렌을 함유한 좀약을 두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나프탈렌을 사용한 옷장은 창문을 열고 자주 환기를 시켜주세요.

나프탈렌을 사용한 보관 의류는 충분히 환기를 시켜 나프탈렌 향이 없어진 후 입거나 세탁하는 것이 좋습니다.

• 좀약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겨울에는 사용을 자제하세요.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및 출처

  • ・ [생활주변 화학물질 바르게 알기, 국립환경과학원]
  • ・ [발생상황에서 본 급성중독 초기대응 포인트, 가정용품 편]
  • ・ [국제암연구소(IARC), http://www.iarc.fr/]
  • ・ [미국 환경보호청(EPA, http://www.epa.gov/iris/]
  • ・ [HSDB(Hazardous Substances Data Bank), TOXNET (Toxicology Data Network),
  • ・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toxnet.nlm.nih.gov/cgi-bin/sis/htmlgen?HSDB]

출처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도서 소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의 예방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정보입니다. 생활환경 속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와 예방법을 전달합니다.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나프탈렌 중독과 예방법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