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물질 중독관
리센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페인트와 시너의 유해성
출처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
---|
페인트란?
각종 안료(색소)와 수지(피막형성제), 유기용제, 첨가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페인트는 희석 후 점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며,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페인트를 수성, 시너(Thinner)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페인트를 유성이라고 합니다. 시너는 주로 벤젠, 자일렌, 톨루엔, 아세톤 등의 유기용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휘발성으로 악취의 원인이 됩니다.
유해물질이 우리 몸에 흡수되는 경로를 보면, 유기용제의 가스나 금속분진이 호흡기를 통해 흡수되어 중독증상을 일으키는 것이 주된 경로이며, 유기용제의 경우 지방질을 잘 녹이는 성질이 있어 피부로도 흡수될 수 있습니다.
•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신나는 일본식 표기이며 시너가 표준어입니다.
페인트나 시너에 포함된 유해물질은 무엇이 있을까요?
(1)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상온에서 대기중으로 쉽게 증발하는 유기 화합물입니다. 고농도에 노출되면 수분에서 수시간 안에 눈과 목 등의 점막 자극증상과 함께 중추신경 억제 증상(나른함, 취하는 느낌, 두통, 구역질 등)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저농도에서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 지각 장애(감각이상 등), 인지장애(기억력 저하, 혼돈 등), 정서장애(신경질, 불안, 우울, 무관심 등), 운동장애(사지 무력감, 작업수행능력저하, 협조운동저하, 피로, 떨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발암성 및 백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임산부가 VOC에 빈번하게 노출될 경우 저체중아나 조산아를 출산할 위험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2) 이소치아졸리논계 혼합물 및 화합물
페인트의 부패방지를 위한 보존제 및 곰팡이 서식 방지제 등의 용도로 사용합니다. 새집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으며, 페인트 작업자들이 겪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의 주된 원인 물질입니다. 피부에 노출될 경우 발진, 알레르기, 부식성 증상,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천식 및 비염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중금속
페인트의 색상, 광택, 내구성 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 납, 카드뮴, 6가 크롬, 수은 등이 있습니다. 도장 과정 중에 분진이나 가스의 형태로 작업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체내로 흡수될 수 있어 주의를 요하며, 도장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유해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나 녹이 생기거나 표면이 벗겨진 곳을 어린 아이가 먹는다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국내 중금속 함량 안전기준은 국제 기준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으며, 납의 경우 2019년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국내 판매중인 제품*들 중 절반이 넘는 제품에서 납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일부는 국내 안전기준을 초과한 수치를 보였습니다.
• 국내 판매중인 18개 유성 페인트 제품들을 조사하였으며, 일반 소비자들도 구매 제한없이 대부분의 제품들을 온라인을 통해 구입이 가능하였습니다.
실내용 페인트의 경우, 한국소비자원이 2018년 실시한 안전실태조사에서는 전제품에서 중금속(납, 카드뮴, 6가 크롬, 수은)은 불검출 되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페인트로 인한 중독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페인트 사용 중 또는 사용 후 반드시 환기한다.
페인트는 밀폐된 장소에서 사용할 경우 유해물질 흡입으로 인한 실신, 질식으로 인하여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밀폐된 장소에서 페인트, 시너의 사용을 피하고 사용 중 및 사용 후 반드시 환기가 필요합니다.
• 제품 구입 시 VOCs, 중금속 함량 등 표시사항을 확인한다.
가정에서는 석회/점토 유형이나 친환경 등의 라벨이 붙은 페인트를 선택하는 것이 유해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사용 중에는 반드시 보호구를 착용한다.
페인트 사용 시에는 보호의, 장갑, 앞치마,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합니다. 피부에 묻을 경우 시너로 닦지 말고 세척 비누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씻어냅니다.
• 사용 후 반드시 밀봉하고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 실내공기질 측정기를 활용한다.
실내공기질 측정기를 활용하여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페인트, 시너 작업 이후 실내공기질 측정기를 활용하여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NIOSH. DHHS(NIOSH) Organic Solvent Neurotoxicology. 1987 Publication N0. 87-104]
- ・ [직업성 신경계질환, 만성유기용제중독, 한국산업안전공단(2005)]
- ・ [휘발성유기화합물 함유기준, 환경부, http://m.me.go.kr/mamo/web/index.do?menuId=3425]
- ・ [Chang, Moonhee, et al. "The effect of prenatal TVOC exposure on birth and infantile weight: the Mothers and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study." Pediatric research 82.3 (2017): 423-428.]
- ・ [실내용 페인트 안전실태 조사, 한국소비자원(2018.6.), http://www.kca.go.kr]
- ・ [도료 및 용제의 안전한 취급요령, 한국산업안전공단(2004)]
- ・ [2019 페인트 납 검출시험, 노동환경건강연구소]
- ・ [Kim HM, et al. A case of lung necrosis and abscess after paint thinner inges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2 (2009): 219-222.]
출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의 예방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정보입니다. 생활환경 속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와 예방법을 전달합니다.
전체목차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페인트와 시너의 유해성 –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