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물질 중독관
리센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형광등 속 수은 바로알기
출처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
---|
형광등? 수은 중독?
형광등, 특히 컴팩트형 형광등에는 소량의 수은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이 수은은 기체 상태로 존재하며, 형광등이 깨졌을 때 방출될 수 있습니다.
수은 독성
수은은 신경계, 면역계, 신장에 해로울 수 있는 중금속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특히 증기 형태의 수은은 흡입될 수 있으며, 장기간 노출되면 체내에 축적되어 다양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급성 중독 시 발생할 수 있는 증상
호흡기
기침, 호흡곤란, 기관지염 등
신경계
두통, 현기증, 불안, 떨림 등
소화기
구역, 구토, 복통, 설사 등
수은 중독의 발생 가능성은?
수은 함량이 높은 형광등은 2020년 3월부터 제조 및 판매가 금지되어, 현재 구매할 수 있는 대부분의 형광등에는 수은 함유량이 매우 낮거나 없는데요.
따라서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환경에서 형광등이 깨질 경우 일회성 노출로 인하여 수은 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형광등이 깨졌을 때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 깨진 형광등 주변의 창문을 열어 즉시 환기하세요.
• 수은 증기는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로 최소한 15분 이상 충분히 환기하세요.
2. 적절한 보호장비를 갖추고 청소하세요.
• 일회용 장갑과 보호 마스크를 착용하세요.
• 진공청소기 사용은 피하세요.
* 수은 증기를 공기 중에 분산시켜 노출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테이프나 물티슈를 이용하여 미세한 조각이나 파우더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3. 청소 후 손과 얼굴을 깨끗이 씻고 잔해물은 밀폐하여 폐형광등 수거함에 버리세요.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ATSDR). Health Effects Associated with Exposure to Mercury. https://wwwn.cdc.gov/TSP/MMG/MMGDetails.aspx?mmgid=46&toxid=22. Accessed on 22nd Nov.]
- ・ [Shadnia S, Soltaninejad K. Clinical Manifestations of Mercury Poisoning in a Family. BMC Emerg Med. 2010;10:7]
- ・ [환경부 누리집(www.me.go.kr) 법령/정책정보, 미나마타협약]
- ・ [발생상황에서 본 급성중독 초기대응 포인트 가정용품 편, 일본중독정보센터]
- ・ [What to Do If You Spill More Mercury Than the Amount in a Thermometer,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SA, https://www.epa.gov/mercury/what-do-if-you-spill-more-mercury-amount-thermometer]
출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의 예방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정보입니다. 생활환경 속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와 예방법을 전달합니다.
전체목차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형광등 속 수은 바로알기 –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