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서울시 독성
물질 중독관
리센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염모제의 일반적 독성정보와 노출 대처법

요약 테이블
출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사람들의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건강 뿐만 아니라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중 아름답고 건강한 모발에 대한 관심은 남녀노소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것으로, 머리카락은 단순한 털이 아니라 건강과 젊음의 상징이 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외모 관리를 목적으로 염모제를 찾거나 새치를 없애기 위해 염모제를 사용하는 장·노년층이 증가하면서 염모제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데요.

하지만 염모제로 인한 부작용들이 지속적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염모제 유통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염모제는 유지기간에 따라 일시적인 염모제, 반영구염모제 및 영구염모제로 크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일시적인 염모제

색소가 모발의 표면에만 물리적으로 흡착. 1회 샴푸로 염색이 사라짐.

제품
컬러헤어스프레이, 컬러파우더, 헤어틴트, 헤어마스카라

반영구염모제

색소 자체가 모발 내부나 모발 표면의 큐티클 층에 침투하여 흡착

제품
코팅컬러, 산성컬러, 헤어 매니큐어 등

영구염모제

색소 형성 물질이 모발 내부에 침투하여 화학변화를 일으켜 불용성 색소 형성

제품
산화형 염모제, 비산화형 염모제

새치머리 또는 흰머리를 염색할 때에는 영구염모제가 주로 사용되는데요. 흔히 시중에서 살 수 있는 영구염모제는 비산화형 염모제와 산화형 염모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산화형 염모제의 경우 1제와 2제를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분류 배합목적 성분들
산화형 염모제
제1제
염모제 주성분 p-페닐렌디아민, p-아미노페놀,
p-톨루엔디아민, 레조시놀,
m-아미노페놀, m-페닐렌디아민 등
알칼리제 암모니아, 모노에탄올아민 등
겔화제 이소세틸알코올 등
용제 이소프로필알코올 등
모발 보호제 트리오닌, 판테놀 등
산화방지제 암모늄치오글라이콜레이트,
에리소빅애씨드 등
기제 프로필렌글라이콜
산화형 염모제
제2제
산화제 과산화수소수 등
pH 조절제 과붕산나트륨 등
비산화형 염모제 염모제 주성분 황산철, 로그우드추출물,
피로갈롤 등
출처 : 잘 알고 사용하면 젊음과 멋을 주는 염모제, 식품의약품안전처
염모제의 분류와 성분들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염모제 관련 부작용 통계에 따르면 피부발진, 피부염, 진물 등의 피부 관련 증상(94.8%)이 주요한 부작용으로 보고되었는데요.

이는 염모제의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디아민계열 성분, 아미노페놀,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이 모두 알레르기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디아민계열 성분은 항원성이 매우 강해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안구통증, 시력손상, 안구이물감 등의 안구 관련 증상(4.8%) 및 두드러기, 탈모, 머리카락 손상, 주름, 변색, 두통 등 다양한 증상들이 보고되었습니다.

염모제에 노출된 이후 독성 증상이 의심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 염모제를 사용하기 전 꼭 패치 테스트(Patch test)각주1) 를 확인하세요.

염모제 사용의 주된 부작용은 피부 관련 증상입니다. 염모제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전 반드시 패치 테스트를 실시하여야 합니다.

• 과거 염모제 사용 시 발진, 가려움 등 부작용이 발생했다면 염모제를 사용하지 마세요.

• 두피에 상처가 있는 경우, 머리나 얼굴, 목덜미에 부스럼, 상처 등 피부병이 있는 경우 염모제 사용을 삼가세요.

• 임신 중 또는 임신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염모제를 사용하지 마세요.

• 목욕 중에는 땀이나 물방울 등을 통해 염모제가 눈에 들어 갈 염려가 있어 염모제 사용과 목욕을 동시 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 파마제와 염모제를 동시에 사용하면 모발 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1-2주 간격을 두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염색약이 눈에 들어가면 눈을 비비지 말고 흐르는 물에 30분 이상 충분히 헹구어 낸 뒤 안과 진료를 받으세요.

염모제에 포함된 과산화수소가 각막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증상이 없어도 진료를 통하여 손상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셀프염색 관심늘며 염모제 3,500억원대 시장 급부상, Cosmetic Mania News, 2021.10.23]
  • ・ [세계 염모제 시장 52조원 급성장… 고령화 타고 4년새 45%나 커져, 조선일보, 2022.04.23]
  • ・ [미국 머리 염색제 시장 정보, 한국무역협회 뉴욕지부 보고서(2022)]
  • ・ [잘 알고 사용하면 젊음과 멋을 주는 염모제, 식품의약품안전처]
  • ・ [염모제 안전실태조사, 한국소비자원(2020)]
  • ・ [김윤신, 노희영. (2008). 염모제의 유해성 고찰과 안전실태에 관한 연구.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출처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도서 소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의 예방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정보입니다. 생활환경 속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와 예방법을 전달합니다.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염모제의 일반적 독성정보와 노출 시 대처법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