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갯벌에서 심
해까지

도요새의 쉼터, 갯벌

다른 표기 언어

도요새는 우리나라 서 · 남해안 갯벌에서 에너지 보충과 휴식을 취한 다음, 목적지를 향해 떠나는 엄청난 거리의 여정을 매년 반복한다. 월동지인 남반구의 호주와 뉴질랜드까지 약 7,000km, 번식지인 북반구의 러시아 툰드라 습지까지 약 4,000km를 비행하는 것이다. 매년 지구의 한 바퀴를 도는 대이동. 이들의 긴 여정에서 중간 쉼터인 우리 갯벌은 도요새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장소임에 틀림없다.

큰뒷부리도요

ⓒ 아카데미서적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 갯벌은 예외 없이 밀물과 썰물을 반복한다. 때문에 갯벌 바닥의 먹이를 먹는 도요새는 밀물 때를 맞춰 식사를 해야 한다. 그래서 전체 식사 시간 중, 64%는 낮 시간에, 34%는 밤 시간에 맞추어 먹이를 먹는다. 인천 강화도 여차리 갯벌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무게 39g의 작은 민물도요는 먹고, 걷고, 날기 위해서 하루에 약 57kcal의 에너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작은 민물도요는 자신에게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엄청난 양의 갯벌 생물들을 먹는다. 왕좁쌀무늬고둥 1,500여 마리, 서해비단고둥 870여 마리, 둥근입기수우렁이 560여 마리, 비틀이고둥과 기생고둥 900여 마리, 그리고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40여 마리 등 하루에 총 3,870여 마리의 갯벌 생물을 먹는다. 민물도요가 서 · 남해안 갯벌에서 봄과 가을 약 2.5개월씩 총 150일 동안 머문다고 가정했을 때, 갯벌을 찾아오는 10만 마리의 도요새들은 이 시기 580억 마리 이상의 갯벌생물을 먹어 치우는 셈이다.

서해비단고둥

ⓒ 아카데미서적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수우렁이(좌), 비틀이고둥(우)

ⓒ 아카데미서적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우리의 갯벌은 그냥 단순한 의미의 ‘갯벌’이 아니라, 지구촌에서 보호해야 할 많은 바닷새들에게 먹거리와 휴식처를 제공하는 중요한 터전인 셈이다. 그러므로, 갯벌에 살고 있는 단 한 마리의 바닥 생물이라 할지라도 이들은 생물의 다양성을 보전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손민호 집필자 소개

해양생태기술연구소 대표, 한국패류학회 부회장이며 부경대학교 이학박사 수료했다.

출처

갯벌에서 심해까지
갯벌에서 심해까지 | 저자손민호 | cp명아카데미서적 도서 소개

우리 바다의 해양 생물에 대하여 쉽고 재밌게 배우고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했다. 해양수산부의 지원과 바다생물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이 그동안 바다에서 직접 확인하고 관찰..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도요새의 쉼터, 갯벌갯벌에서 심해까지, 손민호, 아카데미서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