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갯벌에서 심
해까지

갯벌

다른 표기 언어 mud flat

육지와 바다의 경계에서 육지인 듯 바다인 듯 드넓게 펼쳐져 있는 갯벌. 잠시 일상에서 벗어나 확 트인 갯벌을 바라보면 갯벌은 마치 온 세상이 멈춘 듯 고요하고 평화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그 안에서는 수많은 생명들이 쉴 새없이 먹고 이동하며 치열한 삶을 꾸려가고 있다. 뭇 생명이 펼쳐가는 삶의 터전이자 자연의 보물창고인 갯벌, 세상의 가장 낮고 깊숙한 그곳으로 떠난다.

갯벌

ⓒ 아카데미서적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갯벌이란?

갯벌은 갯가, 즉 바닷가의 넓은 벌판이란 뜻이다. 이곳은 바닷가의 평편하고 물의 흐름이 완만한 곳에 물속의 흙알갱이들(퇴적물)이 내려앉아 만들어진다. 이러한 넓은 벌판 중에서 퇴적물이 펄로 된 곳은 펄갯벌, 모래로 된 곳은 모래갯벌 그리고 펄과 모래, 작은 돌 등이 섞여 있는 곳은 혼합갯벌(혼성갯벌)이라 한다.

갯벌

ⓒ 아카데미서적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갯벌종류 생물분류 대표적 생물
펄갯벌갑각류칠게, 농게, 세스랑게,방게 등
조개류가무락, 가리맛, 갈색새알조개 등
고둥류왕좁쌀무늬고둥, 갯우렁이,
검정비틀이고둥, 깨고둥, 민챙이 등
기타흰이빨참갯지렁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등
모래갯벌갑각류달랑게, 엽낭게, 그물무늬금게, 범게 등
조개류맛조개, 백합, 민들조개, 빛조개, 개량조개 등
고둥류큰구슬우렁이, 비단고둥, 서해비단고둥 등
기타검은갯지렁이류, 날개갯지렁이류
혼합갯벌
(혼성갯벌)
갑각류무늬발게, 풀게, 민꽃게 등
조개류바지락, 복털조개 등
고둥류총알고둥, 털군부, 애기털군부 등
기타털보집갯지렁이, 개맛, 납작벌레 등
갯벌의 종류가 다르면 그 곳에 사는 생물도 다르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갯벌의 전체 면적이 약 2,500㎢에 달한다. 이는 서울 면적의 6배에 해당하는 넓이로, 갯벌에는 720여 종류에 이르는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다. 우리는 흔히 갯벌에 가면 바지락, 맛, 낙지, 해삼, 게, 갯지렁이 등이 모두 한 곳에 모여 산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람들도 입맛이 달라 저마다 좋아하는 음식이 다르듯이, 갯벌생물 또한 제각기 좋아하는 먹이가 달라 갯벌의 종류마다 살아가는 생물의 종류도 다르다.

권역 행정구역 대표적
갯벌 생물
염생식물 바닷새
경기
충청
경기도굴, 바지락, 동죽,
낙지, 가무락, 피조개
칠면초, 해홍나물, 기수초,
갈대, 모새달
저어새, 개리
충청남도바지락, 가무락,
갯지렁이, 개불
해홍나물, 칠면초검은머리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전라전라북도바지락, 가무락,
동죽, 개량조개
갈대, 해홍나물,
칠면초, 갯잔디
가창오리,
민물도요
전라남도
서부
굴, 낙지, 칠게,
두토막눈썹참갯
지렁이(청충)
퉁퉁마디, 해홍나물, 칠면초,
갈대, 갯잔디
노랑부리백로,
중부리도요
전라남도
동부
꼬막,
새꼬막, 바지락, 굴
기수초, 갈대,
칠면초, 갯잔디
흑두루미,
검은머리갈매기
경상
제주
경상남도바지락, 피조개,
굴, 새꼬막
갯잔디, 천일사초, 갈대큰고니,
뒷부리도요
제주도-순비기나무,
갈대, 갯잔디
흑로, 흰물떼새
우리나라 갯벌의 지역별 대표 생물들
펄갯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물들 - a. 민챙이, b. 봄철에 발견되는 민챙이 짝짓기, c. 민챙이가 산란한 젤리 주머니 모양의 ‘알덩이(난괴)’

ⓒ 아카데미서적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펄갯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물들 - d. 흰이빨참갯지렁이, e. 비단고둥, f. 대수리(산란 장면), g. 쏙

갯벌은 저마다 생물의 먹이가 될 수 있는 먹이환경이 달라 갯벌의 종류마다 살아가는 생물 또한 다르다.

ⓒ 아카데미서적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강과 바다의 만남, 기수역
기수역이란 강과 바다가 만나는 합류 지역으로 강이나 하천의 하구(기수역, 흰색 점선 동그라미)를 일컫는다. 이곳에서는 짠 바닷물과 강이나 하천의 민물이 만나서 특이한 생태계를 구성한다.

그래서 바다와 강의 생태적 특징이 모두 나타난다. 특이하게 밀물과 썰물 시기에 따라 완전한 바다생태계에서 다시 민물 생태계로 변하기 때문에 강과 바다에 사는 다양한 생물을 만날 수 있다.

강과 바다가 만나는 합류 지역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손민호 집필자 소개

해양생태기술연구소 대표, 한국패류학회 부회장이며 부경대학교 이학박사 수료했다.

출처

갯벌에서 심해까지
갯벌에서 심해까지 | 저자손민호 | cp명아카데미서적 도서 소개

우리 바다의 해양 생물에 대하여 쉽고 재밌게 배우고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했다. 해양수산부의 지원과 바다생물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이 그동안 바다에서 직접 확인하고 관찰..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진봉면 갯벌
다른 백과사전
  • 갯벌 조수가 드나드는 바닷가나 강가의 넓고 평평하게 생긴 땅. 출처 다음백과


[Daum백과] 갯벌갯벌에서 심해까지, 손민호, 아카데미서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