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강구는 사람들이 징그럽고 혐오스럽게 생각하는 바퀴벌레의 사투리이다. 그런데 우리바다에도 강구가 있다. 바로 ‘갯강구’이다. 갯강구는 바닷가라는 의미의 ‘갯’에 강구와 닮은 외모가 더해져 붙여진 정식 이름이다. 하지만 강구와 갯강구는 엄연히 다르다. 강구는 파리나 모기와 같은 곤충류에 속하지만 갯강구는 게나 새우와 같은 갑각류에 속한다. 이처럼 갯강구는 바다 생물임에도 불구하고 특이하게 거의 공기 중에서 살아간다. 육지 생활에 완전히 적응된 바다생물인 것이다.
특히 고깃배들이 드나드는 선착장이나 갯바위 주변에서 봄, 여름철에 흔히 볼 수 있는데 약간 지저분한 곳을 좋아하는 잡식성이다. 이들은 자신에게 위험이 닥치면 정말 다급한 상황이 아니고는 결코 바다에 뛰어드는 경우가 거의 없다. 그러나 움직이는 속도가 워낙 빨라 굳이 바다에 뛰어들지 않더라도 육지에서 충분히 피할 수 있는 순발력을 갖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전체목차
수중암초
산호
수중암초의 생태
수중암초의 다양한 생물들
- 보라해면(류)
- 축해면
- 예쁜이해면
- 융단안장말미잘
- 검은반점헛뿔납작벌레
- 넓적부리이끼벌레
- 긴자루석회관갯지렁이(신칭)
- 솜털꽃갯지렁이
- 톱날염주발갯지렁이
- 붉은눈바다거머리
- 비단군부
- 한국군부
- 납작소라
- 구멍삿갓조개
- 큰뱀고둥
- 제주개오지
- 주홍토끼고둥
- 보살고둥
- 상감청자고둥
- 파래날씬갯민숭붙이
- 검은테군소
- 여왕갯민숭달팽이
- 긴꼬리갯민숭달팽이
- 예쁜이갯민숭이
- 노랑납작갯민숭달팽이
- 왕벗꽃하늘소갯민숭이
- 긴갯민숭이
- 하늘소큰도롱이갯민숭이
- 겹지붕굴
- 갈매기무늬붉은비늘가리비
- 돌조개
- 갈매기조개
- 끄덕새우
- 얼룩참집게
- 게붙이
- 범얼룩갯고사리
- 방패연잎성게
- 짧은가시거미불가사리
- 빨강불가사리
- 아팰불가사리
- 문어다리불가사리
- 긴팔불가사리
- 주름불가사리
- 돌기해삼
- 눈해삼
- 방사딸기만두멍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