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먼 바다와 달리, 먹이가 풍부한 해안에는 더욱 다양한 바닷새들이 살고 있다. 주로 겨울철에 잠수하면서 먹이를 찾는 아비, 회색머리아비, 큰회색머리아비, 흰부리아비 등은 해안가의 민물 지대나 염습지에서 번식하고 해안이나 바다에서 생활한다. 그리고 잠수의 대가 큰논병아리, 검은목논병아리, 뿔논병아리, 귀뿔논병아리 등도 민물이 바다와 만나는 하구나 해안가에서 볼 수 있는 바닷새이다.
세상에서 가장 큰 새
먼 바다에 사는 알바트로스는 비행하는 모습이 신선을 닮았다 해서 ‘신천옹’이라고도 부른다. 바닷새 중 가장 긴 날개를 가진 새로 독수리나 갈매기보다 더 멀리더 높게 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날개를 활짝 펴고 고공비행을 하면 그 어마어마한 위력에 다른 새들은 이내 기가 죽고 만다.
신천옹의 날개는 길이도 길지만, 폭이 좁다. 바다 위를 높이 날기 위해서 날개가 바람을 쉽게 탈 수 있는 구조로 돼 있기 때문이다. 이런 형태의 날개는 날갯짓을 적게 하면서 먼 거리를 비행할 수 있고, 넘실거리는 바다 물결을 타고 바람이 불어오면 이 기류를 이용해 적은 에너지로도 바다 위를 마음껏 날 수 있다. 바닷새들의 대부분은 이처럼 길고 좁은 날개와 바다에 부는 바람을 효과적으로 이용해서 오랫동안 날아다닌다.
지구에서 가장 빠른 새
군함조는 활짝 편 날개 길이가 약 2.5m에 달하는 큰 새로, 다른 바닷새에 비해서 매우 긴 꼬리를 갖고 있다. 여기에 길고 좁은 날개를 이용하여 이 세상 바닷새 중 가장 빠른 시속 400km의 속도로 날 수있다. 바위나 높은 절벽 또는 무인도의 나무 위에 둥지를 틀고 무리를 지어 번식한다. 특히 수면 위를 낮게 날다가 주로 물고기와 오징어 등을 잡아먹지만, 다른 물새들이 잡은 먹이를 공중에서 빼앗아 먹기로 유명하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전체목차
- 보라해면(류)
- 축해면
- 예쁜이해면
- 융단안장말미잘
- 검은반점헛뿔납작벌레
- 넓적부리이끼벌레
- 긴자루석회관갯지렁이(신칭)
- 솜털꽃갯지렁이
- 톱날염주발갯지렁이
- 붉은눈바다거머리
- 비단군부
- 한국군부
- 납작소라
- 구멍삿갓조개
- 큰뱀고둥
- 제주개오지
- 주홍토끼고둥
- 보살고둥
- 상감청자고둥
- 파래날씬갯민숭붙이
- 검은테군소
- 여왕갯민숭달팽이
- 긴꼬리갯민숭달팽이
- 예쁜이갯민숭이
- 노랑납작갯민숭달팽이
- 왕벗꽃하늘소갯민숭이
- 긴갯민숭이
- 하늘소큰도롱이갯민숭이
- 겹지붕굴
- 갈매기무늬붉은비늘가리비
- 돌조개
- 갈매기조개
- 끄덕새우
- 얼룩참집게
- 게붙이
- 범얼룩갯고사리
- 방패연잎성게
- 짧은가시거미불가사리
- 빨강불가사리
- 아팰불가사리
- 문어다리불가사리
- 긴팔불가사리
- 주름불가사리
- 돌기해삼
- 눈해삼
- 방사딸기만두멍게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해안가에서 생활하는 바닷새 – 갯벌에서 심해까지, 손민호, 아카데미서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