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테이블
소재지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길촌길 61-2 (엄길리 432-1)
지역 영암

장동사(長洞祠)는 1677년(숙종 3) 임진왜란 공신 전몽성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사당으로 형제인 전몽진과 전몽태를 함께 모시고 있다.

본래 전몽성(全夢星, 1561~1597)을 추모하기 위해 영암군 서호면 장천리 장동마을에 창건된 장동사는 1706년(숙종 32)에 사우를 중수하면서 전몽진(全夢辰)을 추배했다. 1836년(헌종 2)에 전몽태(全夢台)를 배향하여 현재 3형제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1868년에 서원철폐령에 의해 철거되었다가 1946년에 지역 유림의 발의로 현재의 위치인 엄길리에 이건 복원했다.

전몽성은 1592년 의병대장 고경명을 따라 제1차 금산성 전투(1592. 07. 09.~07. 10.)에 참가했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함평현감에 제수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 때는 유장춘(柳長春), 동생 전몽진 등과 힘을 합쳐 율치에서 싸웠다. 영암 월출산으로 진을 옮긴 후 장흥, 영암, 강진 등지에 침입한 일본군을 격퇴하다가 전사했다. 사후에 병조참판의 직위가 내려졌다. 장동사는 1987년 6월 1일 전라남도 기념물 제109호로 지정되었다. 천안 전씨 종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천안문(외삼문)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덕립문(내삼문)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장동사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왼쪽부터 천안문, 덕립문, 장동사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현우 집필자 소개

일본 야마구치대학 경제학부 졸업, 미국 오클라호마 주립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석사), 미국 하와이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저서로 <한국정당통합운동사>, <한국국회론>..펼쳐보기

출처

임진왜란의 흔적
임진왜란의 흔적 | 저자김현우 | cp명한국학술정보 도서 소개

한국에는 임진왜란의 역사를 담은 유적과 유물이 지역 곳곳에 분포해있다. 전란의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해 전국에 있는 임진왜란 현장과 남겨진 흔적들을 지역별로 정리하여 기..펼쳐보기

전체목차
Ⅱ.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부산 · 경남) 경남 거제 경남 거창 경남 고성 경남 김해 경남 남해 경남 밀양 부산 경남 사천 경남 산청 경남 양산 경남 의령 경남 진주 경남 창녕 경남 창원 경남 통영 경남 하동 경남 함안 경남 함양 경남 합천
Ⅲ. 왜구 · 일본의 침공과 대응 왜구 · 일본을 경계하다 조선통신사의 귀국보고 백성들, 스스로 구제하다 임진왜란의 기록 조선을 사랑한 일본인 사야가
Ⅳ.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대구 · 경북) 경북 경산 경북 경주 경북 고령 경북 구미 경북 군위 경북 김천 대구 경북 문경 경북 봉화 경북 상주 경북 성주 경북 안동 경북 영덕 경북 영양 경북 영천 경북 예천 울산 경북 울진 경북 의성 경북 청도 경북 청송 경북 포항
Ⅵ.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광주 · 전남) 전남 강진 전남 고흥 전남 곡성 전남 광양 광주 전남 구례 전남 나주 전남 담양 전남 목포 전남 무안 전남 보성 전남 순천 전남 여수 전남 영광 전남 영암 전남 완도 전남 장성 전남 장흥 전남 진도 전남 함평 전남 해남 전남 화순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영암 가볼만한 곳

추천항목


[Daum백과] 영암 장동사임진왜란의 흔적, 김현우, 한국학술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