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임진왜란의
흔적

전쟁 지휘본부 나고야성 축조

오랜 세월 동안 조선과의 교역을 통해 부를 축적하고 있던 대마도주 소 요시토시(宗義智)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최측근인 고니시 유키나가의 사위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과 명나라 정복 의지를 밝히자 소 요시토시는 고니시에게 일본군이 조선에 쉽게 침공해 들어갈 수 있는 경로와 조선 정복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했다. 그리고 자신은 조선 정벌 시 선봉에 서겠다고 말했다.

고니시를 통해 그러한 정보를 들은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만족했고, 조선으로 쉽게 갈 수 있는 항구가 어디인지를 가신들에게 물었다. 가신들이 규슈(九州)에 있는 나고야라고 답하자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영주들에게 즉시 나고야로 집결하고 각자의 부담으로 자신이 전쟁 지휘본부로 사용할 넓고 견고한 성채를 축조할 것을 지시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에 의해 불과 몇 달 만에 불모의 땅 나고야에 화려하고 견고한 성곽이 축조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프로이스, 루이스(정성화 · 양윤선 역), 『임진난의 기록-루이스 프로이스가 본 임진왜란』(파주: 살림출판사, 2008), 40쪽.

김현우 집필자 소개

일본 야마구치대학 경제학부 졸업, 미국 오클라호마 주립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석사), 미국 하와이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저서로 <한국정당통합운동사>, <한국국회론>..펼쳐보기

출처

임진왜란의 흔적
임진왜란의 흔적 | 저자김현우 | cp명한국학술정보 도서 소개

한국에는 임진왜란의 역사를 담은 유적과 유물이 지역 곳곳에 분포해있다. 전란의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해 전국에 있는 임진왜란 현장과 남겨진 흔적들을 지역별로 정리하여 기..펼쳐보기

전체목차
Ⅱ.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부산 · 경남) 경남 거제 경남 거창 경남 고성 경남 김해 경남 남해 경남 밀양 부산 경남 사천 경남 산청 경남 양산 경남 의령 경남 진주 경남 창녕 경남 창원 경남 통영 경남 하동 경남 함안 경남 함양 경남 합천
Ⅲ. 왜구 · 일본의 침공과 대응 왜구 · 일본을 경계하다 조선통신사의 귀국보고 백성들, 스스로 구제하다 임진왜란의 기록 조선을 사랑한 일본인 사야가
Ⅳ.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대구 · 경북) 경북 경산 경북 경주 경북 고령 경북 구미 경북 군위 경북 김천 대구 경북 문경 경북 봉화 경북 상주 경북 성주 경북 안동 경북 영덕 경북 영양 경북 영천 경북 예천 울산 경북 울진 경북 의성 경북 청도 경북 청송 경북 포항
Ⅵ.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광주 · 전남) 전남 강진 전남 고흥 전남 곡성 전남 광양 광주 전남 구례 전남 나주 전남 담양 전남 목포 전남 무안 전남 보성 전남 순천 전남 여수 전남 영광 전남 영암 전남 완도 전남 장성 전남 장흥 전남 진도 전남 함평 전남 해남 전남 화순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전쟁 지휘본부 나고야성 축조임진왜란의 흔적, 김현우, 한국학술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