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임진왜란의
흔적

국민 사람 사람이 나라를 구한다

일본군은 1592년 4월 14일 부산에 상륙한 직후 울산, 양산, 김해의 3개 경로로 나뉘어 파죽지세로 서울을 향해 북상했다. 상륙 20일 만인 5월 3일 일본군은 서울을 점령했다. 그리고 사회제도 개혁에 무심했고 국방을 소홀히 한 선조 임금은 점령되기 직전에 피난길에 올랐다.

전 국토가 일본군의 손에 넘어가지 않은 것은, 명나라군의 지원이 있었다고는 해도 결국은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나라를 지키고자 피와 땀을 흘리고 희생했기 때문이다.

임진왜란 · 정유재란 때 위기에 처한 조선을 구한 이들은 군인, 의병, 승병뿐만이 아니었다. 힘도 없고, 별다른 무기도 없었고, 재물도 가지지 않았던 평범한 청년 혹은 아녀자들이 있는 자신이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일본군의 침공을 막아내거나 진격의 속도를 늦추는 데 기여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현우 집필자 소개

일본 야마구치대학 경제학부 졸업, 미국 오클라호마 주립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석사), 미국 하와이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저서로 <한국정당통합운동사>, <한국국회론>..펼쳐보기

출처

임진왜란의 흔적
임진왜란의 흔적 | 저자김현우 | cp명한국학술정보 도서 소개

한국에는 임진왜란의 역사를 담은 유적과 유물이 지역 곳곳에 분포해있다. 전란의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해 전국에 있는 임진왜란 현장과 남겨진 흔적들을 지역별로 정리하여 기..펼쳐보기

전체목차
Ⅱ.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부산 · 경남) 경남 거제 경남 거창 경남 고성 경남 김해 경남 남해 경남 밀양 부산 경남 사천 경남 산청 경남 양산 경남 의령 경남 진주 경남 창녕 경남 창원 경남 통영 경남 하동 경남 함안 경남 함양 경남 합천
Ⅲ. 왜구 · 일본의 침공과 대응 왜구 · 일본을 경계하다 조선통신사의 귀국보고 백성들, 스스로 구제하다 임진왜란의 기록 조선을 사랑한 일본인 사야가
Ⅳ.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대구 · 경북) 경북 경산 경북 경주 경북 고령 경북 구미 경북 군위 경북 김천 대구 경북 문경 경북 봉화 경북 상주 경북 성주 경북 안동 경북 영덕 경북 영양 경북 영천 경북 예천 울산 경북 울진 경북 의성 경북 청도 경북 청송 경북 포항
Ⅵ.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광주 · 전남) 전남 강진 전남 고흥 전남 곡성 전남 광양 광주 전남 구례 전남 나주 전남 담양 전남 목포 전남 무안 전남 보성 전남 순천 전남 여수 전남 영광 전남 영암 전남 완도 전남 장성 전남 장흥 전남 진도 전남 함평 전남 해남 전남 화순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나라를 구한다임진왜란의 흔적, 김현우, 한국학술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