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임진왜란의
흔적

남해 화방사 채진루

花芳寺 埰眞樓
요약 테이블
소재지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대곡리 14번지
지역 남해

남해군 고현면 대곡리 망운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사찰 화방사(花芳寺)는 신라시대 문무왕(재위: 681~691) 때 원효대사가 세워 연죽사(煙竹寺)라고 부른 절이다. 고려시대인 1200년대에 진각국사 혜심이 연죽사를 현 위치의 서남쪽 400m에 옮기고 영장사(靈藏寺)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영장사는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불전과 선당에 방화하여 소실되었는데 1636년 서산대사의 제자인 계원대사와 영철대사가 지금의 위치에 옮겨 짓고 ‘화방사’라고 했다.

화방사는 1740년에 화재가 발생하여 전소했으며, 사방이 재가 되고 승도들이 흩어졌으나 다음 해인 1741년에 재건되었다. 마당에서 출입이 쉽도록 누각바닥이 마당과 같은 높이로 만든 이 누각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2층 맞배지붕집이다. 대웅전의 본래 명칭은 보광전이었으나 1981년 10월 1일에 화재로 소실되자 1984년 12월 29일에 신축 복원하면서 ‘대웅전’이라 했다.

화방사 대웅전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화방사 전경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문무왕 때 원효대사가 지금의 충청남도 금산에 보광사를 세우고 이곳 망운산 남쪽에 연죽사를 세운 뒤에 진각국사가 현재의 위치로 보광전을 옮겼고, 계원대사가 지금의 채진루(埰眞樓)를 1638년에 창건했다. 채진루는 대웅전과 마주 보고 있는 건물이다.

채진루에는 화방사 효천 주지스님이 1997년 해를 꼬박 넘기는 원력불사로 복원한 ‘이충무공 충렬묘비’ 목판 비문이 있었다. 이 목판비는 높이 3m, 폭 1.6m로 나무판 앞뒤에 충무공의 충절을 기리는 내용으로 1,300여 자가 새겨져 있고, 남해 충렬사에 있는 비와 똑같은 크기와 내용이다. 당시에 탁본해 두었던 것을 새로 복원했다.

화방사는 호국사찰로 알려져 있으며, 오랫동안 이순신 장군의 제사를 올렸다고 전한다. 채진루는 1985년 11월 14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52호로 지정되었다.

채진루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채진루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현우 집필자 소개

일본 야마구치대학 경제학부 졸업, 미국 오클라호마 주립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석사), 미국 하와이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저서로 <한국정당통합운동사>, <한국국회론>..펼쳐보기

출처

임진왜란의 흔적
임진왜란의 흔적 | 저자김현우 | cp명한국학술정보 도서 소개

한국에는 임진왜란의 역사를 담은 유적과 유물이 지역 곳곳에 분포해있다. 전란의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해 전국에 있는 임진왜란 현장과 남겨진 흔적들을 지역별로 정리하여 기..펼쳐보기

전체목차
Ⅱ.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부산 · 경남) 경남 거제 경남 거창 경남 고성 경남 김해 경남 남해 경남 밀양 부산 경남 사천 경남 산청 경남 양산 경남 의령 경남 진주 경남 창녕 경남 창원 경남 통영 경남 하동 경남 함안 경남 함양 경남 합천
Ⅲ. 왜구 · 일본의 침공과 대응 왜구 · 일본을 경계하다 조선통신사의 귀국보고 백성들, 스스로 구제하다 임진왜란의 기록 조선을 사랑한 일본인 사야가
Ⅳ.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대구 · 경북) 경북 경산 경북 경주 경북 고령 경북 구미 경북 군위 경북 김천 대구 경북 문경 경북 봉화 경북 상주 경북 성주 경북 안동 경북 영덕 경북 영양 경북 영천 경북 예천 울산 경북 울진 경북 의성 경북 청도 경북 청송 경북 포항
Ⅵ.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광주 · 전남) 전남 강진 전남 고흥 전남 곡성 전남 광양 광주 전남 구례 전남 나주 전남 담양 전남 목포 전남 무안 전남 보성 전남 순천 전남 여수 전남 영광 전남 영암 전남 완도 전남 장성 전남 장흥 전남 진도 전남 함평 전남 해남 전남 화순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남해 화방사 채진루임진왜란의 흔적, 김현우, 한국학술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