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임진왜란의
흔적

동화사 사명당 대장 진영

요약 테이블
소재지 대구시 동구 팔공산로 201길 41(도학동)
지역 대구

동화사는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승병군 사령부로 삼아 지휘한 곳이다. 동화사는 팔공산 남쪽 기슭에 493년(신라 소지왕 15)에 극달화상이 세운 사찰로 창건 당시 이름은 ‘유가사’였으나, 832년(신라 흥덕왕 7)에 심지대사가 다시 세울 때 겨울철인데도 경내에 오동나무가 활짝 피었다고 해서 ‘동화사(桐華寺)’라고 고쳐 부르게 되었다. 절 입구에는 수목이 우거져 있고 사철 맑은 물이 폭포를 이루며 흐른다. 경내에는 1727년에 중건한 대웅전, 염불암을 비롯한 6개의 암자가 있다.

동화사 대웅전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봉서루

‘봉황이 깃든 누각’이라는 뜻을 갖는 봉서루(鳳棲樓)는 동화사를 대표하는 누각이다. 네모난 돌기둥을 세워 누문을 만들고, 그 위에 정면 5칸의 목조 누각을 세운 독특한 건축양식이다.

봉서루 건물 뒤편에는 ‘영남치영아문(嶺南緇營雅文)’ 현판이 걸려 있다.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영남도총섭으로 동화사에 승군사령부를 두고 승병을 훈련시키고 지휘했음을 알려주는 흔적이다.

봉서루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현판 영남치영아문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봉황알

봉서루로 오르는 계단 앞에 자연석이 하나 놓여 있는데 이곳이 봉황의 꼬리 부분이다. 그 앞에 둥근 모양의 돌 3개가 놓여 있는데 이는 봉황의 알을 상징한다. 동화사 터는 풍수지리상 ‘봉소포란형(鳳巢抱卵形)’, 즉 봉황이 알을 품는 모습을 한 지세이며, 832년 사찰을 중창할 때 오동나무 꽃이 한겨울에 상서롭게 피었다 하여 동화사로 불리게 된 것과 관련이 있다.

봉황알 형상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사명당 대장 진영

흔히 사명대사라고 불리는 사명당(泗溟堂)은 임진왜란 때 승군을 통솔하여 크게 공을 세운 승군 지도자이다.

사명당 대장 진영은 의자에 앉아 가부좌한 모습이며 손은 불자(拂子)를 잡은 채 무릎 위에 가볍게 올려두고 있으며 의습(衣褶)은 흰색 장삼에 붉은 가사를 걸치고 있다. 초상 제작시기는 1796년부터 1820년 사이이다. 2006년 12월 29일 보물 제1505호로 지정되었으며, 동화사 경내 성보박물관에 보관, 전시되고 있다.

사명당 대장 진영(성보박물관)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영남도총섭 사명대사가 동화사에서 승군을 지휘할 때 사용하던 인장(성보박물관)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임진왜란 때 사용하던 구유

전체길이 695센티미터, 최대 폭 92센티미터. 동화사에는 2점의 구유가 있는데 1점은 성보박물관 안에 전시되어 있다.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통일약사여래대불(1992년 11월 완공)

높이 33미터, 둘레 16.5미터. 석불 몸체에 미얀마 정부가 기증한 부처님 진신사리 2과를 모셨다.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초유사 김성일

선조 임금은 1592년 4월 26일 학봉 김성일을 경상도 초유사(국가 위급 시에 백성을 초유하는 일을 맡은 임시 관직)로 임명했다.

김성일은 동화사에 머물면서 관군과 의병의 협력을 조정, 지휘하여 의병활동을 격려했다. 그는 5월 초 경상남도 함양에서 초유문을 지어 포고하여 산중에 피신해 있던 백성들을 의병의 대열에 합류하게 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현우 집필자 소개

일본 야마구치대학 경제학부 졸업, 미국 오클라호마 주립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석사), 미국 하와이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저서로 <한국정당통합운동사>, <한국국회론>..펼쳐보기

출처

임진왜란의 흔적
임진왜란의 흔적 | 저자김현우 | cp명한국학술정보 도서 소개

한국에는 임진왜란의 역사를 담은 유적과 유물이 지역 곳곳에 분포해있다. 전란의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해 전국에 있는 임진왜란 현장과 남겨진 흔적들을 지역별로 정리하여 기..펼쳐보기

전체목차
Ⅱ.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부산 · 경남) 경남 거제 경남 거창 경남 고성 경남 김해 경남 남해 경남 밀양 부산 경남 사천 경남 산청 경남 양산 경남 의령 경남 진주 경남 창녕 경남 창원 경남 통영 경남 하동 경남 함안 경남 함양 경남 합천
Ⅲ. 왜구 · 일본의 침공과 대응 왜구 · 일본을 경계하다 조선통신사의 귀국보고 백성들, 스스로 구제하다 임진왜란의 기록 조선을 사랑한 일본인 사야가
Ⅳ.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대구 · 경북) 경북 경산 경북 경주 경북 고령 경북 구미 경북 군위 경북 김천 대구 경북 문경 경북 봉화 경북 상주 경북 성주 경북 안동 경북 영덕 경북 영양 경북 영천 경북 예천 울산 경북 울진 경북 의성 경북 청도 경북 청송 경북 포항
Ⅵ.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광주 · 전남) 전남 강진 전남 고흥 전남 곡성 전남 광양 광주 전남 구례 전남 나주 전남 담양 전남 목포 전남 무안 전남 보성 전남 순천 전남 여수 전남 영광 전남 영암 전남 완도 전남 장성 전남 장흥 전남 진도 전남 함평 전남 해남 전남 화순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동화사 사명당 대장 진영임진왜란의 흔적, 김현우, 한국학술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