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임진왜란의
흔적

부산 충렬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호, 忠烈祠
요약 테이블
소재지 부산시 동래구 충렬대로 345
지역 부산

충렬사는 임진왜란 때 부산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순절한 호국선열의 영령을 모신 사당으로 선열의 숭고한 뜻을 기리기 위한 산 교육장이자 호국충절의 요람지이다.

지금의 충렬사는 1605년(선조 38) 동래부사 윤훤에 의해 동래읍성 남문 안에 충렬공 송상현을 모신 사당 송공사(宋公祠)가 세워지고, 매년 제사를 지낸 것을 시작으로 한다.

1624년 선위사(宣慰使) 이민구의 청으로 ‘충렬사(忠烈祠)’라는 사액이 내려졌으며 부산진성 전투 때 순절한 충장공 정발을 모시게 되었다.

그 후 1652년 동래부사 윤문거가 송공사가 좁고, 성문이 가까이 있어 시끄러워 위치가 적당하지 않다는 점과 송상현 공의 학행과 충절은 후학의 사표가 되므로 그 학행과 충절을 선비들에게 가르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들어 현재의 안락동 충렬사 자리로 이전하면서 사당을 창건한 후 강당과 동재 · 서재를 지어 ‘안락서원’이라 하고 사우와 서원으로서의 기능을 갖추었다.

1709년(숙종 35)에는 충렬공 송상현과 충장공 정발이 순절할 때 함께 전사한 양산군수 조영규, 동래교수 노개방, 유생 문덕겸 · 양조한, 비장 송봉수와 군관 김희수, 겸인 신여로, 향리 송백, 부민 김상 등의 위패를 모신 별사(別祠)를 옛 송공사 터(지금의 송공단)에 건립했다.

1736년 별사에 모셨던 분들을 지금의 충렬사에 모셨으며, 1772년에는 다대진첨사 윤흥신을 추가로 모셨고, 송상현의 첩 금섬, 정발의 첩 애향을 위해 충렬사 동문 밖에 사당을 세웠다.

1976년부터 1978년까지 충렬사 정화공사를 실시하여 현재의 규모로 보수, 정화한 후 임진왜란 때 부산지방에서 순절하거나 공을 세운 모든 선열의 위패를 충렬사로 옮겨 직책 또는 직위가 부여된 순서에 따라 신위를 모셨다. 충렬사에는 93신위(본전 89신위, 의열각 4위)를 모시고 있다.

충렬사는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었다.

본전(89신위)
신위 구분 위치 선열 명단
수위(首位) 3신위ㆍ동래부사 송상현 ㆍ부산진첨사 정발 ㆍ다대진첨사 윤흥신
배위(配位) 16신위서편ㆍ부산진 무명용사 ㆍ다대진 무명용사 ㆍ녹도만호 정운
ㆍ동래교수 노개방 ㆍ병조참판 윤흥제 ㆍ호조정랑 양조한
ㆍ군자감판관 송봉수 ㆍ예빈시주부 송백
동편ㆍ동래부 전투 무명용사 ㆍ부산포해전 무명용사 ㆍ양산군수 조영규
ㆍ부사맹 이정헌 ㆍ호조좌랑 문덕겸 ㆍ중부참봉 신여로
ㆍ군자감판관 김희수 ㆍ중부참봉 김상
종위(從位) 70신위서편ㆍ별전공신 24인 ㆍ동래부 충복 철수 ㆍ 동래부 충복 매동
ㆍ합사 선열 13위(1991. 09. 10)
동편ㆍ수영25의용인 ㆍ부산진 충복 용월 ㆍ합사 선열 3위(1996. 09. 10)
ㆍ합사 선열 1위(2003. 04. 24) ㆍ합사 선열 1위(2007. 06. 19)
의열각(4신위)
ㆍ2의녀(무명) ㆍ2열녀(금섬 · 애향)

ㆍ본전(本殿): 부산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순국한 선열을 모신 사당이다. 이 지역에서 전사한 선열 23인, 동래읍성 · 부산진성 · 다대진성 및 부산포해전에서 전사한 무명용사 위패 4위, 의병 62인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현재 수위에 동래부사 송상현 · 부산진첨사 정발 · 다대진첨사 윤흥신의 3신위, 배위에 16신위 · 종위에 70신위 등 모두 89신위가 봉안되어 있다.

충렬사 전경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충렬사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위패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위패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ㆍ의열각(義烈閣): 일본군에 항거하다가 순국한 의녀들을 모신 사당이다. 동래읍성 전투에서 일본군에게 기왓장을 던지면서 싸운 이름 없는 두 의녀와 당시 동래부사 송상현 공과 부산첨사 정발 장군을 따라 순절한 금섬(金蟾) · 애향(愛香) 두 열녀 등 모두 4인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의열각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의열각 4인의 위패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ㆍ소줄당(昭崒堂): 소줄당은 일본군과 싸우다가 순국한 선열의 호국 · 애족정신을 후세의 사표로 삼기 위해 1652년에 교육도장으로 건립한 강당이다.

‘소줄당’이라는 당호는 한유(韓愈)의 이제송(夷齊頌)에 나오는 ‘소호일월 부족위명, 줄호태산 부족위고(昭乎日月 不足爲明, 崒乎泰山 不足爲高)’의 머리글자를 딴 것으로 임진왜란 때 희생된 선열의 충절은 일월보다도 밝고 태산보다도 높다는 것을 나타낸 말이다.

소줄당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ㆍ기념관: 임진왜란 당시의 전황을 살필 수 있는 기록화와 선열의 유품, 문서, 책자 등 102점을 소장, 전시하고 있다.

ㆍ송상현 명언비: 일본군이 동래읍성을 에워싸고 “싸우고 싶거든 싸우고, 싸우고 싶지 않거든 길을 내어달라”라고 했을 때 송상현은 “싸워서 죽기는 쉬워도 길을 내어주기는 어렵다”라고 답하여 결전의지를 분명히 했다.

송상현 명언비: 戰死易假道難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정화기념비

ⓒ 한국학술정보 | CC BY-NC-ND

ㆍ임란 동래 24공신 공적비: 왜란 당시 동래지역 출신으로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과 싸우다가 순절한 선무원종공신 녹권에 등재된 공신 가운데 일본군을 토벌하는 데 큰 공이 있는 24별전공신각주1) 의 공적비이며, 1988년 5월 14일 제막되었다.

본전에 모셔진 89신위 가운데 별전공신 24인은 다음과 같다.

별전공신 24인 (가나다 순)
강개련(姜介連), 김근우(金根祐), 김기(金琦), 김달(金達), 김대의(金大義), 김복(金福), 김일개(金一介), 김일덕(金一德), 김정서(金廷瑞), 김흘(金屹), 문세휘(文世輝) , 박인수(朴仁壽), 송계남(宋繼男), 송남생(宋南生), 송의남(宋義男), 송창문(宋昌文), 오춘수(吳春壽), 오홍(吳鴻), 이언홍(李彦弘), 이응필(李應弼), 이복(李福), 정순(鄭順), 정승헌(鄭承憲), 황보 상(皇甫祥)

충렬사 제향

충렬사 제향은 1605년 당시의 동래부사 윤훤이 동래읍성 남문 밖의 농주산에 송상현의 위패를 모신 송공사(宋公祠)를 지어 제사를 지낸 것에서 비롯되었다.

매년 음력 2월과 8월 중정일에 제사를 지내는데 제향을 10여 일 앞두고 역대 안락서원 원장으로 구성된 원회(院會)를 개최하여 제관을 선출한다. 제향 당시의 안락서원 원장이 초헌관이 되며, 제향의 절차는 ‘주례(周禮)’와 ‘예기(禮記)’ 등의 예법에 따라 만든 홀기(笏記)각주2) 에 의해 진행된다.

제관은 8명(헌관 1, 분헌관 2, 축관 1, 집례 1, 집사 3)이며, 제향은 개제 선언, 제관 재배, 참례자 배례, 수위전 분향, 배 · 종위전 분향, 수위전 헌작, 배 · 종위전 헌작, 독축, 대통령헌화 분향(시장대행), 추모사, 참례자 분향, 제관 재배, 참례자 배례, 폐제 선언, 분축의 순서로 행해진다.

재단법인 충렬사 안락서원에서 매년 5월 25일 제향을 주관하고 있다. 충렬사 제향은 1979년 2월 2일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현우 집필자 소개

일본 야마구치대학 경제학부 졸업, 미국 오클라호마 주립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석사), 미국 하와이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저서로 <한국정당통합운동사>, <한국국회론>..펼쳐보기

출처

임진왜란의 흔적
임진왜란의 흔적 | 저자김현우 | cp명한국학술정보 도서 소개

한국에는 임진왜란의 역사를 담은 유적과 유물이 지역 곳곳에 분포해있다. 전란의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해 전국에 있는 임진왜란 현장과 남겨진 흔적들을 지역별로 정리하여 기..펼쳐보기

전체목차
Ⅱ.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부산 · 경남) 경남 거제 경남 거창 경남 고성 경남 김해 경남 남해 경남 밀양 부산 경남 사천 경남 산청 경남 양산 경남 의령 경남 진주 경남 창녕 경남 창원 경남 통영 경남 하동 경남 함안 경남 함양 경남 합천
Ⅲ. 왜구 · 일본의 침공과 대응 왜구 · 일본을 경계하다 조선통신사의 귀국보고 백성들, 스스로 구제하다 임진왜란의 기록 조선을 사랑한 일본인 사야가
Ⅳ.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대구 · 경북) 경북 경산 경북 경주 경북 고령 경북 구미 경북 군위 경북 김천 대구 경북 문경 경북 봉화 경북 상주 경북 성주 경북 안동 경북 영덕 경북 영양 경북 영천 경북 예천 울산 경북 울진 경북 의성 경북 청도 경북 청송 경북 포항
Ⅵ.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아서(광주 · 전남) 전남 강진 전남 고흥 전남 곡성 전남 광양 광주 전남 구례 전남 나주 전남 담양 전남 목포 전남 무안 전남 보성 전남 순천 전남 여수 전남 영광 전남 영암 전남 완도 전남 장성 전남 장흥 전남 진도 전남 함평 전남 해남 전남 화순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부산 충렬사임진왜란의 흔적, 김현우, 한국학술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