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것 불교경전 요약
천수경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 千手經관음신앙을 바탕으로 해서 성립된 경으로, 현재 우리나라 사찰에서 독송하고 있는 《천수경(千手經)》은 1900년 이후에 한반도에서 편집된 것이다. 즉, 여러 경전에서 발췌하여 하나의 경으로 엮은 것이다. 내용은 관세음보살의 공덕을 찬탄하고, 그에게 귀의하여 예배하고 참회하며 발원하는 구절과 진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구업진언〉으로 시작하는데, 진언은 주문(呪文)이다. 독송하기 전에 입을 깨끗이 한다는 뜻으로 이 진언을 읊는다. 다음의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은 주위의 모든 중생들을 안심시키기 위한 진언이다.
그 다음에는 〈개경게(開經偈)〉가 나오는데, 이것은 경을 펴면서 부처님 의 참뜻을 알기를 원하는 게송이고, 〈개법장진언(開法藏眞言)〉은 경을 펴면서 발원하는 진언이다. 다음의 〈천수천안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 계청(千手千眼觀自在菩薩 廣大圓滿 無礙大悲心 大陀羅尼 啓請)〉은 관세음보살을 찬탄하고 나서 그에게 경건한 마음으로 발원하는 내용이다. 이 발원에 이어서 여러 보살과 아미타불에게 귀의한다. 그 다음이 〈신묘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陀羅尼)〉인데, 내용의 요점은 다음과 같다.
3보와 관세음보살에게 머리를 조아립니다.〈신묘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陀羅尼)〉
성스럽고 청정한 관세음보살이시여, 도와주시고 소원이 이루어지게 하소서.
바라오니, 탐욕과 분노와 어리석음이 소멸되어 참된 지혜로 피어나게 하소서.
관세음보살에게 몸과 마음을 바쳐 믿고 의지하니, 보살펴주시고 소원이 모두 이루어져 큰 기쁨을 얻게 하소서.
거듭거듭 간곡히 아룁니다.
이 〈신묘장구대다라니〉를 ‘천수다라니(千手陀羅尼)’ 또는 ‘대비주(大悲呪)’라고도 한다. 이어서 도량을 청정하게 하는 〈사방찬(四方讚)〉과 〈도량찬(道場讚)〉이 나오고, 다음이 〈참회게(懺悔偈)〉이다. 이 〈참회게〉는 《40화엄경》 제40권에 있는 게송이다. 〈참제업장12존불(懺除業障十二尊佛)〉에서는 12존불을 청하여 열 가지 중죄를 참회하고, 이 참회를 성취하기 위해 〈참회진언(懺悔眞言)〉을 읊는다. 다음에 준제보살(准提菩薩)에 대한 게송이 나오는데, 이 보살은 오랜 과거에 한량없는 부처님을 낳았다고 해서 불모(佛母)라고 한다.
이어서 〈나무7구지불모대준제보살(南無七俱胝佛母大准提菩薩)〉이 나온다. 나무(南無, ⓢnamas)는 ‘귀의(歸依)한다’는 뜻이고, 구지(俱胝)는 ⓢkoṭi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천만(千萬)’을 뜻한다. 계속해서 〈정법계진언(淨法界眞言)〉과 〈호신진언(護身眞言)〉, 관세음보살의 〈6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을 읊고 나서 〈준제진언(准提眞言)〉으로 들어간다. 이 진언 다음에 준제보살에게 게송으로 발원한다. 이어서 〈10대발원(十大發願)〉과 〈4홍서원(四弘誓願)〉을 한 다음, 3보에 몸과 마음을 바쳐 믿고 의지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언어 표기법
- ・ ⓢ 혹은 <산>은 산스크리트(sanskrit), ⓟ 혹은 <팔>은 팔리어(pāli語)를 가리킨다.
- ・ 산스크리트와 팔리어의 한글 표기는 1986년 1월 7일에 문교부에서 고시한 ‘개정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된소리와 장음표기를 쓰지 않고, 동일 겹자음일 경우에 앞 자음은 받침으로 표기했다.
- ・ 예) ⓟvipassanā ⇒ 위팟사나
- ・ 음사(音寫)는 산스크리트 또는 팔리어를 한자로 옮길 때, 번역하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을 말한다.
- ・ 예) 반야(般若, ⓢprajnā ⓟpannā) / 열반(涅槃, ⓢnirvāṇa ⓟnibbāna)
경전 표기법
- ・ 전거에서, 예를 들어 <雜阿含經 제30권 제7경>은 《잡아함경》 제30권의 일곱 번째 경을 가리킨다.
- ・ 《니카야(nikāya)》의 경우, <디가 니카야 22, 大念處經>과 <맛지마 니카야 54, 哺多利經>에서 22와 54는 경 번호이고, <상윳타 니카야 23 : 15, 苦(1)>에서 23은 분류(division) 번호이고, 15는 경 번호이다.
글
출처
전체목차
- 4제 - 괴로움에서 열반으로 가는 고 · 집 · 멸 · 도
- 12연기 - 괴로움이 일어나고 소멸하는 열두 과정
- 5온 - 인간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 요소의 무더기
- 3독 - 열반에 장애가 되는 세 가지 번뇌
- 무상 · 고 · 무아 - 열반으로 가는 세 관문
- 3학 - 열반으로 가는 세 가지 수행, 계 · 정 · 혜
- 4정단 - 열반에 이르기 위한 네 가지 바른 노력
- 5근 - 열반에 이르게 하는 다섯 가지 마음의 기능
- 4염처 - 몸 · 느낌 · 마음 · 현상에 대한 알아차리기의 확립
- 7각지 -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
- 위팟사나 - 무상 · 고 · 무아를 통찰하는 수행
- 열반 - 탐욕과 분노와 어리석음의 소멸
- 4무량심 - 네 가지 한량없는 마음, 자 · 비 · 희 · 사
- 계율(戒律) - 악을 방지하고 선을 쌓기 위한 규율
- 반열반(般涅槃) - 호흡을 거두고 정적(靜寂) 속으로
- 3보사찰이란?
- 대한불교조계종의 총림 사찰은 어디어디인가?
- 법당이란?
- 법당에서 지켜야 할 예절은?
- 안거란?
- 공양이란 어떤 의식인가?
- 발우공양은 어떻게 하나?
- 불교의 4대성지는?
- 적멸보궁은 어떤 곳인가?
- 염주의 용도는?
- 연꽃은 무엇을 상징하나?
- 우담바라는 어떤 나무인가?
- ‘만’ 자는 무엇을 뜻하나?
- 불기는 어떻게 계산하나?
- 불교의 4대 기념일은?
- 무차대회란?
- 극락조와 금시조는 어떤 새인가?
- 108번뇌에서 108은?
- 사리란 무엇인가?
- 범패란 무엇인가?
- 불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 사바세계란?
- 선지식이란?
- 아사리란 누구를 말하나?
- 나무아미타불의 뜻은?
- 나무관세음보살마하살은 무슨 뜻인가?
- 마하반야바라밀의 뜻은?
- 수리 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의 뜻은?
- 옴 마니 반메 훔의 뜻은?
- 진언과 다라니의 차이는?
- 산스크리트와 팔리어는 어떤 언어인가?
- 십우도는 무엇을 그린 그림인가?
- 탱화는 무엇을 그린 그림인가?
- 변상도란?
- 괘불의 용도는?
- 영산재는 어떤 의식인가?
- 당간지주의 용도는?
- 전륜성왕은 어떤 왕인가?
- 명왕이란?
- 찰나와 겁은 어느 정도의 시간인가?
- 수미산과 3계와 6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 천은 무엇을 의미하고, 어떤 천들이 있나?
- 천상천하유아독존의 뜻은?
- 회향식이란?
- 승려의 직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 승려들의 존칭에는 어떤 말들이 있나?
- 승복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 현재 한국 불교의 종파는?
- 조계종의 25교구 본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