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것
현재 한국 불교의 종파는
‘한국불교종단협의회’에 가입한 종파 중 1980년 이전에 창종하고, 사찰 수 1백 개 이상, 승려 수 2백 명 이상인 것만 소개한다(가나다순).
관음종(觀音宗)
① 종조(宗祖) :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② 종지(宗旨) : 법화사상을 받들고 보살행으로 중생을 제도한다.
③ 본존불 : 3신불
④ 소의경전(所依經典) : 《법화경》 · 《화엄경》
⑤ 총본산 : 서울 종로구 묘각사(妙覺寺)
미타종(彌陀宗)
① 종조 : 함허 득통(涵虛得通)
② 종지 : ‘나무아미타불’ 6자명호(六字名號)의 염불을 근간으로 하여 타력 염불신앙을 목적으로 한다.
③ 본존불 : 아미타불
④ 소의경전 : 《관무량수경》 · 《무량수경》 · 《아미타경》 · 《열반경》 · 《화엄경》
⑤ 총본산 : 충북 단양 봉암사
법상종(法相宗)
① 종조 : 인도의 무착과 현장 · 원측(圓測)을 원조(遠祖)로 하고, 신라의 태현(太賢)을 개종조(開宗祖)로, 진표(眞表)를 중흥조(中興祖)로 한다.
② 종지 : 석가세존의 원만한 깨달음을 근본으로 하여 만법유식(萬法唯識)의 진리를 체득하고, 미륵불을 신앙하여 용화세계를 실현한다.
③ 본존불 : 미륵불
④ 소의경전 : 《해심밀경》 · 《능가경》 · 《미륵상생경》 · 《미륵하생경》 · 《미륵성불경》
⑤ 총본산 : 경기도 안성시 쌍미륵사
법화종(法華宗)
① 종조 : 대각국사 의천
② 종지 : 법화사상을 계승하여 불국토를 구현한다.
③ 본존불 : 석가모니불
④ 소의경전 : 《법화경》
⑤ 총본산 : 서울 성북구 대법정사(大法精舍)
원효종(元曉宗)
① 종조 : 원효
② 종지 : 석가세존의 깨달음을 근본으로 하고, 원효의 통불교 이념을 받들어 대중불교를 구현함으로써 불국토 건설에 이바지한다.
③ 본존불 : 석가모니불
④ 소의경전 : 《화엄경》 · 《아미타경》 · 《금강경》 · 《금강삼매경론》
⑤ 총본산 : 부산시 동구 금수사(金水寺)
일승종(一乘宗)
① 종지 : 《법화경》의 회삼귀일을 근본으로 하여 깨달음을 구한다.
② 본존불 : 석가모니불
③ 소의경전 : 《법화경》
④ 총본산 : 서울 성북구 일승사
조계종(曹溪宗)
① 종조 : 도의국사(道義國師)
② 종지 : 석가세존의 깨달음을 근본으로 하여,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하고 중생을 제도한다.
③ 본존불 : 석가모니불
④ 소의경전 : 《금강경》 · 전등법어(傳燈法語)
⑤ 총본산 : 서울 종로구 조계사
진각종(眞覺宗)
① 종조 : 회당(悔堂) 손규상(孫圭祥) 대종사
② 종지 : 옴마니반메훔을 신행하여 즉신성불하고 사회를 정화한다.
③ 본존불 : 비로자나불
④ 소의경전 : 《대일경》 · 《금강정경》
천태종(天台宗)
① 종조 : 천태 지의
② 종지 : 법화사상으로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고 사회를 정화한다.
③ 본존불 : 석가모니불
④ 소의경전 : 《법화경》
⑤ 총본산 : 충북 단양 소백산 구인사(救仁寺)
총화종(總和宗)
① 종조 : 태고 보우(太古普愚)
② 종지 : 석가세존의 깨달음을 근본으로 하여 안심입명(安心立命)하고 중생을 제도한다.
③ 본존불 : 석가모니불
④ 소의경전 : 《화엄경》
⑤ 총본산 : 경기도 남양주 천마산 수진사(修進寺)
태고종(太古宗)
① 종조 : 태고 보우
② 종지 : 석가세존의 깨달음을 근본으로 하고, 태고의 종풍을 선양하여 중생을 제도한다.
③ 본존불 : 석가모니불
④ 소의경전 : 《금강경》 · 《화엄경》
⑤ 총본산 : 서울 서대문구 봉원사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언어 표기법
- ・ ⓢ 혹은 <산>은 산스크리트(sanskrit), ⓟ 혹은 <팔>은 팔리어(pāli語)를 가리킨다.
- ・ 산스크리트와 팔리어의 한글 표기는 1986년 1월 7일에 문교부에서 고시한 ‘개정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된소리와 장음표기를 쓰지 않고, 동일 겹자음일 경우에 앞 자음은 받침으로 표기했다.
- ・ 예) ⓟvipassanā ⇒ 위팟사나
- ・ 음사(音寫)는 산스크리트 또는 팔리어를 한자로 옮길 때, 번역하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을 말한다.
- ・ 예) 반야(般若, ⓢprajnā ⓟpannā) / 열반(涅槃, ⓢnirvāṇa ⓟnibbāna)
경전 표기법
- ・ 전거에서, 예를 들어 <雜阿含經 제30권 제7경>은 《잡아함경》 제30권의 일곱 번째 경을 가리킨다.
- ・ 《니카야(nikāya)》의 경우, <디가 니카야 22, 大念處經>과 <맛지마 니카야 54, 哺多利經>에서 22와 54는 경 번호이고, <상윳타 니카야 23 : 15, 苦(1)>에서 23은 분류(division) 번호이고, 15는 경 번호이다.
글
출처
전체목차
- 4제 - 괴로움에서 열반으로 가는 고 · 집 · 멸 · 도
- 12연기 - 괴로움이 일어나고 소멸하는 열두 과정
- 5온 - 인간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 요소의 무더기
- 3독 - 열반에 장애가 되는 세 가지 번뇌
- 무상 · 고 · 무아 - 열반으로 가는 세 관문
- 3학 - 열반으로 가는 세 가지 수행, 계 · 정 · 혜
- 4정단 - 열반에 이르기 위한 네 가지 바른 노력
- 5근 - 열반에 이르게 하는 다섯 가지 마음의 기능
- 4염처 - 몸 · 느낌 · 마음 · 현상에 대한 알아차리기의 확립
- 7각지 -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
- 위팟사나 - 무상 · 고 · 무아를 통찰하는 수행
- 열반 - 탐욕과 분노와 어리석음의 소멸
- 4무량심 - 네 가지 한량없는 마음, 자 · 비 · 희 · 사
- 계율(戒律) - 악을 방지하고 선을 쌓기 위한 규율
- 반열반(般涅槃) - 호흡을 거두고 정적(靜寂) 속으로
- 3보사찰이란?
- 대한불교조계종의 총림 사찰은 어디어디인가?
- 법당이란?
- 법당에서 지켜야 할 예절은?
- 안거란?
- 공양이란 어떤 의식인가?
- 발우공양은 어떻게 하나?
- 불교의 4대성지는?
- 적멸보궁은 어떤 곳인가?
- 염주의 용도는?
- 연꽃은 무엇을 상징하나?
- 우담바라는 어떤 나무인가?
- ‘만’ 자는 무엇을 뜻하나?
- 불기는 어떻게 계산하나?
- 불교의 4대 기념일은?
- 무차대회란?
- 극락조와 금시조는 어떤 새인가?
- 108번뇌에서 108은?
- 사리란 무엇인가?
- 범패란 무엇인가?
- 불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 사바세계란?
- 선지식이란?
- 아사리란 누구를 말하나?
- 나무아미타불의 뜻은?
- 나무관세음보살마하살은 무슨 뜻인가?
- 마하반야바라밀의 뜻은?
- 수리 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의 뜻은?
- 옴 마니 반메 훔의 뜻은?
- 진언과 다라니의 차이는?
- 산스크리트와 팔리어는 어떤 언어인가?
- 십우도는 무엇을 그린 그림인가?
- 탱화는 무엇을 그린 그림인가?
- 변상도란?
- 괘불의 용도는?
- 영산재는 어떤 의식인가?
- 당간지주의 용도는?
- 전륜성왕은 어떤 왕인가?
- 명왕이란?
- 찰나와 겁은 어느 정도의 시간인가?
- 수미산과 3계와 6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 천은 무엇을 의미하고, 어떤 천들이 있나?
- 천상천하유아독존의 뜻은?
- 회향식이란?
- 승려의 직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 승려들의 존칭에는 어떤 말들이 있나?
- 승복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 현재 한국 불교의 종파는?
- 조계종의 25교구 본사는?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현재 한국 불교의 종파는 – 불교의 모든 것, 곽철환, 행성B잎새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