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어 인문학
이야기 3 왜 '데이터테인먼트'가 가능해졌는가?
넷플릭스
Netflix세계 최대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Netflix)는 2016년 한국 진출을 선언한 데 이어 봉준호 감독이 만드는 새 영화 〈옥자〉에 한국 영화 사상 최대 제작비인 5,000만 달러(약 579억 원)를 투자하기로 해 화제를 모았다. 넷플릭스는 어떤 회사인가?
넷플릭스(Netflix)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1997년 DVD 배달업체로 시작해, 지금은 영상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인터넷 기반 미디어 업체다. 넷플릭스는 인터넷(net)과 영화(flicks)의 합성어다. 가입자가 한 달에 7.99달러의 요금을 내면 넷플릭스가 전송권을 확보한 디즈니, 타임워너 그룹 같은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와 HBO 같은 네트워크 방송망의 영화와 드라마, 다큐멘터리를 무제한 시청할 수 있다. 2015년 10월 현재 전 세계적으로 6,900만 명의 유료 가입자를 확보했다(미국 4,300만 명).각주1)
넷플릭스의 창업자이자 CEO인 리드 헤이스팅스(Reed Hastings, 1960~)는 창업 배경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아폴로 13〉을 빌렸다가 연체료를 한 40달러쯤 물었지요. 얼마나 황당했던지 지금도 기억합니다. 그땐 비디오테이프 시절이었는데 어딘가에는 우리가 모르는 커다란 시장이 있겠다는 생각이 번뜩 들었지요.”각주2)
2013년 초 넷플릭스는 가입자 수 3,000만 명을 자랑했지만, 콘텐츠 제작사들이 공급가를 턱없이 높게 올리는 바람에 영화나 드라마 보유량이 줄어들자 고객들이 빠져나가기 시작했다. 그러자 넷플릭스는 자체 프로그램 제작에 나섰다.각주3) 바로 그해 넷플릭스가 1억 달러를 투자해 만든 〈카드로 만든 집(House of Cards)〉은 전대미문의 시도였는데, 많은 사람을 놀라게 한 것은 넷플릭스의 과감한 판단이었다. 넷플릭스 경영진은 두 시즌, 총 26개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드라마를 단 한 장면도 보지 않고 제작하기로 결정했다. 왜 그랬을까? 루크 도멜(Luke Dormehl)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 이유는 2,500만 이용자에게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람들이 어떤 동영상을 보는지에 대한 추세와 상관관계를 밝혀냈기 때문이다. 넷플릭스는 많은 가입자가 BBC의 드라마 〈카드로 만든 집〉 시리즈를 재미있게 시청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근거는 에피소드를 여러 번, 연달아 시청했다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케빈 스페이시가 출연한 영화를 좋아했으며, 〈소셜 네트워크(The Social Network)〉의 데이비드 핀처가 감독한 영화도 즐겨 보았다. 넷플릭스는 세 가지 요소를 두루 갖춘 시리즈라면 성공 확률이 높으리라고 예상했고, 예상은 적중했다.……미국의 텔레비전 평론가이자 칼럼니스트 데이비드 비안쿨리는 『뉴욕타임스』에 이렇게 썼다. ‘HBO가 에미상에 처음으로 노미네이트 되는 데는 25년이 걸렸다. 넷플릭스는 6개월 만에 해냈다.”각주4)
이렇게 데이터에 근거해 엔터테인먼트를 제작하는 방식을 가리켜 ‘데이터테인먼트(datatainment)’라고 한다. 패트릭 터커(Patrick Tucker)는 “현재 넷플릭스는 50억 건이 넘는 고객 평점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고 매일 400만 건에 달하는 새로운 평가를 접수한다”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넷플릭스가 석 달 동안 내보내는 영화는 수십억 시간에 달한다. 넷플릭스 같은 영화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은 수백만 명에 달한다. 이런 서비스를 사용하는 동안 고객들은 평점을 비롯하여 특정 영화를 보기 시작하는 시점과 멈추는 시점을 알려주는 독특한 텔레메트리 데이터를 창출한다. 이런 데이터를 활용하면 넷플릭스 사용자들이 다양한 대본에 평균적으로 어떻게 반응하는지는 물론 개인 취향이 시청자에 따라, 영화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도 밝힐 수 있다.”각주5)
남은주는 넷플릭스의 한국 진출이 성공적이라면 한국인의 드라마 관람 습관이 바뀔 것이라고 예상한다. 우리는 IPTV를 통해 보고 싶은 영화를 한 편씩 사서 보는 ‘단건 시청’이 대부분인 반면 넷플릭스 같은 무한제공 서비스에선 사용자들이 드라마를 1회부터 마지막까지 몰아서 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각주6) 넷플릭스가 실패할지 아니면 한국인의 시청 습관이 바뀔지 두고 볼 일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재미 영어’를 위한 이 책은 지리와 역사, 경제·경영·기업, 자연·과학·기술, 정치·권력·리더십, 심리·마음·두뇌, 대중문화·미디어·언론, 남녀관계·노동·스포츠, 신..펼쳐보기
전체목차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넷플릭스 – 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3,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