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재미있는 영
어 인문학
이야기 3
왜 신념은 때로 우리의 적이 되는가?

belief bias

러시아 작가 안톤 체호프(Anton Chekhov, 1860~1904)는 “Man is what he believes(사람은 스스로 믿는 대로 된다)”라고 했다. 이런 취지의 명언은 무수히 많다. “You are what you believe(스스로 믿으면 현실이 된다)”라거나 “Belief is reality(믿음이 현실이다. 즉, 삶은 생각하기 나름이다)”라는 격언도 있다.

다 좋은 말이지만, 믿음이 일상적 삶의 버릇까지 지배하면 이른바 ‘belief bias(신념편향)’에 빠지기 쉽다. 신념편향은 삼단논법 추리와 같은 일정한 형식의 추론에서도 논리적 분석이나 규칙을 적용하기보다는 자신의 일반 지식이나 신념에 기초하여 명제를 평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여러 연구 결과, 사람들은 논리적 추론 과정보다는 결론의 ‘그럴듯함(plausibility)’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남석은 생활 속에서도 신념편향은 많은 영향을 미친다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논리적 검토를 거친 보고서를 본 팀장은 ‘내 생각은 이와 다른데’ 하면서 보고서의 결론이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논리적 근거를 대서 비판하기보다 자기 생각과 신념이 다름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이때 직원들 역시 팀장이 하는 이야기 속에서 결론에 이르는 논리적 추론의 타당성은 따지지 않고, 결국 자신의 결론과 다르다는 이유로 거부한다면 마찬가지로 신념편향에 빠져 있는 것이다.”각주1)

이렇듯, 신념은 때로 우리의 적이 되지만,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로저 코너(Roger Connors)와 톰 스미스(Tom Smith)는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문화를 바꾸면 시장판도가 바뀐다』(2011)에서 안전 관리를 자신의 일이라고 생각해본 적이 없었던 관리팀의 한 기술자가 안전 관리자로 승진해서 한 일을 소개한다.

“승진과 동시에 그의 태도와 행동이 180도로 완전히 달라졌다는 사실을 아마 믿기 힘들 것이다. 그가 매일 업무의 최우선 순위를 안전으로 전환시킨 것은 너무나 급속히 일어났기 때문에 공장의 화젯거리가 되었으며, 현재의 동료 관리자들로부터는 칭찬을 받는 반면, 예전의 팀원들에게서는 비난을 받았다. 안전 관리에 대한 그의 열정은 상당히 진정성이 있어 보였다. 물론 대부분의 경우, 조직 내에서 직위를 바꾼다고 해서 생각하는 방식까지 바꾸지는 못한다.”각주2)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강준만 집필자 소개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탁월한 인물 비평과 정교한 한국학 연구로 우리사회에 의미있는 반향을 일으켜온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 대표 저서로는 <강남 좌파>, <한국 현대사 산..펼쳐보기

출처

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3
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3 | 저자강준만 | cp명인물과사상사 도서 소개

‘재미 영어’를 위한 이 책은 지리와 역사, 경제·경영·기업, 자연·과학·기술, 정치·권력·리더십, 심리·마음·두뇌, 대중문화·미디어·언론, 남녀관계·노동·스포츠, 신..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언어 일반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belief bias


[Daum백과] belief bias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3,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