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재미있는 영
어 인문학
이야기 3
사랑은 달콤한 고문인가?

러브

love

“Love is a sweet torment(사랑은 달콤한 고문이다)”라거나 “Where there is love, there is pain(사랑이 있는 곳에 고통이 있다)” 등과 같이 사랑의 고통을 지적하는 말이 많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스스로 그 고통 속에 빠져들려고 애쓰는 걸까? 사랑에 관한 명언을 10개만 감상해보자.

(1) To love is to place our happiness in the happiness of another(사랑은 나의 행복을 다른 이의 행복에 두는 것이다). 독일 철학자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von Leibnitz, 1646~1716)의 말이다.

(2) It is better to have loved and lost, than not to have loved at all(사랑을 아예 하지 않는 것보다는 사랑하고 고통 받는 게 낫다). 영국 시인 앨프리드 테니슨 경(Alfred Tennyson Lord, 1809~1892)의 말이다.

(3) To be in love is to surpass oneself(사랑을 한다는 것은 자신을 초월하는 일이다). 영국 작가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 1854~1900)의 말이다.

(4) A coward is incapable of exhibiting love; it is the prerogative of the brave(겁쟁이는 사랑을 보여줄 수 없다. 사랑은 용감한 자의 특권이다). 인도 지도자 마하트마 간디(Mahatma Gandhi, 1869~1948)의 말이다.

(5) The way to love anything is to realize that it might be lost(사랑하기 전에 사랑의 대상을 잃을 수 있다는 걸 인식하라). 영국 작가 길버트 체스터턴(Gilbert K. Chesterton, 1874~1936)의 말이다.

(6) Love and nothing else very soon is nothing else. The emotion of love, in spite of the romantics, is not self-sustaining; it endures only when the lovers love many things together, and not merely each other(사랑 말곤 아무것도 필요 없다는 식의 사랑은 곧 아무것도 아닌 게 된다. 사랑의 감정은 낭만적이지만 자립해 존재할 수 있는 게 아니다. 그것은 연인들이 서로 사랑하는 것뿐만 아니라 많은 것을 같이 사랑할 때에만 지속되는 법이다). 미국 칼럼니스트 월터 리프먼(Walter Lippmann, 1889~1974)의 말이다.각주1)

(7) Love does not consist in gazing at each other but in looking outward together in the same direction(사랑은 서로 마주보는 게 아니라 함께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다). 프랑스 작가 생텍쥐페리(Antoine de Saint-Exupéry, 1900~1944)의 말이다.

(8) To be loved, and to love, need courage, the courage to judge certain values as of ultimate concern-and to take the jump and stake everything on these values(사랑받고 사랑하는 건 용기가 필요하다. 이 용기는 어떤 가치를 궁극적인 관심사로 판단하는 용기며, 이러한 가치를 위해 달려가며 모든 걸 거는 용기다).각주2) 유대인으로 독일계 미국인 학자인 에리히 프롬(Erich Fromm, 1900~1980)의 말이다.

(9) It is easier to love humanity than to love one’s neighbor(이웃을 사랑하는 것보다는 인류를 사랑하는 게 쉬운 일이다). 미국 작가 에릭 호퍼(Eric Hoffer, 1902~1983)의 말이다.

(10) Love is the word used to label the sexual excitement of the young, the habituation of the middle-aged, and the mutual dependence of the old(사랑은 젊은이의 성적 흥분, 중년의 일상적 습관, 노년의 상호의존에 딱지를 붙이기 위해 사용된 단어다). 미국 작가 존 치아디(John Ciardi, 1916~1986)의 말이다.

love

Love is a sweet torment

ⓒ 인물과 사상사 | 저작권자의 허가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강준만 집필자 소개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탁월한 인물 비평과 정교한 한국학 연구로 우리사회에 의미있는 반향을 일으켜온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 대표 저서로는 <강남 좌파>, <한국 현대사 산..펼쳐보기

출처

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3
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3 | 저자강준만 | cp명인물과사상사 도서 소개

‘재미 영어’를 위한 이 책은 지리와 역사, 경제·경영·기업, 자연·과학·기술, 정치·권력·리더십, 심리·마음·두뇌, 대중문화·미디어·언론, 남녀관계·노동·스포츠, 신..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언어 일반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러브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3,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