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캐트닙 개박하, catnip
    재배지 유럽과 중앙아시아, 서남아시아가 원산지이며 프랑스, 미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에서 재배한다. 요리 및 이용 잎을 조미료나 약용으로 사용한다. 잎은 수프, 소스의 향을 내는 데 사용하며 샐러드에 넣기도 한다. 잎을 건조하여 허브 차로 마시면 잠을 유도하는 진정작용과 해열 효과가 나타난다. 캐트닙(catnip...
    분류 :
    꿀풀과(Lamiaceae, Labiatae)
    학명 :
    Nepeta cataria L.
    본초명 :
    심엽형개(心葉荊芥)
    종류 :
    천연 향신료
    활용부위 :
    지상부
    외국어명 :
    catnep, catswort, catmint〈영어〉, cataire〈이탈리아어〉, 이누학카〈犬薄荷, 일본어〉
    도서 향신료백과 | 태그 식물
  • 오레가노 Oregano
    유래되었다. 꽃박하라고도 불리며 톡쏘는 박하 같은 향이 있고 최면효과가 뛰어나다. 유럽 북부와 중부에서는 'wild marjoram'이라고 부르며, 많은 음식에 조미료로 널리 쓰인다. 스페인어로 'orégano'는 마요라나를 뜻하는데 이 향료식물은 때때로 마요라나와 서로 바꾸어서 이용하기도 한다. 형태 줄기는 적갈색이고...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꿀풀과
    꽃색 :
    연보라색
    크기 :
    약 30cm ~ 60cm
    학명 :
    origanum vulgare
    꽃말 :
    사색
    용도 :
    향신료 용
  • 개박하 catnip
    제주도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상록활엽수림 아래에 자생하며, 개체수는 많지 않다. 활용 민간에서는 감기에 걸리고 열이 있을 때 차로 끓여 마시거나 조미료로 이용한다. 특히 개박하에 들어있는 ‘네페탈락톤(Nepetalactione)이라는 성분의 향기와 맛이 고양이를 흥분시켜 고양이 장난감을 만들 때 속으로 넣기도...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꿀풀과 > 개박하속
    원산지 :
    유럽, 아시아
    서식지 :
    산, 들
    꽃색 :
    연보라색
    크기 :
    약 50cm ~ 1m
    학명 :
    Nepeta cataria L.
  • 김치양념 만들기
    배추 6~7포기 재료 : 굵은 고춧가루(5컵+1/2컵), 고운 고춧가루(1/2컵), 까나리액젓(300g), 새우젓(150g), 김치육수(2컵), 다진 마늘(200g), 생강(60g), 조미료(5g), 고운 소금(2), 배(1/4개), 양파(1개), 설탕(150g) 만들기 재료 준비하기 양파, 생강, 배는 강판에 갈고 나머지 재료는 분량대로 준비합니다. 고춧가루...
    도서 김치비전 | 태그 음식 , 레시피
  • 석류 石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외식업소에서는 석류를 통째로 압착해 주스나 소스를 위한 즙으로 만들어 활용하거나, 과피는 말려서 분말로 만들어 밀가루 반죽, 천연 조미료, 샐러드 드레싱 등에 이용할 수 있다. Tip 전남 고흥군이 2012년 국내 최초로 개발한 석류 신품종 '꽃향 1호'가 2015년 석류 품종으로는 최초로 국립...
    분류 :
    농산물 〉 과일류 〉 일반과일류
    원산지 :
    [국내산] 전남 고흥, 경남 거제, [수입산] 미국 캘리포니아
    생산시기 :
    9~12월
    생산량 :
    2014년 748톤(국내산추정), 10,000톤(수입산추정)
    가공식품 :
    농축과즙, 주스, 과일주, 과피(건조)
  • 산형과 傘形科, Apiaceae
    등을 포함한 많은 종들은 독성이 있지만 다른 종들은 채소로 널리 쓰인다. 채소로 쓰는 종으로는 파슬리·당근·셀러리·파스닙·회향 등이 있다. 향료와 조미료로 쓰는 종으로는 아니스·시라·고수·캐러웨이·커민 등이 있다. 또한 오랫동안 본초와 민간의학에 써왔던 종으로는 암모니아고무·왜방풍이 있으며, 일부...
  • 미역취 goldenrod
    생 미역취를 쌈으로 먹을 때에는 끓는 물에 소금을 넣고 데쳐서 떫은 맛을 우려낸 후 먹는다. 미역취볶음을 할 때에는 삶아서 찬물에 담가 하룻밤 불린 다음 질긴 부분을 떼어내고 기름을 두르고 볶다가 참기름, 파, 마늘과 같은 조미료를 넣어 무친다. 음식 궁합 미역취나물을 무칠 때에는 참기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초롱꽃목 > 국화과 > 미역취속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일본)
    서식지 :
    산과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
    크기 :
    약 30cm ~ 85cm
    학명 :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꽃말 :
    경계, 예방
    용도 :
    무침용, 국거리용
  • 대파
    종류로 양파 비슷하게 생긴 잎줄기 채소로 파 냄새가 나지 않는 향긋한 작은 파를 일컫는다. 골파는 잎의 아래쪽을 잘라 달걀, 수프, 샐러드, 채소 등 음식의 맛을 내는 조미료로 주로 사용한다. 또한 돼지고기와 궁합이 좋은데 골파에 부족한 비타민 B1을 돼지고기가 보충해주며 돼지고기의 누린내를 골파가 제거해준다...
    분류 :
    농산물 〉 채소류 〉 엽경채류
    원산지 :
    [겨울대파] 전남 진도/영과, 전북 임실, 제주, [구조파] 전북 부안, 경기 일원, [하우스파] 경기 일원, [노지파] 강원 옥계, 경기 일원, 경북 영덕/상주/김천
    생산시기 :
    겨울대파 1~3월, 구조파 4~5월, 하우스파 6~8월, 노지파 8~10월
    생산량 :
    평년 308,581톤, 2013년 304,817톤
    가공식품 :
    절임김치
  • 로즈메리 미질향, rosemary
    잎은 음식의 맛을 내는 데 쓰는데 차 같은 향이 나고 자극적이며 약간 쓴맛이 난다. 조미료로 쓸 때에는 말린 잎이나 신선한 잎을 조금씩 넣는데 특히 새끼 양고기, 오리고기, 닭고기, 소시지, 해산물요리 음식의 속을 채우기 위해 넣는 소·스튜·스프·감자·토마토·순무 그밖의 다른 채소요리와 음료수 등에 사용...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꿀풀목 > 꿀풀과
    원산지 :
    유럽
    서식지 :
    햇빛이 잘 들는 곳
    크기 :
    약 1m ~ 2m
    학명 :
    Rosmarinus officinalis
    꽃말 :
    나를 생각해요
  • 마늘 garlic, ail blanc〈프랑스어〉
    요리 및 이용 다양한 황 함유 화합물 때문에 나는 강한 향미로 동양 요리는 물론 프랑스, 이태리 요리에도 이용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각종 음식의 조미료로 사용하고 있다. 장아찌, 볶음 요리로 해서 먹으며 빵, 파스타 그리고 김치 등의 각종 요리에도 활용한다. 마늘의 약리성분 마늘의 대표 성분은 알리인...
    분류 :
    백합과(Liliaceae)
    학명 :
    Allium sativum L.(식물명: 마늘)
    본초명 :
    대산(大蒜)
    종류 :
    천연 향신료
    활용부위 :
    비늘줄기
    외국어명 :
    aglio〈이탈리아어〉
    도서 향신료백과 | 태그 식물 , 채소 , 식재료
  • 글루텐 부소, gluten
    한다. 글루텐은 특식 고단백 아침식사나 여러 종의 곡류로 만든 음식 속에서도 발견되며, 접착제나 사료로도 사용된다. 글루텐은 글루탐산이나, 그 염이 조미료로 사용되는 글루탐산일나트륨과 같은 특정 아미노산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글루텐은 구성성분과 그 원료에 따라 성질이 달라지며 그 성질에 따라 빵을 굽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식재료
  • 글리코사이드 글리코시드, glycoside
    탄수화물과 같이 존재한다. 글리코사이드는 식물의 꽃이나 과일의 색소, 예컨대 안토시아닌에서 많이 발견된다. 식물에서 추출한 여러 종류의 의약품, 조미료와 염료는 글리코사이드에서 얻어진다. 이를테면 글리코사이드계 강심제로 알려진 디기탈리스와 스트로판투스 제제는 강심작용을 나타내는 글리코사이드로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3건

조미료
조미료
조미료
인공조미료
고추장
간장
식초
설탕
소금
식초와 조미료
조미료, 향신료(香辛類)
복합 조미료 고르는 법
조미료인 ‘아지노모도’ 광고 (『동아일보』 1928년 11월 14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