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이방원의 〈하여가〉에 답해 지은 것으로 충성심을 보이는 대표적 노래이다. 이방원은 아래의 내용의 시를 지어 정몽주의 마음을 떠보았다.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단심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 죽어/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이시랴"
이 노래는 〈포은집〉·〈해동악부〉 등에 한역시가 실려 있으며,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의 각 이본 및 그 밖의 많은 책에 실려 있다.
조선 제3대 태종이 된 이방원의 〈하여가 何如歌〉에 답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신하의 충성심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노래이다. 이방원은 정몽주가 고려를 무너뜨리고 새 왕조를 세우는 일에 가담할 뜻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하여가〉를 지어 그의 마음을 떠보았다.
이방원이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라"고 유혹했으나 정몽주는 "이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 죽어/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이시랴"라고 받아치며 유혹을 뿌리쳤다 한다. 절박한 상황에서도 다양하고 묘미있는 표현을 보여준 작품이다. 이 노래는 조선의 개국과정에서 반대파의 주장을 대변했으나, 개국 후에는 신하의 충성심을 나타내는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 사회개혁보다는 질서유지가 더 중요하다는 쪽으로 노선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포은집〉·〈해동악부〉 등에는 한역시가 실려 있으며,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의 각 이본 및 그밖의 많은 책에 실려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