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농산물 〉 채소류 〉 엽경채류 |
---|---|
원산지 | [겨울대파] 전남 진도/영과, 전북 임실, 제주, [구조파] 전북 부안, 경기 일원, [하우스파] 경기 일원, [노지파] 강원 옥계, 경기 일원, 경북 영덕/상주/김천 |
생산시기 | 겨울대파 1~3월, 구조파 4~5월, 하우스파 6~8월, 노지파 8~10월 |
생산량 | 평년 308,581톤, 2013년 304,817톤 |
가공식품 | 절임김치 |
요약 우리나라 음식의 대표적인 향신 채소인 대파는 중국으로부터 들여와 국내에서는 적어도 통일신라시대부터 재배되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처럼 파는 재배역사가 오래되었고 우리 국민의 식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재배면적이 넓고 종자의 유통량이 많다.
생산
원산지 : [겨울대파] 전남 진도/영과, 전북 임실, 제주, [구조파] 전북 부안, 경기 일원, [하우스파] 경기 일원, [노지파] 강원 옥계, 경기 일원, 경북 영덕/상주/김천
생산시기 : 겨울대파 1~3월, 구조파 4~5월, 하우스파 6~8월, 노지파 8~10월
생산량 : 평년 308,581톤, 2013년 304,817톤
활용
대파에는 두가지 맛이 있다. 생으로 사용할때는 알싸한 매운 맛과 특유의 향이 있지만, 익히면 촉촉한 식감과 달콤한 맛으로 변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을 잘 활용하면 대파의 쓰임새를 더욱 넓힐 수 있다.
대파를 썰어 라면수프와 함께 볶은 후 물을 붓고 라면을 끓인 다음 맨 위에 파채를 듬뿍 올리는 대파라면부터 올리브유에 볶은 대파를 올리는 대파 부르스케타, 대파 파스타, 대파 겉절이 등 요리의 주재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골파
파의 종류로 양파 비슷하게 생긴 잎줄기 채소로 파 냄새가 나지 않는 향긋한 작은 파를 일컫는다. 골파는 잎의 아래쪽을 잘라 달걀, 수프, 샐러드, 채소 등 음식의 맛을 내는 조미료로 주로 사용한다. 또한 돼지고기와 궁합이 좋은데 골파에 부족한 비타민 B1을 돼지고기가 보충해주며 돼지고기의 누린내를 골파가 제거해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