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전영지 畿甸營誌
    절효(節孝), 열녀, 권4에 문과, 음사(蔭仕), 연방(蓮榜), 처사(處士), 무과, 고적 등으로 이루어졌다. 증보된 것은 주로 19세기 서양세력 침투로 인한 병인양요, 신미양요와 관련된 내용들이다. 의의와 평가 『수원부읍지』는 1895년(고종 32)에 편찬되어 제작 시기가 가장 확실한 읍지이다. 이 책은 19세기 전반의...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문헌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강화군
    인천광역시의 북서부 경기만에 있는 군. 1995년 지방자치선거를 앞두고 실시된 행정구역개편으로 인천광역시에 통합되었다. 몽골의 침입·병자호란·병인양요·신미양요·운요호사건 등 역사사건의 무대가 되었던 곳이며, 최근에는 수도권의 주말관광 휴양지가 되고 있다. 한강·임진강·예성강이 합류하는 하구에 위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천
  • 외규장각 外奎章閣
    부르며 둘의 성격을 구분하여 도서를 보관하였다. 외규장각에는 주로 역대 왕의 글과 글씨, 어람용 의궤 및 주요 서적, 왕실 관련 물품을 보관했다. 병인양요 이전까지 외규장각 도서는 1,007종 약 6,000권 정도였는데, 프랑스 함대의 로즈 제독이 수천 권의 책을 불태우고 은궤, 어새(왕실 도장), 지도 등과 함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위정척사 운동 衛正斥邪運動
    위정척사를 주장한 이항로·기정진·김평묵·최익현·유인석 등의 유학자들을 위정척사파라 칭했다. 반외세를 주장한 위정척사파는 병인양요 등 외세의 침략과 개화에 반대하여 상소 운동을 벌였으며, 을미·을사 의병을 일으켜 반일 투쟁을 벌였다. 기정진의 손자인 기우만은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고 단발령이 반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유교
  • 강화군의 연혁
    때에는 강화성이 함락되어 청나라와 강화를 맺었다. 숙종대에 53개의 돈대를 설치, 강화 내성·외성 등을 축조하여 강화의 방비를 강화했다. 1866년 병인양요 때에는 프랑스 함대가 강화성을 함락하여 약 1개월간 머물렀으며, 1871년 신미양요 때에는 미군 함정이 잠시 초지진·덕진진·광성보를 함락했다. 1876...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천
  • 영종도 영종용유도, 永宗島
    고군산군도·흑산도 등을 경유해 중국의 명주까지 연결되는 항로의 거점으로 객관이 세워지기도 했다. 조선 숙종 때는 교동수영에 속했고, 영조 때는 새로 진을 설치하는 등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시되었다. 또한 병인양요 때 프랑스 함대가 이 섬을 지나 강화도까지 가기도 했다. 면적 104.28㎢, 인구 66,762(2017...
    인구 :
    109,108 (2022)
    면적 :
    104.28㎢
    소재지 :
    인천광역시 중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천
  • 세계최초의 방탄조끼 조선군의 ‘면제배갑’
    하는 전장에서 이는 무의미했다. 이 때문에 오히려 병사의 방어수준은 결과적으로 수백 년 전 기사보다 더 후퇴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1866년 병인양요 직후 우수한 방호 능력을 지니면서도 무게가 가벼운 방탄조끼가 등장했다. 최근에야 개발된 줄 알았던 군사 과학기술의 결정체가 100년도 더 된 우리 역사 속에...
    도서 과학향기 | 태그 문화재 , 물품
  • 문수산성 사젝 제 139호, 文殊山城
    등 3개의 문루와 3개의 암문이 있었다. 이 가운데 취예루는 갑곶진과 마주보는 해안에 있었으며 강화에서 육지로 나오는 관문 구실을 했다. 1866년(고종 3)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침입해 치열한 격전을 벌였던 곳이다. 이때의 전투로 해안 쪽의 성벽과 문루가 모두 파괴되어 없어졌고 지금은 산등성이를 연결한 성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삼랑성 사적 제130호, 三郞城
    짓고 옮겨놓았다. 이를 정족산사고라 한다. 1739년(영조 15)에 중수하면서 남문에 문루를 건립하고 종해루라 명명했다. 1764년 다시금 성을 중수했다. 1866년(고종 3) 양헌수 장군이 프랑스군을 물리친 병인양요의 승첩지로도 유명하며, 성안에는 양헌수의 승전비가 있다. 1976년 남문을 다시 복원하고 종해루를 세웠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천
  • 서원철폐 書院撤廢
    서원에 나누어준 토지도 세금을 낼 것이며 서원의 장은 지방 수령이 맡아 서원을 주관하는 조처를 시행했다. 이때는 경복궁을 중건하고 있었으며, 병인양요를 겪은 때라 대원군정권으로서는 가장 경제적으로 곤란한 때였다. 1870년에는 1868년의 명령을 제대로 시행하지 않은 서원은 사액서원이라도 훼철하라 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강화고려궁지 사적 제133호, 江華高麗宮址
    옛 궁터에 건립하면서 장녕전을 지어 조선 태조와 세조의 영정을 모셨고, 강화유수부 건물들과 규장외각을 건립해 많은 장서와 문서를 보관했다. 그러나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책과 서류를 약탈해갔으며 많은 건물이 불탔다. 지금 고려궁지에는 1638년(인조 16) 건립된 현윤관이 남아 있는데 1769년 중수하면서 '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물
  • 조불수호통상조약 대조선국 대법민주국 통상 조약, 朝佛修好通商條約
    일련의 천주교박해는 많은 프랑스 선교사들의 희생을 가져왔고, 그것은 조선과 프랑스 간의 충돌로 비화하여 프랑스 함대가 조선을 침략해 강화도를 점령한 병인양요의 빌미가 되었다. 프랑스가 본격적으로 조선과의 수교에 나선 것은 조미조약이 체결된 1882년부터였다. 프랑스는 디용을 전권(全權)으로 내세워 미국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병인양요
병인양요 격문
병인양요(丙寅洋擾)
피에르 구스타프 로즈(Pierre-Gustave Roze)
강화 삼랑성 중 남문과 종해루 후면
제너럴 셔먼 호
강화도 초지진
병인양요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