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문헌 조회순 목록
-
반야심경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婆羅蜜多心經), 般若心經) 『반야심경(般若心經)』은 반야 경전의 핵심 사상인 공사상을 요약하여 압축적으로 풀어낸 불교 경전이다. 짧은 분량으로 한국에서는 독송 등 의례..
-
징비록 (초본징비록(草本懲毖錄), 懲毖錄) 조선시대 문신 유성룡이 임진왜란 동안에 경험한 사실을 기록한 실기. 16권 7책으로 된 목판본이다. 이 책은 1969년 11월 7일에 국보로..
-
훈민정음 (훈민정음해례본, 訓民正音) 1446년에, 정인지, 신숙주 등이 훈민정음 예의, 해례, 정인지 서문 등을 담아 간행한 훈민정음 해설서.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
-
주역 (역경, 周易) 3경의 하나로,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유교경전.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인 동시에 가장 난해한 글로 일컬어진다. 공자가 극히 진중하게 여겨..
-
천수경 (千手經) 『천수경(千手經)』은 관세음보살의 광대한 자비심을 찬양하는 불교 경전이다. 한국불교에서 가장 대중적인 독경 경전 중의 하나가 『천수경(千手經..
-
카마수트라 (Kama-sutra) 현존하는 인도의 가장 오래된 성애에 관한 문헌. 여러 종류가 있으나 철학자 바차야나가 쓴 것으로 알려진 〈카마수트라〉가 가장 중요하다. 전체..
-
천부경 (天符經) 대종교(大倧敎)에서 신성시하는 기본 경전으로 우주창조의 이치를 81자로 풀이하고 있음 대종교의 기본 성전으로 천신(天神)인 한인(환인, 桓因..
-
훈민정음 해례본 (국보 제70호, 訓民正音解例本) 세종이 창제한 글자인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운용법 등을 설명한 한문 해설서로 《훈민정음》 원본에 해당한다. 크게 본문인 〈예의(例義)〉와 해..
-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조선시대 제1대 왕 태조로부터 제25대 왕 철종에 이르기까지 25대 472년간의 역사를 연월일 순서에 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역사서. 1,89..
-
한글 한글은 조선시대 제4대 임금인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반포한 우리나라 고유의 문자이다. 어려운 한자를 빌려 문자로 사용할..
-
명심보감 (明心寶鑑) 수신양성(修身養性) · 안신입명(安身立命) 등에 관한 옛 명현들의 논술 및 면학권선(勉學權善)의 내용을 담은 동몽서(童蒙書). 아동학습서. ..
-
목민심서 (牧民心書) 『목민심서(牧民心書)』는 정약용(丁若鏞)이 집필한 것으로, 수령이 지방 통치를 할 때 필요한 도덕적 규율, 행정 지침·방안 및 통치 이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