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인천광역시의 북서부 경기만에 있는 군으로 군청소재지는 강화읍 군청길이다. 면적 411.20㎢, 인구 69,013, 인구밀도 160명/㎢(2024). 1995년 행정구역개편으로 인천광역시에 통합되었다. 몽골의 침입·병자호란·병인양요·신미양요·운요호사건 등 역사사건의 무대가 되었던 곳이며, 최근에는 수도권의 주말관광 휴양지가 되고 있다. 초지진·마니산의 참성단·강화산성·전등사 등의 역사·문화유적이 풍부하다. 1970년 강화대교가 개통되어 육지와의 도로교통이 편리해졌으나 매우 노후되어 1997년 신강화대교를 건설, 개통했다.
인천광역시의 북서부 경기만에 있는 군. 1995년 지방자치선거를 앞두고 실시된 행정구역개편으로 인천광역시에 통합되었다. 몽골의 침입·병자호란·병인양요·신미양요·운요호사건 등 역사사건의 무대가 되었던 곳이며, 최근에는 수도권의 주말관광 휴양지가 되고 있다.
한강·임진강·예성강이 합류하는 하구에 위치하며, 동쪽은 염하를 끼고 김포시와 마주한다. 마니산·고려산·혈구산 등의 저산성산지가 솟아 있으며, 황경내·용목내 등의 계천이 흐른다. 해안의 충적지는 대부분 간척사업으로 조성되었다. 초지진·마니산의 참성단·강화산성·전등사 등의 역사·문화유적이 풍부하다. 1970년 강화대교가 개통되어 육지와의 도로교통이 편리해졌으나 매우 노후되어 1997년 신강화대교를 건설, 개통했다. 그밖에 김포시 대곶면 약암리와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 사이를 연결하는 제2강화대교가 개통되었다.
2007년 기준 교육기관은 유치원 24개소, 초등학교 22개교(분교 1개교 미포함), 중학교 10개교(분교 1개교 미포함), 고등학교 8개교와 가천의과학대학교·인천가톨릭대학교·안양대학교가 있다. 2006년 기준 의료기관은 병원 1개소, 의원 21개소, 치과의원 7개소, 한의원 9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29개소가 있다. 강화읍·길상면·선원면·불은면·화도면·양도면·내가면·하점면·양사면·송해면·교동면·삼산면·서도면 등 1개읍 12개면 96개 동리(법정리 기준, 행정리 기준은 185개)가 있으며, 군청소재지는 강화읍 군청길이다. 면적 411.20㎢, 인구 69,013, 인구밀도 160명/㎢(2024).→ 강화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인천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