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임오군란 壬午軍亂
    1882년(고종 19) 6월 9일 훈국병(訓局兵)들의 군료분쟁(軍料紛爭)에서 발단해 고종 친정 이후 실각한 대원군이 다시 집권하게 된 정변(政變).|역사적 배경 군란의 배경을 단지 민씨척족정권(閔氏戚族政權)에 대한 대원군을 중심으로 한 수구파(守舊派)의 정쟁(政爭)으로만 볼 수는 없다. 고종을 비롯한 민씨척족정권이...
    시대 :
    근대
    발생 :
    1882년(고종 19) 6월 9일(음력)
    성격 :
    정변
    유형 :
    사건
    종결 :
    1882년(고종 19) 7월 13일(음력)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흥선대원군
  • 구식 군대의 반란과 외침의 가속화, 임오군란 壬午軍亂
    1882년 임오년, 일본의 경제 침탈과 민씨 일파의 국고 낭비로 생활이 궁핍해진 구식 군대의 하급 군인들이 우발적으로 대규모 군란을 일으킨다. 이들은 궁궐로 쳐들어가 민씨 일파를 비롯해 일부 관리들을 처단하고, 일본 공사관을 습격해 신식 군대의 일본인 교관을 살해했다. 임오군란은 대원군의 재집권과 납치, 청일...
    시대 :
    1882년
  • 임오군란 壬午軍亂
    1882년 6월 5일 무위영 소속 구훈련도감 군병들이 부당한 대우에 항의하여 일으킨 사건. 모래가 섞인 쌀을 지급하던 관리들을 구타한 사건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민씨 정권 아래 각종 수탈을 받았고 생계에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었던 빈민과 5군영의 폐지와 13개월이나 급료가 지불되지 않은 하급군병이 민씨정권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분쟁
  • 임오군란 (관련어 임오 군란) Imo Incident, 壬午軍乱
    그리고 일본과 서양 세력에 대한 배척 운동으로 확대 시켰고, 전임 선혜청 당상 김보현, 당시 선혜청 당상 겸 병조판서 민겸호, 선혜청 창고지기인 그 수하의 착복 비리와 부정 축재 사실까지 드러나며 관련자들이 살해됐다. 성공하는 듯했던 난은, 중전 민씨를 놓친 데다가 조선 조정의 요청으로 청나라군이 개입하며 ...
    도서 위키백과
  • 청나라 시대, 조선을 둘러싼 청국과 일본의 대립
    임오군란 청국과 프랑스가 한창 전쟁을 벌이고 있을 무렵인 1884년 12월 조선에서는 ‘갑신정변(甲申政變)’이 일어났다. 갑신정변을 설명하자면 먼저 1882년에 있었던 ‘임오군란(壬午軍亂)’부터 설명해야 할 것이다. 조선조 25대 철종은 후사가 없었기 때문에 종친인 이하응(李昰應)의 아들 이희(李熙)를 맞아들여...
  • 임오군란의 결과
    대원군은 정상적인 급료 지급을 약속하고 별기군을 폐지했으며 5군영 체제를 복구시키는 등 사태 수습에 나섰다. 그 후 폭동은 가라앉았으나 군병들은 소규모 부대로 활동을 계속했다. 대원군 정권이 들어서자 일본과 청은 자신들의 이권을 지키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병력을 이끌고 서울에 온 일본 공사 하나부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임오군란의 전개
    무위영 소속 훈련도감 군병들은 6월 9일 아침 동별영에 집합하여 무위 대장 이경하와 선혜청 당상 민겸호에게 붙잡아간 사람들을 풀어달라는 등소를 올렸다. 등소가 실패하자 군병들은 민겸호의 집에 불을 지르고 무력 행사에 돌입했다. 동별영 창고를 열어 각종 무기를 꺼내 무장하고 무위영과 장어영의 다른 군병들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임오군란의 배경
    1882년 6월 5일 무위영 소속 구 훈련도감 군병들이 선혜청 도봉소에서 겨와 모래가 섞인 쌀을 급료로 지급하려던 관리들을 구타한 사건에서 비롯되었다. 도봉소 사건이 선혜청 당상 민겸호에게 보고되자 그는 즉시 훈련도감 군병들 가운데 김춘영·유복만·정의길·강명준 등을 주동자로 잡아들였다. 이들이 사형당할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임오군란 발발
    6월, 구식 군인들이 임오군란을 일으켰다. 13개월간 급료가 밀렸던 구식 군인들은 그나마 1개월치 급료로 받은 쌀에 겨와 모래가 잔뜩 섞여 있자 폭발했다. 이들은 부패한 민씨 정권의 핵심 인물들을 공격하고 일본공사관을 습격했다. 흥선대원군이 구식 군인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권좌에 복귀했지만, 청나라가 군대를...
    시대 :
    1882년 6월
    국가/대륙 :
    한국
  • 급진 개화냐 온건 개화냐, 김옥균 vs 민영익
    vs 청나라, 개화파의 갈림길 하지만 안타깝게도 1880년대로 접어들며 둘 사이는 점차 틈이 벌어지기 시작했어요. 왜 그랬을까요? 발단은 임오군란이었어요. 1882년 6월 임오군란이 발생하기 전까지 두 사람은 서로 힘을 합쳐 조선의 개화 정책을 이끌었어요. 1881년에 조사시찰단을 일본에 파견하여 일본 문물을...
  • 볍쌀, rice
    두미(五斗米)를 받았는데 이들이 종교집단을 형성하고 세력을 키워나가면서 미적(米賊)으로도 불렀다. 우리나라에서 쌀과 관련된 사건으로는 1882년에 일어난 임오군란(壬午軍亂)이 있다. 그해 6월 5일 선혜청 도봉소(都捧所)에서 구(舊)훈련도감 군병들에게 급료로 지급한 쌀이 선혜청 고직(庫直)의 농간으로 겨와 모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곡식 , 식재료
  • 오장경 Wu Changqing, 吳長慶
    청나라 말기의 군인. 안휘성 출신으로 1862년 이홍장 휘하의 군대에 들어가 상하이, 루장, 등지에서 태평천국군과 싸워 전공을 세웠다. 1882년 조선에서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청나라는 통령수사제독 정여창·마건충(馬建忠)을 파견하여 군란을 수습하도록 했다. 오장경은 광둥 수사제독(廣東水師提督)으로서 4,000여 명...
    출생 :
    1833
    사망 :
    1884
    국적 :
    청(淸),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역사인물 ,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임오군란(壬午軍亂)
임오군란 때 일본 공사관원 탈출도
임오군란시 일본공사관원 기념촬영
불타고 있는 일본 공사관
흥선대원군
임오군란의 불씨를 지핀 흥선대원군 이하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