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거문도 사건 영국의 거문도 무단 점거
    조선이 제국주의 열강에게 잇따라 문호를 개방하던 1880년대에 전라도 여천 거문도가 영국에 의해 2년 가까이 강제 점령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영국이 거문도를 무단 점거하고 철수하기까지 조선은 열강들의 틈바구니 속에서 독립 국가로서의 주권과 자주성을 유린당하는 수모를 겪어야 했다. 거문도 사건 이후 일부에서...
    시대 :
    1885년
  • 거문도사건 巨文島事件
    1885년 3월 1일 영국 동양함대사령관 W.M. 도웰 제독은 영국 동양함대 소속 군함 3척을 거느리고 일본 나가사키 항을 출발, 다음날 거문도를 불법 점령했다. 거문도사건은 영국이 러시아의 해군기지 블라디보스토크 항을 공격하기 위한 공격책이었다. 영국 외상 로즈베리는 1886년 3월 다른 나라들이 거문도를 점령하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세계사
  • 거문도사건 巨文島事件
    1885년(고종 22) 3월 1일부터 1887년 2월 5일까지 영국이 러시아의 조선 진출을 견제하기 위해 거문도를 불법 점령한 사건.|역사적 배경 거문도는 전라남도 여수와 제주도 사이에 위치한 섬으로서 고도(古島)·동도·서도의 세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변은 수심이 깊어 대형 선박을 수용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갖추...
    시대 :
    근대
    발생 :
    1885년(고종 22) 3월 1일
    성격 :
    외교분쟁, 외세침략
    유형 :
    사건
    종결 :
    1887년(고종 24) 2월 5일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영국 함대, 애스턴, 김윤식, 이홍장, 이원회
    관련 장소 :
    전라남도 거문도
  • 영국의 거문도 불법 점령
    3월 1일, 영국이 거문도를 불법 점령했다. 영국은 거문도를 해밀턴항이라 부르고 요새를 구축했다. 얼지 않는 항구를 노리는 러시아가 거문도로 남하할 것으로 예측하고 취한 조치였다. 영국은 페르시아(지금의 이란)와 아프가니스탄 등에서도 러시아와 대립해 왔다. 청나라가 중재에 나서 러시아로부터 거문도를 점령하...
    시대 :
    1885년 3월 1일
    국가/대륙 :
    한국
  • 거문도 사건 (관련어 거문도사건) Port Hamilton incide..
    거문도 사건(巨文島事件, llang)은 1885년(고종 22년) 4월 15일(음력 3월 1일)부터 1887년 2월 27일(음력 2월 5일)까지 대영 제국 영국 왕립해군이 조선 전라도에 있는 거문도를 불법 점거한 사건이다. 거문도는 현재의 전라남도 여수시와 제주도 사이에 위치한 섬으로, 세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반도와 일본 열...
    도서 위키백과
  • 거문도 사건과 주변국들의 각축
    조선은 갑신정변을 겪으며 청과 일본의 간섭과 개화파와 위정척사파의 갈등에 시달려야 했다. 이렇게 혼란한 정국 속에서 1885년 영국 함대가 거문도를 무단으로 점령하는 사건이 발생하며 조선은 열강의 각축장이 되기 시작했다. 거문도 사건은 영국이 러시아의 남진정책을 저지하기 위한 범세계적인 조치 중의 하나...
    시대 :
    1885년~1887년
  • Port Hamilton incident 거문도 사건, 巨文島事件
    The Geomun Island Incident or the Port Hamilton Incident was the occupation of the Geomundo (also Komundo or Port Hamilton) by the Royal Navy from 15 April 1885 to 27 February 1887.Russia had intended to use the island as a coaling station.While the British government was alarmed by rumours of a ...
  • 거문도 삼도(三島), 巨文島
    와서 거문도가 많이 거론된다. 19세기 말, 영국 해군이 러시아의 남진을 막기 위해 이 섬을 약 2년(1885년 4월 15일~1887년 2월 27일)간 불법 점거한 사건(거문도사건)이 발생하여 주목받는 섬이 되었다. 이 사건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서도 한반도의 부속 도서로 제주도, 울릉도와 함께 거론되었을 정도이다. 당시...
    유형 :
    지명/자연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거문도 巨文島
    섬을 아울러 '삼도'라 불러왔으며, 특별히 고도만을 거문도라 부르기도 했다. 이밖에 왜구의 침입이 잦다 하여 왜도, 1885년 영국의 함대가 거문도를 불법 점령한 거문도사건 때 붙여진 해밀턴항구, 중국인들이 이름 붙인 거마도(巨磨島) 등 여러 이름이 있었다. 지금까지도 부르고 있는 거문도라는 이름은 구한말...
    위치 :
    전라남도 여수시 남서부 해상
    성격 :
    면적 :
    12㎢
    국가 :
    대한민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거문도 Port Hamilton, 巨文島
    남해 한가운데, 제주도와 여수의 중간 지점에 있어서 어업과 전략상 중요한 곳이며, 구한말 외세의 세력 다툼 때문에 1885년 영국이 이곳을 불법 점거한 거문도 사건(1885년 4월 ~ 1887년 2월)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래서 영국에서는 거문도(巨文島)를 포트 해밀턴(Port Hamilton)이라고 부른다. 현재 거문도 지역은...
    도서 위키백과
  • 격동하는 근대
    일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투쟁을 거듭한다. – 1866년 병인양요 – 1871년 서원 철폐령 – 1871년 신미양요 – 1875년 운요호 사건 – 1882년 임오군란 – 1884년 갑신정변 – 1885년 거문도 사건 – 1894년 동학 농민 전쟁 – 1895년 을미사변 – 1896년 아관파천 – 1897년 대한제국 성립 – 1898년 만민공동회...
  • 조로육로통상조약 朝露陸路通商條約
    하트(Hart, R.)의 권고에 따라 조선정부의 외교고문에 미국인 데니를 임명하였다. 데니의 임명을 계기로 조선정부는 미국의 세력을 끌어들여 조로밀약사건거문도사건 등으로 고조된 청 · 일본 · 영국 · 러시아 사이에 얽힌 긴장관계를 완화하려 하였다. 청의 주선으로 조선에 온 데니는 고종으로부터 내무부사...
    시대 :
    근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거문도 사건과 영국 ・ 러시아의 대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