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을미사변 乙未事變
    1895년 10월 8일(음력 8월 20일) 새벽 일본의 공권력 집단이 서울에서 자행한 조선왕후(명성황후) 살해사건.|개설 명성황후시해사건(明成皇后弑害事件)이라고도 한다. 내용 사건 당시 서울 현지에서 이를 지휘한 일본측 최고위 인물은 부임한지 37일밖에 안되는 일본공사 미우라[三浦梧樓]였으며, 주요 무력은 서울 주...
    시대 :
    근대
    발생 :
    1895년 10월 8일(음력 8월 20일)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명성황후
    관련 장소 :
    경복궁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을미사변 乙未事變
    1895년 10월 8일 새벽 일본이 경복궁을 습격해 조선의 왕비를 시해했다. 조선 침략의 최대 걸림돌을 제거해 한반도와 그 주변에서의 지배권을 회복하기 위해 저지른 만행이었다. 청일 전쟁과 갑오개혁, 삼국 간섭으로 근대사의 격변에 휩싸인 조선은 결국 국모 시해라는 충격적인 사건을 맞는다. 45세의 나이에 참살된 ...
    시대 :
    1895년
  • 을미사변 명성황후시해사건, 乙未事變
    1895년 10월 8일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의 지휘 아래 일본군과 낭인이 경복궁에 난입하여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閔氏)를 시해한 사건. 주한공사 미우라의 지시를 받은 일본인들은 고종과 명성황후의 침소인 건청궁에 난입하여 고종에게 미리 준비한 명성황후의 폐출조서에 서명을 강요하며 위협했다. 이어 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분쟁
  • 을미사변 명성황후 암살 사건, 乙未事變
    일본이 삼국 간섭에 굴복하자 이를 러시아에 대한 굴복으로 해석한 조선의 명성왕후 등은 더욱 친러적 경향을 보이게 되었다. 즉 친일파 내각을 몰아내고 친러파 내각을 조직하여 자신들의 집권 음모를 추진하는 한편, 러시아에 대하여는 그 후원의 대가로 함경도의 항구 하나를 대여해 준다는 밀약까지 해놓고 있었다. ...
  • 을미사변 명성황후시해사건, 乙未事變
    을미사변은 1895년에 일본 낭인들이 명성 황후를 시해한 사건이다. 1894년 일본은 청일 전쟁에서 승리해 랴오둥 반도를 차지하고 조선에서 세력을 넓혔다. 그러나 일제의 지나친 세력 확장을 염려한 러시아 ・ 독일 ・ 프랑스는 일제에 압력을 넣어 랴오둥 반도를 청나라에 반환시켰다(삼국 간섭). 또 조선이 러시아를 ...
  • 을미사변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llang)은 1895년 10월 8일(음력 8월 20일)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이 경복궁(景福宮)에 난입하여 건청궁(乾淸宮) 곤녕합 일대에서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閔氏)를 칼로 찔러 시해하고 시신에 석유를 뿌려 불에 태운 사건이다. 다른...
    도서 위키백과
  • 명성황후와 을미사변
    세도정치에 치를 떨었던 흥선대원군은 고종의 황후로 한미한 집안 출신인 명성황후를 간택했다. 하지만 타고난 총명함을 지닌 명성황후는 흥선대원군을 견제하며 조선의 개항을 유도하는 등 개화기 20여 년간 조선의 정치를 장악했다. 한편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박영효를 중심으로 한 친일내각을 구성해 조선에서...
    시대 :
    1895년
  • 을미사변
    1895년 친러세력의 숙청을 위해 미우라 일본 공사의 주도로 일본 자객이 조선 궁궐에 침입하여 명성황후를 시해한 사건이다. 이후 일본은 친일 내각을 세우고 을미개혁을 시행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태양력과 종두법 실시 •연호(건양)의 사용 •소학교 설치 및 우편제도 실시 •군제 개편(친위대, 진위대)
  • 명성황후 (관련어 을미사변) 명성태황후 민씨, 明成皇后
    조선 제26대 국왕 고종의 비. 구한말 국내외적 혼란기에 흥선대원군을 비롯한 외세와의 대립 속에서 정치적 영역을 확대했다. 개국 정책으로 일본과 수호조약을 체결했고,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때에는 청군의 개입으로 정권을 잡았다. 1895년 을미사변으로 일본 낭인들에 의해 살해되었다.|풍전등화의 조선에서 치열하...
    출생 :
    1851년
    사망 :
    1895년
  • 건청궁 (관련어 을미사변)
    건청궁은 경복궁 내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한 궁궐로 1,873년(고종 10)에 지어졌다. 이곳은 명성황후가 일본인들에게 무참히 시해된 곳이다. 청일전쟁이 끝난 후 명성황후가 일본 세력을 배척하자 일본공사 미우라가 주동이 되어 고종 32년 (1895) 10월 8일(음력 8월 20일) 일본인들이 경복궁에 침입하여 많은 상궁과 명...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을미사변
    대도 일부 가담했다. 명성황후가 러시아를 끌어들여 일본을 배제하려 하면서 친일 인사들이 밀려나고 친러 내각이 구성되자, 일본이 무리수를 둔 것이다. 일본은 을미사변 직후 고종을 압박해 다시 친일 내각이 들어서게 했다. 을미사변에 대해 조선 내부는 물론 미국, 러시아 등도 거세게 반발했다. 일본은 흥선대원군...
    시대 :
    1895년 8월 20일
    국가/대륙 :
    한국
  • 아관파천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몸을 피하다
    2월 11일 새벽, 을미사변 이후 신변의 위협을 느끼던 고종이 경복궁을 빠져나와 러시아 공사관으로 몸을 피했다(아관파천). 친일 내각을 이끌던 김홍집 등이 그 직후 성난 군중의 손에 목숨을 잃으면서, 친러 내각이 성립됐다. 아관파천을 계기로 일본의 세력이 위축되고 러시아의 영향력이 커졌으며, 이권이 속속 외국...
    시대 :
    1896년 2월 11일
    국가/대륙 :
    한국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을미사변을 일으킨 낭인들
서울 경복궁 건청궁 내 옥호루 측면
경복궁 건청궁 곤녕합 옥호루
명성황후 조난지 / 표석
명성황후 어진
을미사변에 대한 상소문(1896)
을미사변을 일으킨 일본 낭인들
을미사변과 단발령을 비판하는 고광순의 상소문(1896)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