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시도유형문화재 조회순 목록
-
석파정 (石坡亭)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후기에 건립된 흥선대원군 이하응 관련 누정. 197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
-
낙산사 (洛山寺) 낙산사는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오봉산(五峰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이다. 오봉산은 낙산이라고도 한다...
-
낙성대 (落星垈)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있는 고려전기 무신 강감찬의 사당.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 1972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
-
경포대 (鏡浦臺)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고려후기 강원도 존무사 박숙정이 건립한 누정. 누각·조경건축물. 보물. 정면 5칸, 측면 5칸의 팔작지붕건물. 2019..
-
혼천의 (선기옥형, 渾天儀) 천체의 운행과 그 위치를 측정하던 천문관측기. 일명 혼의(渾儀) · 혼의기(渾儀器) · 선기옥형(璇璣玉衡)이라고도 한다. 고대 중국의 우주관..
-
고려사 (高麗史) 『고려사』는 조선전기 문신 김종서·정인지·이선제 등이 왕명으로 고려시대 전반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여 편찬한 역사서이다. 세종의 명에 의해 시..
-
신사임당 초충도병 (申師任堂 草蟲圖屛) 조선 중기의 여류 화가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작품으로 전해 오는 초충도(草蟲圖). 1971년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
-
김시민 장군 전공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호, 金時敏將軍戰功碑) 1592년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 큰 공을 세운 김시민의 전공을 기록해 놓은 김시민 장군 전공비(金時敏將軍戰功碑)는 현재 진주성 내의..
-
천상열차분야지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8호, 天象列次分野之圖) 조선 건국 초, 국가 주도로 흑요암(黑曜岩)에 새겨 만든 천문도. 조선 왕조를 세운 태조가 새 왕조의 표상으로 천문도를 갖길 원해 서운관(書..
-
연미정 (燕尾亭)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고려시대 팔작지붕 형태의 누정. 정자. 1995년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정..
-
효령대군 이보 묘역 (孝寧大君 李𥙷 墓域)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조선전기 제3대 태종의 2남 효령대군 이보(李𥙷)의 사당. 묘. 1972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
-
수어장대 (守禦將臺)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에 있는 조선후기 에 건립된 팔작지붕의 건물. 장대·성곽시설. 아래층은 정면 5칸, 측면 4칸, 위층은 정면 3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