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신미양요 辛未洋擾1871년(고종 8) 미국 아시아함대가 강화도에 쳐들어온 사건. 역사적 배경 미국은 1866년 8월 평양 대동강에서의 제너럴셔먼호(General Sherman號) 사건을 계기로 조선의 개항문제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사건 발생 뒤 미국은 두 차례 탐문항행(探問航行)을 실시하였다. 또 셔먼호사건을 응징하고 이에 ...
- 시대 :
- 근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조불전쟁과 조미전쟁 병인양요19세기 조선은 구미 각국의 계속되는 통상 요구를 침략의 위협으로 보고 이에 응하지 않았다. 흥선대원군은 이전의 세도정치에 비해 훨씬 진보적인 개혁정치를 펼쳤지만 전통 체제 내에서는 분명한 한계점이 있었다. 이는 대외관계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조불전쟁은 1866년 대원군의 천주교도 탄압 사건에 대한 보복으로...
- 시대 :
- 19세기 중반
-
미국 함대의 대대적인 공습, 신미양요 辛未洋擾‘서양 오랑캐가 쳐들어오는데도 싸우지 않는다면 화친하는 것이요,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팔아먹는 것이다. 우리 자손 만년에 경계하노라’ 흥선대원군 집권기의 대외 정책은 1871년 신미양요 직후 전국 각지에 세운 척화비에 새긴 글로 집약된다. 한마디로 쇄국양이 정책이다. 제너럴 셔먼 호 사건으로 서양 세...
- 시대 :
- 1871년
-
United States expedition to Korea 신미양요, 辛未洋擾The United States expedition to Korea, the Shinmiyangyo, or simply the Korean Expedition, in 1871, was the first American military action in Korea.It took place predominantly on and around the Korean island of Ganghwa. The reason for the presence of the American land and naval force in Korea was ...출처 영어 위키백과
-
미국과 한국의 관계 미국과 한국과의 관계여의치 못했다. 병인양요 때 프랑스 함대를 물리친 흥선대원군은 이를 계기로 서양의 세력을 과소평가하게 되었고 통상수교거부정책을 더욱 강화해 나갔다. 신미양요 반면 미국은 남북전쟁의 충격이 가시고 중국과의 교역량이 증대되자 조선과의 수교 필요성을 크게 느끼게 되었다. 그러나 조선이 좀처럼 문을 열지...
-
-
-
-
강화 광성보 광성보, 江華 廣城堡연안을 따라 축조한 48개의 돈대 가운데 광성 · 손돌목 2개의 돈대를 관장하였다가 이후 광성 · 화도 · 오두 등 3개의 돈대를 관할하였다. 광성보는 신미양요 당시 최대 격전지였다. 1871년(고종 8) 6월 1일(양력) 초지진을 거쳐 강화해협(염하)을 따라 북상하던 미국 함대가 손돌목 근처에 도달하자 광성보에서 사격...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