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용과 피타야, 龍果
    먹으면 좋다. 식용법 과일을 2등분해서 스푼으로 떠먹거나 4등분하여 먹기 좋은 크기로 칼집을 내어 먹으면 좋다. 기호에 따라 적당량의 물, 우유, 요구르트, 꿀물 등을 첨가하여 믹서에 갈아 먹어도 용과의 뛰어난 맛을 느낄 수 있다. 태국과 베트남의 식당에서 먹어본 용과의 맛은 단맛이 약하고 담담하며 특이한 과일...
    분류 :
    선인장과(Cactaceae)
    원산지 :
    멕시코 및 과테말라
    학명 :
    Hylocereus undatus (Harworth) Britton & Rose
    활용부위 :
    식용 : 열매약용 : 꽃, 줄기
    외국어명 :
    pitaya〈영어〉, pitaya〈이탈리아어〉, pitaya〈스페인어〉, kaewmungkorn(깨우망껀)〈타이어〉, ピタヤ(피타야), ドラゴンフルツ(도라곤후루츠)〈일본어〉
  • 산행식량 섭취와 준비방법
    준비해 가는 게 바람직하다. 사계절 내내 보온병을 활용하자 사계절 내내 배낭에 보온병을 휴대하고 다니면 하루종일 산행해도 지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꿀물을 타마시면 좋다. 꿀은 자연에서 나는 최고의 단당류 탄수화물이며, 우리 신체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공급해주는 효과가 탁월하기 때문이다. 보온병에 따뜻한...
    도서 똑똑한 등산 | 태그 취미
  • 삼짇날 상사
    집에서는 진달래꽃을 찹쌀가루에 넣어 둥근 떡을 만들고 참기름에 지진 화전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녹두가루를 반죽하여 익힌 것을 가늘게 썰어 오미자국과 꿀물에 띄운 뒤 잣을 곁들인 화면을 만들어 사당에 올리고 먹는다. 또는 진달래꽃을 녹두가루에 반죽하여 만들기도 하며 붉은색으로 수면을 만들기도 한다...
    분류 :
    명절, 비공휴일
    날짜 :
    음력 3월 3일
  • 술 마시는 가족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중장년 심리상담 : 중독
    원래 남편은 술도 잘 못 마시고 소심했어요. 회식 때 술을 조금만 마시고 들어와도 인사불성으로 취해 다음날 숙취로 힘들어하곤 했죠. 그런 남편이 안쓰러워 꿀물도 타주고 발도 씻겨주고 했는데요. 어느 날부턴가 회사에서 억눌렀던 스트레스를 술을 먹고 집에 와서 풀기 시작하더라고요. 그래도 계속 받아줬는데...
  • 반딧불이류 발광벌레, firefly
    아랫면에 특수한 발광기가 있다. 납작하며 암갈색이나 검정색인 몸에는 주황색 또는 황색 무늬가 있다. 아무것도 먹지 않는 성충이 있는가 하면 꽃가루나 꿀물을 먹는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암수 모두 날개가 있고 빛을 낸다. 길쭉하고 납작한 유충을 닮은 날개없는 암컷을 흔히 발광벌레라고 한다. 때때로 부화되기 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절지동물
  • 제비가 돌아오는 때, 삼월삼짇날 삼삼일
    믿었습니다. 이날 시절 음식으로는 진달래꽃을 따다가 찹쌀가루로 반죽하여 둥근 떡을 만드는 화전(花煎)이 있으며, 녹두가루에 붉은색 물을 들여 그것을 꿀물에 띄운 것을 먹는데 이를 수면(水麵)이라고 하지요. 이밖에 '산떡'이라 하여 방울 모양으로 흰떡을 만들어 속에 팥을 넣고, 떡에다 다섯 가지 색깔을 들여...
  • 정신 차리고 빚어야 하는 궁중떡 혼돈병
    떡이라는 뜻으로 '후병' 따위로 부른다지요. 1766년 나온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도 '혼돈병'이라는 이름이 나오지만, 만드는 법이 "메밀가루를 꿀물에 타서 죽처럼 만들어 질항아리에 넣고 입구를 봉한 다음 겻불 속에 묻는다"라고 되어 있어 《규합총서》의 것과는 다릅니다. 임금 생일에는 빠짐없이...
  • 하야메카와 철물점에 있는 찻집 겸 갤러리, 速魚川
    국가의 유형문화재로 등록된 하야메카와에서 운영하고 있다. 철물점이기는 하지만 대부분이 주방 용품과 인테리어 소품을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여성들이 특히 좋아한다. 정원에 흐르는 작은 개천을 바라보며 커피와 간자라시(찹쌀떡에 꿀물을 부은 시마바라의 명물 음식)을 맛보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참고
    위치 :
    시마바라(島原) 역에서 도보 5분 / 시마바라 성 앞
    요금 :
    커피: 500엔 / 간자라시: 400엔 / 젠자이(팥죽과 비슷): 400엔
    참고 :
    전화: 0957-62-3117
    사이트 :
    www.inohara.jp
    이용 시간 :
    10:00~18:00
  • 깨꽃 Salvia
    20~80cm 정도이고, 6월에서 10월까지 피는 꽃은 붉은색이 대표적이며 밝은 상아색이나 보라색을 띠기도 한다. 과거에는 꽃을 따서 꽁무니 쪽을 빨면 달콤한 꿀물이 나와서 이것을 식용했으나 현재는 흔하지 않고, 다른 품종을 다른 방식으로 식용하고 있다. 특징 꽃은 단맛이 나고, 허브로 쓰는 것은 향이 좋다. 위를...
    분류 :
    목련강 > 국화아강 > 꿀풀목 > 꿀풀과 > 배암차즈기속
    용도 :
    관상용, 약용, 향채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재료
  • 단백질 0.2∼0.3%, 회분 0.05∼0.2%, 비타민 B 복합체인 B1·B2·B6·판토텐산 등과 개미산·젖산·사과산·색소·고무질·왁스·효소 등이 함유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꿀은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유밀과·약식·다식 등의 감미료로 사용되기도 하고, 꿀을 타서 그대로 마시는 꿀물로도 이용된다. 참고문헌
    성격 :
    음식
    유형 :
    물품
    용도 :
    식생활, 음료용
    분야 :
    생활/식생활
  • 삼짇날 답청절, 三짇날
    꿀을 타고 잣을 넣어 먹으니 이것을 ‘화면(花麵)’이라고 한다. 더러는 진달래꽃을 꺾어다가 녹두가루와 반죽하여 만들기도 하며, 붉은 색으로 물을 들이고 꿀물로 만들기도 하는데, 이것을 ‘수면(水麵)’이라고 하며, 시식(時食)으로 제사에도 사용한다. 흰떡을 하여 방울 모양으로 만들어 속에 팥을 넣고, 떡에다...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삼짇날 풍습
    만드는데 그것을 화전(花煎)이라고 한다. 또 진달래꽃을 녹두가루에 반죽하여 만들고, 녹두로 국수를 만들기도 하며, 녹두가루에 붉은색 물을 들여 그것을 꿀물에 띄운 것을 수면(水麵)이라고 하는데 이것들은 시절음식으로 제사상에도 오른다"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밖에 '산떡'이라 하여 방울모양으로 흰떡을 만들어...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