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개요
중국은 영토가 넓고 지형이나 기후가 아주 복잡한 나라이다.
따라서 중국의 각 지역은 다양한 자연적 조건에 적응하면서 각각의 생활상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형식의 주거건축을 만들어왔다. 신석기시대 후기 자연적 조건을 잘 이용해 여러 가지의 원시주거를 만들었다. 현재 알려져 있는 것으로는 대혈식 주거(袋穴式住居), 수혈주거, 반혈거식 주거(半穴居式住居), 지상목조주거(地上木造住居)가 있다. 중국 대륙에서는 BC 12세기 후반에 이미 국가의 형태가 갖추어졌으며 주(周:BC 12~8세기)나라 때 중국건축에서 평면구성의 기본으로 되어온 4합원(四合院) 평면이 완성되었다.
〈주례 周禮〉의 고공기(考工記)에 의하면 정방형의 왕성을 중심으로 중심축선 좌우에 대칭되는 궁전·종묘·사직단을 만들었으며, 많은 사대부들의 저택도 계획성 있게 건설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을 최초로 통일한 진(秦)과 이를 기반으로 한 한대(漢代)의 주거건축은 비약적인 발달과 함께 한반도의 건축문화에도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귀족들은 대규모 저택과 자연을 모방한 원림건축(園林建築)을 건설했으며, 이것은 당대(唐代)까지 계속 발전되었다. 10세기초 당이 붕괴되고 송(宋)이 통일국가를 수립했다.
송나라 때 이성(李誠)이 저술한 〈영조법식 營造法式〉은 건축기법·공사비 등에 관한 기초적인 설계자료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격자문을 발전시켜 고정연자창(固定連子窓)을 개폐가 가능하게 개량했고, 창문의 형식과 색채도 많은 진보를 보였다. 주거의 평면은 工자형 또는 王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림은 주거부분과 긴밀하게 결합시켜 일체화를 도모했다. 어느 것이나 당대의 건축과는 현저한 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명·청(明淸) 시대의 주거건축이 많이 실존해 있고 현재 그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 명·청 시대의 주택평면을 분류하면 원형·종장방형(縱長方形)·횡장방형(橫長方形)·ㄴ자형·4합원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원형 주거
소형 주거의 일종으로 몽골과 동북부지방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이것은 몽골의 파오에서 변화해온 것이라고 본다. 가장 기본적인 평면구성은 집의 면적 절반이 한국의 온돌과 유사한 갱(坑)으로 되어 있고 그 옆의 한 구석에 취사와 난방을 위한 부뚜막이 마련되어 있다.
종장방형 주거
몽골 지방의 원시적인 반혈거식 주거와 서남지방의 윈난 성[雲南省]에 있는 고상주거, 북부와 중부 일대의 한민족(漢民族)의 작은 주거, 청조(淸朝)의 침궁(寢宮) 등에서 볼 수 있다.
평면은 짧은 면을 남향에 배치하고 입구도 남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횡장방형 주거
중국의 소형 주거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다.
그 수도 많고 구조와 양식에도 변화가 많다. 건물의 길이방향을 남향으로 하고, 입구와 창도 남쪽에 설치한다. 그 규모는 경제적 조건에 따라 규모가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3개의 방이 남쪽에 배치되어 있다.
4합원형 주거
중국에서 약 2,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주택평면이다.
비교적 경제적으로 상층에 속하는 사람들의 주거로, 그 분포범위도 중국 전역에 걸쳐 있는 주택이기 때문에 규모나 내용 면에서 중국 주택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4합원형 주거의 특징은 전체적으로 볼 때 대칭형의 평면형태와 폐쇄적인 외관을 들 수 있다.
형식과 구조에 의해 단층의 4합원형 주거와 2층의 4합원 주거로 나눌 수 있다.
단층의 4합원형 주거평면의 형식은 대문을 중심축 선상에 놓는 것과 남동, 북서 또는 북동으로 치우쳐서 설치하는 것으로 나누고 있다. 전자는 남북과 동북 지방에 분포되어 있고 후자는 베이징[北京]을 중심으로 하여 산둥[山東]·산시[山西]·허난[河南]·산시[陝西] 등에 산재하고 있다. 2층 이상의 4합원형 주거는 1가족 1주택을 원칙으로 하지만 몇 가족 또는 10~20명의 가족이 하나의 주택에 거주하고 있다.
보통 2층이지만 푸젠 성[福建省] 방면에는 4~5층도 볼 수 있다. 이것은 정방형의 중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2층 건물이 밀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그 구조는 하부를 자연석으로 쌓고 위를 흙벽돌로 쌓아올린 것이다. 외관은 간단하고 소박하나 대문에서 중정에 들어서면 예술적인 표현에 정성이 깃든 건물이 많다. 이러한 형식은 남부지방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북부지방에는 적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건축양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