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주택 계획

다른 표기 언어

대지의 선정

주택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지가 안정되고 주변환경이 좋아야 한다.

대지선정을 잘 못하면 아무리 설계를 잘하고 건설비를 많이 들여도 만족할 만한 주거환경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주택을 신축하거나 구입할 때는 대지 주위의 현재상황과 장래성에 대해서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대지의 환경에는 교통의 편리, 상하수도, 도시 가스 등의 유무, 학교·의료시설·판매시설 등 문화시설로의 접근성 등 사회적 조건과 온도·습도·일조·통풍 등의 물리적 조건이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대지의 크기는 일조·채광·통풍 등의 조건과 적절한 외부생활공간을 가질 수 있는 면적이어야 한다.

건축관계법에는 용도지역에 따라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건폐율[建蔽率])와 건물 연면적에 대한 대지면적의 비(용적률[容積率])를 규정하고 있다. 대지를 구입할 경우, 해당대지가 관계법상 어느 지역 지구에 속해 있는가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그외에 대지와 관련하여 관계법상에는 대지면적의 최소한도, 대지와 도로와의 관계, 대지 안의 공지, 대지 안의 피난·소화에 필요한 통로, 대지면적 산정방법 등이 규정되어 있다. 대개 대지는 직4각형이며 남북방향으로 긴 것이 바람직하다. 폭에 비해 안길이가 너무 긴 세장형(細長形)은 건축공사가 어렵고, 좁은 대지의 경우 정방형은 도리어 주택의 평면구성이 쉽지 않다.

배치계획

이상적인 주택 배치를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을 주의·검토해야 한다.

첫째, 건축법에 의한 건폐율에 적합해야 한다. 둘째, 인동간격(隣棟間隔)을 충분히 고려하여 일조·통풍·채광·방화·사생활보장 등을 검토해야 한다. 셋째, 경우에 따라서는 장래 증축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차고·현관과 도로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계획해야 한다.

각 공간의 계획

주택설계의 가장 기본적인 작업은 가족 개개인의 독립성이 보장되면서 가족 전체의 삶이 조화를 이룰 수 있고 능률성을 높일 수 있도록 주거공간을 분류하여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이다.

주택의 공간구성은 기능에 따라 개인생활공간(부부침실, 어린이방, 노인방 등)·공동생활공간(거실, 식당, 응접실 등)·가사활동공간(주방, 세탁실, 가사실 등)·통로공간(현관, 복도, 계단 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거실

ⓒ JamesDeMers/Pixabay | Public Domain

침실

ⓒ TA9141985/Pixabay | Public Domain

계단

ⓒ robertprax/Pixabay | Public Domain

동선계획

건축물의 내부·외부에서 사람 또는 물건이 시간에 따라 이동하는 자취나 방향을 나타내는 선인 동선(動線)은 일상생활을 나타낸다.

동선에는 빈도·속도·하중의 3가지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주택의 내부동선은 외부조건과 배치설계에 따른 출입형태에 의해 1차적으로 결정된다. 기능에 따른 사생활·공동생활·가사노동의 동선은 서로 분리되어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동선에 혼란이 생기면 생활권의 독립성은 상실하게 된다. 동선의 요소에서 하중이 큰 가사노동의 동선은 짧게 하는 것이 좋고, 거실은 통과동선으로부터 독립시키는 것이 좋다.

그렇지 않으면 동선에 의해 내부공간이 끊어져 안정감을 잃게 되고 통로구실밖에 못하게 된다.

평면계획

주거 내의 생활공간은 요구하는 기능에 따라 각 실과의 관계를 동선으로 연결·배치시켜주어야 한다.

각 실은 동선으로 이루어지는 기능구성이 되게 크기와 모양을 정한다. 주택의 외곽평면은 가능한 한 직4각형에 가까운 형태가 좋다. 요철형(凹凸形)이 되면 지붕이 복잡해져 비가 새는 원인이 되고 공사비도 많이 든다. 좁은 주택을 유용하고 넓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의 중복사용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거실과 주방을 겸한 리빙 키친(living kitchen), 식당과 주방을 겸한 다이닝 키친(dinning kitchen), 욕실과 화장실을 겸한 유니트 배스(unit bath) 등은 좋은 예이다.

주거와 일조

태양광선이 지상의 어떤 물체에 도달하는 것을 일조(日照)라고 하는데, 충분한 일조는 건강하고 위생적인 주거환경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보건위생상 일조시간과 건물높이의 제한조건 및 채광면적에 대한 사항이 건축법으로 정해져 있다. 좋은 주거는 일조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동지 때 최소한의 일조량을 받을 수 있는 배치·평면형태·구조를 가져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1년 동안 매일 오전 9시경부터 오후 3시경까지 약 6시간의 일조시간이 있으면 이상적인데, 적어도 오전 10시경부터 오후 2시경까지 약 4시간의 일조시간은 있어야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건축양식

건축양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주택 계획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