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필자 전체항목
임정택
연세대학교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콘스탄츠 대학교에서 독문학과 매체사회학을 연구하여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8년 미디어아트연구소를 설립하여 인문학이 적대시해왔던 미디어와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끌어안으면서 인문학의 지평을 확장하는 프로젝트들을 주도해왔다. 저자가 수행한 ‘매체와 이야기의 인문학’ ‘상상력과 테크놀로지-기계와 인간의 인문학’은 모두 인문학과 타 학문과의 융합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현실에 직접 참여하고 활용될 수 있는 응용인문학을 추구한다. 이러한 그의 ‘반인문학적’ 행로는 대학교수로서보다는 위기의 인문학을 기회의 인문학으로 바꾼 지식경영.. 펼쳐보기
최근 업데이트순 표제어 목록
-
몸으로 공간을 상상하다 인간은 육체를 가지고 있으므로 공간을 인식한다. "몸은 영혼의 감옥"이라는 서양의 오래된 관념처럼 인간의 의식은 몸이라는 테두리로 둘러싸여 ..
-
상상 그 이상의 무엇 우주의 공간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넓고도 넓다. SF소설에 자주 언급되는 광년이라는 단위가 너무 헤프게 사용되어 간과할지도 모르지만, 광년..
-
인간의 공간 상상 희망의 철학자 에른스트 블로흐의 사상적 기반에는 각 유기체가 자신의 현실로부터 자신의 가능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부단히 움직이고 있다는 생각이..
-
절망으로부터 상상된 공간 현대는 유토피아라는 말이 남발되는 사회이다. 우리는 도처에서, 유토피아가 존재하고 있음을 인식하라는 강요를 받고 있다. 그 어디서도 찾아볼 ..
-
하늘을 나는 집에 대한 상상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걸리면 걸린다는 '걸리버' 광고를 기억할 것이다. 걸리버가 소인국 사람들에게 그들만 한 크기의 핸드폰을 보여주는 장면이..
-
상대적 시간의 개념 시간이 상대적이며 주관적인 것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왠지 우리를 옭아매왔던 시간으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워진 느낌이 들지 않는가? 사실 우리의..
-
2440년 시간 여행 우리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날개를 달고 태양까지 날아간 이카로스 이야기나 날개 달린 신발을 신고 날아다닌 헤르메스의 이야기를 황당무계하다..
-
왜 인간은 시간을 발명했을까 인간중심주의적 억측일지도 모르겠으나, 하이데거는 인간만이 자신의 존재에 대해 고민하는 존재자라고 말했다. 그가 보기에 인간만이 자신이 언젠가..
-
과거 · 현재 · 미래를 사는 인간 하이데거는 시간이야말로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 시간은 숫자로 표상되는 근대적 시간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을 언젠가 반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