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호박
    박과에 속하는 덩굴성 1년생 초본식물.|내용 학명은 Cucurbita moschata DUCHESNE 이다. 널리 재배되고 있는 식물로 덩굴은 단면이 5각형이고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자라지만, 개량된 것은 덩굴성이 아닌 것도 있다. 잎은 어긋나고 엽병(葉柄)이 길며 심장형 또는 신장형이고 가장자리가 5개로 얕...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식물
  • 호박 pumpkin
    쌍떡잎식물강에 속하는 속씨식물. 미국에서는 호박과 스쿼시로 나누는데, 스쿼시는 빨리 자라고 작은 열매를 맺으며 덩굴이 뻗지 않는 변종인 반면 호박은 생장기간이 길고 덩굴이 길게 뻗으며 큰 열매를 맺는 변종이다. 열매의 무게는 보통 4~8kg이며 색은 노란색, 오렌지색 등으로 다양하고 모양 역시 편구형에서 구형...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원산지 :
    남아메리카, 아시아
    학명 :
    Cucurbita moschata Duchesne
    꽃말 :
    해독
    용도 :
    볶음, 찜, 전, 죽 용
  • 호박 형편없는 채소 vs 마법의 작물
    한국인은 알게 모르게 호박을 잘 먹는다. 일본이나 중국과 비교해봐도 우리나라 호박 요리가 훨씬 다양하다. 호박볶음에서부터 호박전, 호박조림, 호박찌개, 호박나물, 호박죽, 호박고지, 호박떡, 호박엿에 이르기까지 얼핏 떠오르는 종류만 해도 손으로 다 꼽기 힘들 정도다. 애호박은 애호박대로, 늙은 호박은 늙은 ...
    분류 :
    채소류
  • 호박
    호박은 흔히 알고 있는 애호박, 쥬키니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외에도 국수호박, 땅콩호박, 밤호박 등 새로운 품종의 개발로 인해 종류 및 활용도가 더욱 확대되고 있으며, 호박을 말린 호박고지나 호박씨 등에 대한 활용도도 높아지고 있다.|생산 원산지 : 충남 부여, 충북 청주, 전남 해남, 강원 화천/홍천, 경남 진...
    분류 :
    농산물 〉 채소류 〉 과채류
    원산지 :
    충남 부여, 충북 청주, 전남 해남, 강원 화천/홍천, 경남 진주/의령/고성 등(대부분 전국 재배)
    생산시기 :
    [노지] 6~10월, [시설] 상시 생산
    생산량 :
    [노지] : 평년 169,323톤, 2012년 190,725톤, 2013년 195,144톤, [시설] 평년 145, 835톤, 2012년 134,388톤, 2013년 128,220톤
    가공식품 :
    호박 수프, 단호박 가루 등
  • 호박 남과, pumpkin
    잎 어긋나고 둥근 심장형 또는 둥근 신장형인데 손바닥 모양으로 얕게 5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맥을 따라 흰 반점이 있는 것이 많다. 잎자루는 길다. 꽃 6월부터 서리가 내릴 때까지 종 모양의 짙은 황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려 핀다. 암수한그루의 단성화이다. 꽃은 대개 이른 아침에 핀다. ...
    학명 :
    Cucurbita moschat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밭에 재배
    번식 :
    약효 부위 :
    씨·열매·잎
    생약명 :
    번포(番蒲)
    키 :
    길이 10∼15m
    과 :
    박과
    생활사 :
    한해살이 덩굴풀
    채취기간 :
    7∼10월
    취급요령 :
    날것으로 쓴다.
    특징 :
    따뜻하며, 달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적당량
    주의사항 :
    많이 먹거나 오래 먹어도 무방하다.
  • 호박
    분포지역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덩굴성 한해살이풀 잎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 또는 콩팥모양 또는 콩팥모양이고 가장자리가 5개로 얕게 갈라지며 열편에 톱니가 있다. 꽃 꽃은 1가화로서 6월부터 서리가 내릴 때까지 계속 피고 황색이며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고 수꽃은 꽃대가 길며 꽃받침통...
    분류 :
    박목 > 박과 > 호박속
    꽃색 :
    노란색
    학명 :
    Cucurbita moschata Duchesne
    개화기 :
    7월, 6월, 9월, 8월, 10월
  • 호박 琥珀, amber
    땅에 매몰된 후 휘발성분이 증발하고 화학조성이 변해 안정한 상태에 도달한 나무 수지 화석.|전세계적으로 발견되지만, 가장 크고 중요한 광상은 발트 해의 해안을 따라 4,000~6,000만 년 된 모래 형태로 산출된다. 호박은 오렌지색·갈색, 드물게는 적색의 음영을 가지는 여러 가지 황색조의 불규칙한 단괴, 막대 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호박 琥珀
    황색의 광택을 내는 보석.|내용 고대의 수지(樹脂)가 석회화한 광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지방광택을 내며, 밀황색·납황색·적갈색을 나타낸다. 퇴적암 속에서 발견되며 탄층에 수반되는 일이 많은데, 특히 속에 벌레가 들어 있는 것은 값이 비싸다. 굳기는 2.0∼2.5, 비중은 1.0∼1.1로서 보석 중에서는 무른 편에 ...
    성격 :
    광물, 보석
    유형 :
    물품
    용도 :
    장식
    분야 :
    생활/의생활
  • 호박 南瓜, pumpkin
    원산지 호박(pumpkin)은 북아메리카 멕시코가 원산지로 추정된다. 고려대 김기중 교수는 '호박 속은 박과의 다른 재배 작물과는 달리 모두 열대 및 아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주로 재배되는 3종 중 애호박(Cucurbita pepo)은 멕시코 북부 및 미국 남서부 지역이 원산지로 아열대성-온대성이며, ...
    분류 :
    박과(Cucurbitaceae)
    원산지 :
    북아메리카 멕시코(추정)
    학명 :
    Cucurbita moschata Duchesne이명 : Cucurbita pepo Linnaeus var. moschata (Duchesne) Duchesne
    활용부위 :
    식용 : 열매약용 : 열매껍질, 꽃, 잎, 덩굴
    외국어명 :
    squash〈영어〉, zucca moscata〈이탈리아어〉, calabaza moscada〈스페인어〉, kalabasa〈필리핀어〉, fak thong(팍텅)〈타이어〉, labu kuning〈인도네시아어〉, labu kuning〈말레이어〉, カボチャ(가보챠)〈일본어〉
  • 호박
    생물학적 특징 일년생 덩굴식물 잎은 호생, 심장형 또는 신장형, 5개로 천열, 거치연 꽃은 일가화, 6월~서리가 내릴 때까지 황색 개화 열매는 변종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빛깔을 가짐 종자는 다수, 편평 용도 약용 : (종자) 살충작용이 있다. (줄기) 미열, 복통, 생리불순에 효과가 있다. (꼭지) 종기, 화상, 구내염에 ...
    분류 :
    박과(Cucurbitaceae)
    학명 :
    Cucurbita moschata Duchesne
    본초명 :
    남과자(南瓜子)
    분포지역 :
    외래식물(열대아시아 원산)
  • 호박 琥珀
    호박은 송백과 식물의 화적으로 광물성보다는 식물성에 가까우며, 색은 황색을 나타내는데 그 안에 적색·백색·갈색을 띨 때도 있다. 갈고 다듬어서 옥으로 사용하였다. ② 경휴직(經畦織)으로 제직된 직물이다. 경에 제연사(諸撚絲) 또는 편연사(片撚絲)를 쓰고 위에 편연사를 수본씩 직입한 것이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amber 앰버 호박, 琥珀
    C10H16O 또는 C40H64O4 수지(樹脂)의 화석. 열을 가하면 분해되어 숙신산이 생긴다. 중생대 또는 신생대 지층에서 주로 생산되며 발트해 연안의 제3기층(칼리닌그라드 부근)이 가장 유명한 산지로 알려져 있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28건

호박
호박
호박
호박
호박
호박
호박
호박
호박
호박
호박
호박
호박
호박
호박
호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