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르메니아어 Armenian language
    인도유럽어족(語族) 서부 어군의 한 독립된 갈래의 언어.|터키 아르메니아인과 아르메니아의 아르메니아인의 모국어이며, 소련의 다른 지역에 사는 사람들도 이 말을 쓴다. 아르메니아 이주민들과 피난민들이 소아시아와 중동의 전역뿐만 아니라 루마니아·폴란드·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국가들과 미국으로까지 퍼져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아르메니아어 (관련어 아르메니아 어) Armenian language, アルメニア語
    아르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의 언어인 동시에 아르메니아의 공용어이다. 아르메니아 문자를 사용한다. 프랑스의 언어학자 앙투안 메이예의 지적에 따르면, 아르메니아어는 그리스어와 어원적으로 병행한 유사성을 많이 지니고 있다. 역사적으로 이 언어는 다수의 어휘를 페르시아어(이란), 그리스어(6세기), 오스만 터...
    도서 위키백과
  • Armenian language 아르메니아어, アルメニア語
    The Armenian language is an Indo-European language spoken by the Armenians. It is the official language of the Republic of Armenia and the self-proclaimed Nagorno-Karabakh Republic. It has historically been spoken throughout the Armenian Highlands and today is widely spoken in the Armenian diaspo...
  • 구약성서의 초기 역본
    그중 하나가 콥트어 성서이다. 3세기말 4세기초에 번역된 것으로 보이며, 번역 대본은 그리스어 성서이다. 부분적으로는 고대 라틴어 역본과 유사성도 보인다. 아르메니아어 역본 5세기초까지 아르메니아 민족 교회는 그동안 문학과 예배 의식에서 그리스어와 시리아어를 함께 사용해왔으나, 성 메스로프(361~439)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고전 아르메니아어 Classical Armenian, 古典アルメニア語
    언어 정보 고전 아르메니아어는 가장 오래된 형태의 아르메니아어이다. 5세기 초반의 기록부터 시작하여 18세기까지 사용되었다. 고대 그리스어, 페르시아어, 히브리어, 시리아어, 라틴어와 같은 많은 고대 언어 중에서 명맥을 이어 나갔다. 고대 아르메니아어는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서 사용되는 전례언어이며 성경...
    도서 위키백과
  • 아르메니아어 위키백과 Armenian Wikipedia, アルメニア語版ウィキ..
    아르메니아어 위키백과는 아르메니아어로 운영되는 위키백과 언어판이다. 2005년 3월 22일에 시작되었다. 기호는 hy이다. 위키백과 목록 아르메니아어 위키백과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아르메니아 문자 Armenian alphabet
    성직자인 성 사하크와 그리스인 루파노스의 도움을 받아 만들었다고 한다. 성 사하크는 번역가 양성 학교를 세웠고, 이 새로운 문자를 이용하여 성서를 아르메니아어로 번역하게 했다. 아르메니아 문자로 씌어진 문헌 가운데 지금까지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것은 9세기와 10세기의 것이다. 아르메니아 문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아르메니아 문학 Armenian literature
    성 메스로브가 번역가 학교를 만들었고, 이 번역가들이 에데사와 콘스탄티노플로 파견되어 고대 시리아어와 그리스어로 된 중요 작품들의 사본을 구해 아르메니아어로 번역했다고 한다. 아르메니아 문학의 황금기인 5세기 문학활동의 대부분은 이러한 작업이었다. 그러나 에기셰와 파르프의 가자르가 쓴 역사서 등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메스로프 Saint Mesrob
    아르메니아 축일은 2월 19일. 수사·신학자·언어학자. 아르메니아어 및 같은 계통의 카프카스어 문법체계를 세우고, 이들 언어로 성서를 번역해 아르메니아 그리스도교 문학의 황금기를 가져왔다(→ 아르메니아 문자, 아르메니아 문학). 총대주교 네르세스 1세(365~373경 재위)와 함께 고전어를 공부한 뒤 395년경에...
    출생 :
    350경, 아르메니아 하치크
    사망 :
    439/440
    국적 :
    아르메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신약성서 초기의 번역본
    본문 형태를 반영한다. 드물게 서방 본문 형태도 발견된다. 고트어 역은 4세기에 선교사 울필라스가 비잔틴 본문형태를 대본으로 하여 번역한 것이다. 5세기의 아르메니아어 역은 시리아어 역에서 거듭 번역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리스어 본문에서 번역되었을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아르메니아어 역본이 4~5세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메키타르회 Mechitarists
    아르메니아 학원은 곧 아르메니아 학문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학원은 1843년 과학과 문학을 다루는 잡지 〈파즈마베프 Pazmaveb〉를 냈고, 최초로 아르메니아어 사전편찬작업을 시작했으며(1836), 여러 고전과 학문적 저작들을 아르메니아어로 출판했다. 베네치아 지회는 출판사, 5개의 수도원, 2개의 대학, 4개의 중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메예 Antoine Meillet
    1891년에 파리의 고등학술연구소에서 인도유럽어족의 비교연구분과의 책임자가 되었고, 1902년부터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로 임명된 1906년까지 아르메니아어를 가르쳤다. 1903년에 펴낸 대표작으로 널리 알려진 〈인도유럽어 비교연구 개론 Introduction à l'étude comparative des langues indo-#128péennes〉에서...
    출생 :
    1866. 11. 11, 프랑스 물랭
    사망 :
    1936. 9. 21, 샤토메양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아르메니아어(Armenian language)
아르메니아어(Armenian language)
아르메니아어 춤(Armenian danc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