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르메니아어

다른 표기 언어 Armenian language

요약 인도유럽어족(語族) 서부 어군의 한 독립된 갈래의 언어.

아르메니아어(Armenian language)

인도유럽어족(語族) 서부 어군의 한 독립된 갈래의 언어, 5-6 세기 아르메니아어 원고

ⓒ Bogomolov.PL / wikipedia | Public Domain

터키 아르메니아인과 아르메니아의 아르메니아인의 모국어이며, 소련의 다른 지역에 사는 사람들도 이 말을 쓴다.

아르메니아 이주민들과 피난민들이 소아시아와 중동의 전역뿐만 아니라 루마니아·폴란드·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국가들과 미국으로까지 퍼져나가면서 그들의 모국어를 사용했다. 발칸 제국의 북부에서 온 침략자들이 BC 2000년 후반경에 처음으로 아르메니아어를 트랜스카프카스 지역에 소개했다. 이 침략자들은 반 호수 연안 지역을 정복했으며, BC 7세기 무렵에는 아르메니아어가 원주민의 말을 대신하게 되었다.

4세기초 아르메니아어가 문어로 정착하게 되었는데, 성 메스로프(매슈토츠) 주교가 401년경에 고안했다고 전해지는 38개의 자모는 전세계에 있는 아르메니아인에 의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아르메니아 문화의 황금기인 5세기 문어인 그라바르어는 반 호수의 타론 방언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한다. 5~8세기의 문학에 쓰인 말은 동류의 것이었으나 9세기 무렵에는 구어 방언들의 영향이 두드러졌다. 그라바르어의 가장 잘 알려진 중세 아르메니아어는 실리시아에 있던 아르메니아 왕국에서 12~13세기에 쓰인 궁중언어이다.

어느 정도 전와(轉訛)된 그라바르 말이 19세기 중엽까지 문어로 계속 사용되었다.

1800년대 아르메니아의 민족주의자들은 민족주의 사상을 대중에게 전파하려고 했다. 이러한 민족부흥운동의 결과로 구어에 더욱 가까운 새로운 문어가 나왔다. 이 문어는 2가지 변이형이 있는데, 지금의 아르메니아 공용어인 동(東)아르메니아어는 아라라트 골짜기와 예레반 시의 방언에 바탕을 두고 있고, 서(西)아르메니아어는 이스탄불 방면에 그 토대를 두고 있다.

근대 아르메니아어의 이 두 문어 사이에는 차이점이 거의 없어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이밖에도 많은 수의 방언이 있으며, 이중에는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로 차이가 심한 것도 있다.

19세기에는 아르메니아어가 이란어의 한 방언으로 생각되었으나 계속된 연구로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독립된 언어임이 밝혀졌다. 아르메니아어의 음운 발달은 인도유럽 조어(祖語)의 음성체계를 크게 바꾸어 놓았는데, 특히 폐쇄자음의 체계가 재구성되었다. 중부 아르메니아 방언에서는 폐쇄음이 나타나는데, 변방 방언에서는 둘로 줄어든 것이 특징이다.

모든 아르메니아 방언에서는 2종류의 'r'가 구별되는데, 하나는 심하게 진동하는 'r'소리이고 또 하나는 진동이 약한 'r'소리이다. 또한 고대 아르메니아어에는 2종류의 'l'이 나타나는데, 하나는 중성음이고 또 하나는 혀뿌리부분을 구강 뒷부분의 연구개 쪽으로 움직여 소리내는 연구개음 소리이다.

구어 방언과 2개의 문어에서는 꽤 복잡한 명사의 어형변화 체계가 있다.

고대 아르메니아어 동사체계 변화의 특징은 대체로 완곡표현이 단순 현재시제형을 대신한다는 점이다. 조동사를 비롯한 낱말의 무리가 시제나 그밖의 문법적 자질을 나타내기 위해 활용되는 하나의 낱말을 대신한다. 방언들은 이러한 완곡표현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 분류된다. 고대 아르메니아어와 근대 아르메니아어에서 주요시제는 현재시제와 행동의 완료나 계속에 대한 언급이 없는 부정 과거시제와 완곡어법을 쓰는 완료시제로 구분된다.

고전 아르메니아어에 여전히 남아 있는 고형 주격은 근대 언어에는 없다.

고대 아르메니아어는 미래시제를 표현하기 위해 주격 형태를 사용했지만, 근대 아르메니아어는 영어에서 미래시제를 표현하는 문장인 'I shall go'와 'he will work'처럼 완곡표현을 사용한다. 근대 아르메니아어의 또다른 특징은 동사의 수동형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점과 영어 'I read'와 'I don't read'처럼 부정활용에서 동사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이다. 고대 아르메니아어가 여러 부분에서 고대 그리스어와 가까운 반면, 근대 아르메니아어는 유형론적으로 터키어에 더욱 가깝다.

문어의 어휘는 순수한 아르메니아어로만 이루어지며, 대부분 그라바르의 어휘에 바탕을 두고 있고 이웃 언어들에서 온 차용어는 매우 드물다.

아르메니아어(Armenian language)

아르메니아어 도로 표지판

ⓒ Benoît Prieur / wikipedia | CC BY-SA 4.0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언어 일반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아르메니아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