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르메니아 문학

다른 표기 언어 Armenian literature

요약 아르메니아어로 씌어진 문학작품.

아르메니아 문학(Armenian literature)

아르메니아어로 기재된 마가복음

ⓒ Walden69 / wikipedia | Public Domain

5세기에 아르메니아 문자가 생기기 전에도 아르메니아에 이교도의 구전 문학이 있었다는 증거가 있으나 초기 그리스도교 성직자들의 극성 때문에 남아 있는 것이 거의 없다.

아르메니아인들은 300년경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뒤에도 약 1세기 동안 그리스어와 고대 시리아어로 씌어진 성서나 다른 종교 서적들을 사용해야 했다. 평민들은 이러한 언어를 이해할 수 없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으로 401년경 성 메스로프(마시토츠)가 아르메니아 문자를 만들었다. 성 사하크(이사크) 아르메니아 교회 총주교와 성 메스로브가 번역가 학교를 만들었고, 이 번역가들이 에데사와 콘스탄티노플로 파견되어 고대 시리아어와 그리스어로 된 중요 작품들의 사본을 구해 아르메니아어로 번역했다고 한다.

아르메니아 문학의 황금기인 5세기 문학활동의 대부분은 이러한 작업이었다.

그러나 에기셰와 파르프의 가자르가 쓴 역사서 등의 창작품도 나왔다. 아르메니아 고전문학에서 손꼽는 걸작은 에즈니크 코그바치가 쓴 〈교파들의 반박 Refutation of the Sects〉이다. 이 논란 많은 작품은 부분적으로 그리스 자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르메니아 이교도들의 미신, 이란의 이원론, 그리스 철학, 마르치온 이단에 대항해 정통 그리스도교 신앙을 옹호하는 등의 내용으로, 비그리스도교적 실상에 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글의 순수한 고전 문체는 아르메니아 문학에서 견줄 것이 없을 만큼 뛰어나다. 성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와 알렉산드리아의 성 키릴루스의 작품을 번역하는 작업은 6~8세기에도 계속되었다. 이른바 헬레니즘 학교, 즉 유나반 학교에서는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알렉산드리아의 필로 작품을 포함해 그리스 문법·신학·철학 작품을 지나치게 많이 독창성 없이 그대로 번역하여 내놓았다.

10~11세기 아르메니아의 독립 바그라티드 왕국, 바스푸라칸의 아르츠루니·시우니크 왕국이 융성하게 되자 아르메니아의 문학·예술·건축은 5세기 이후 그 어느 때보다 더 자유롭게 꽃을 피웠다.

10세기에 으뜸 가는 문학적 인물로는 최초의 위대한 아르메니아 시인인 성 그레고리우스 나레카치를 들 수 있다. 그는 신비주의적 시와 찬송가뿐만 아니라 〈아가 주해 Commentary on the Song on Songs〉 같은 산문 작품으로 유명하다. 그와 같은 세기에 더 일찍이 토브마 아르츠루니가 〈아르츠루니 왕가의 역사 History of the House of Artsruni〉를 썼는데 이 글은 그 가문에 대한 편견이 배어 있지만 936년까지의 아르메니아 역사에 관한 주요자료 역할을 한다.

이름을 알 수 없는 한 작가가 이 글을 계속 써나가 1121년까지의 역사가 덧붙여졌다. 요한네스 6세 드라스하나케르치 총주교가 쓴 〈아르메니아 역사 History of Armenia〉는 아르메니아와 아랍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으며, 작가 자신도 책에 기술된 후기 사건에 참여했던 주요인물이므로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된다.

10세기에서 11세기로 접어들 무렵 우흐타네스 주교가 〈아르메니아 역사〉·〈조지아인과 아르메니아인의 분열의 역사 History of the Schism between the Georgians and Armenians〉를 썼다. 11세기 벽두에 스테파노스 아소기크가 완성한 〈보편 역사 Universal History〉는 믿을 만한 잘 씌어진 책이다. 아리스타케스 라스티베르치가 쓴 〈아르메니아 역사〉는 바그라티드 왕국의 몰락(1045)과 아니의 파괴(1064), 셀주크인의 승리를 다룬 책으로 역사서이면서도 산문 비가(悲歌)라 할 수 있다.

1100년경 대(大)아르메니아가 정치적으로 몰락하고 그 결과 문화 중심지가 남쪽의 소(小)아르메니아(실리시아)로 옮겨진 이후 문학은 서부와 동부 계열로 나뉘어 발달하기 시작했다.

이 두 지역의 문학은 고어뿐 아니라 구어로도 쓰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1375년 맘루크의 침략과 1385년 티무르의 침략으로 오랫동안 문화적·문학적 침체기를 겪었다.

17세기 아르메니아인들은 그때까지의 문화적 침체를 벗어나는 움직임을 보였다. 타브리스의 아라켈, 자카리아 부제(副祭), 예레미아 첼레비 쾨뮈르지안이 쓴 역사에서는 투르크와 페르시아 대군주들의 업적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서양 학자들과의 접촉도 있었고 라틴어로 씌어진 작품도 몇 편 있었다.

1614년 에스파한에 새롭게 설립된 교역 식민지 신(新)줄파에서 태어난 예레반의 오스칸은 도미니쿠스회의 피란델리와 함께 1666년 암스테르담에서 최초의 아르메니아어 성서를 인쇄했다. 상상력이 발휘된 글은 13세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인기있는 음유시인들이 이런 글을 계속 써냈고, 이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이들은 드물게 육체적 사랑을 노래한 아르메니아의 시인 나하페트 쿠차크(16세기)와 호브나탄 나가슈(1661~1722) 및 다음 세기에 가장 유명하며 사야트 노바라고 불리던 아루틴 사야디안이다.

사야트 노바(Sayat-Nova)

노바의 250주년 스탬프

ⓒ Yerevanci / wikipedia | Public Domain

18세기 아르메니아는 문화적·지적 문예부흥의 시기를 맞았다.

19세기 중엽은 근대 아르메니아 문학이 발달할 만한 기운이 무르익은 시기였다. 그러나 아르메니아어는 혼란스런 상태에 있었으며 새로운 사상을 전달할 수단으로 어떤 언어를 선택할 것인지를 놓고 고어 옹호자들과 근대적 구어 옹호자들 사이에 논란이 벌어졌고, 이런 논쟁은 투르크령 아르메니아와 러시아령 아르메니아 모두에서 벌어졌다. 결국 근대 구어가 우세함에 따라서 동부 문학은 예레반 방언(rusahayeren)을 수정한 형태로 씌어졌고 서부 문학은 이스탄불 방언(dachgahayeren)을 수정한 형태로 씌어졌다.

아르메니아 작가들은 어떤 본보기나 이상형을 얻으려는 목적으로 유럽을 바라보았다. 서부계열 작가들 가운데 하코브 파로니안과 에르반드 오티안은 뛰어난 풍자 소설가이고 그리고르 조흐브는 사실주의적인 단편소설을 썼다. 가장 대표적인 희곡작가는 역시 파로니안이며, 〈지참금 The Dowry〉·〈거장 발타자르 Master Balthazar〉·〈동방의 치과의사 The Oriental Dentist〉 같은 그의 희극들은 아직도 인기를 누리고 있다.

장편소설은 서부계열 문학에서는 빈약한 장르이나, 러시아령 아르메니아에서는 매우 발달하여 아르메니아인들의 도덕적·사회적·정치적 야망을 전달하는 도구가 되었다.

'근대 아르메니아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하차투르 아보베안은 1841년에 〈아르메니아의 상처 Wounds of Armenia〉를 썼다. 가장 유명한 아르메니아 소설가는 하코브 멜리크하코비안, 즉 라피였다. 동부계열의 시인 가운데 호브한네스 투마니안은 서정시와 이야기시로 유명하며 전통이 되어버린 노래들로 가득 찬 그의 명작 단편 서사시 〈아누슈 Anush〉는 일찍이 오페라로 각색되었다.

라피(Raffi)

아르메니아의 소설가.

ⓒ Taron Saharyan~commonswiki / wikipedia | Public Domain

가장 뛰어난 아르메니아 극작가는 가브리엘 순두키안으로 그의 희극 〈소란 Hullabaloo〉·〈참외 Pepo〉·〈부서진 화로 The Broken Hearth〉 등에는 당시 트빌리시의 아르메니아 사회가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이 작품들 가운데 대부분이 트빌리시 방언으로 씌어졌다.

20세기초에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이후 이스탄불 중심의 서부계열 아르메니아 문학은 급격히 쇠퇴했다.

아르메니아인들은 파리·베이루트·보스턴 등지의 해외에 흩어져서도 계속 창작활동을 했으나 서부계열 문학의 쇠퇴로 말미암아 아르메니아 문학은 다시금 침체기를 맞았다. 투르크령 아르메니아인 가운데 일부가 동쪽으로 달아나 어느 정도의 자유를 누리게 되었다. 또한 이곳에서는 1936년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건설되어 국민 문학이 고무되었으나 국가의 규제를 받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아르메니아 문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