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문학 조회순 목록
-
서시 (序詩) 윤동주(尹東柱)가 지은 시. 윤동주(尹東柱)가 지은 시. 1941년 11월 20일에 창작되었고 그의 유고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詩)..
-
프롤로그와 에필로그 (prologue and epilogue) 연극이나 드라마 등에서 시작하는 장과 끝나는 장. 고대 그리스의 '프롤로고스'(prologos)는 실제로는 해설적 기능을 하는 1막을 대신했..
-
부사 (어찌씨, adverb) 용언이나 다른 말 앞에 놓여 그 말의 뜻을 제한해주는 품사로 관형사와 함께 수식언에 속한다. 부사는 때때로 부사나 관형사, 명사를 수식하는 ..
-
하여가 (何如歌) 고려 말에 이방원(李芳遠)이 지은 시조. 1수. 이방원은 조선 건국에 공이 큰 태종으로, 이 작품은 반대당인 정몽주(鄭夢周)의 진심을 떠보고..
-
형용사 (그림씨, adjective) 어떤 단어가 성질이나 상태의 의미를 가진다고 해서 모두 형용사인 것은 아니다. 형용사는 ‘무엇이 어떠하다’의 ‘어떠하다’ 자리를 채울 수 있..
-
청산별곡 (靑山別曲)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모두 8연으로 『악장가사(樂章歌詞)』에 전문이 실려 전하고, 『시..
-
별 헤는 밤 윤동주(尹東柱)가 지은 시. 10연 30행의 자유시이다. 1941년 11월 5일 지은 유작으로 친구 정병욱과 아우 윤일주가 1948년 정리한..
-
토지 (土地) 박경리(朴景利)가 지은 장편소설. 박경리(朴景利)가 지은 장편소설. 1969년부터 집필에 들어가 1994년에 전 5부 16권으로 완간한 대하..
-
에필로그 (후일담, Epilogue) 책이나 연극의 마지막 끝맺음 부분 프롤로그(Prologue, 서막)에 대응하는 말로, 희곡에서는 극의 끝에 덧붙인 마지막 대사나 장면을 말한..
-
오성과 한음설화 (鰲城─漢陰說話) 오성 이항복(李恒福)과 한음 이덕형(李德馨)에 관한 설화. 오성과 한음은 조선 선조 때 명신으로, 어려서부터 친구로 지내면서 장난이 심하고 ..
-
헤르만 헤세 (Hermann Hesse) 성장에 대한 통렬한 성찰과 인간의 내면에 공존하는 양면성을 다룬 작품을 선보였으며, 동양의 철학 사상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1946년 노..
-
진달래꽃 (진달내ᄭᅩᆺ) 「진달래꽃」은 1922년 7월 『개벽』에 처음 발표한 김소월의 시이다. 1920년대 민요시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시집 『진달래꽃』에 수록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