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르메니아인 Armenian
    터키에는 소수가 있을 뿐이고, 대부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조지아·카프카스 지방과 중동에 산다. 인도유럽계에 속하는 아르메니아인들은 자신들을 하이크라고 부르며 자신들의 나라는 하야스탄이라고 한다. 아르메니아인들은 로마 가톨릭교의 한 분파인 단성론파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의 신자들이다. 20세기초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종/민족
  • 아르메니아인 Armenians, アルメニア人
    아르메니아인은 아르메니아고원의 토착 민족이자, 아르메니아의 주요 민족 및 그 혈통으로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아르메니아어를 사용한다. 고대에 국가를 건설했으며, 1세기경에 예수의 사도인 바르톨로메오와 유다 타대오가 아르메니아에 기독교를 전파하였다. 301년, 세계에서는 처음으로 기독교를 공식 종교(국교)...
    도서 위키백과
  • 레온 5세 아르메니아인 레오, Leo V
    비잔티움 제국의 제2차 성상파괴(聖像破壞) 시대를 열었다(→ 성상파괴논쟁). 803년 바르다니스 투르코스와 니케포루스 1세가 비잔티움 제위를 놓고 싸울 때 바르다네스 편을 들었으나 뒤에 니케포루스 쪽으로 돌아섰다. 니케포루스 1세와 미카일 1세 밑에서 장군으로 일하면서 두각을 나타내 제국 아나톨리콘 지역의...
    출생 :
    ?, 아르메니아
    사망 :
    820. 12. 25, 콘스탄티노플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아르메니아 학살 Armenian massacres
    96년 술탄 아브뒬하미드와 1915년 청년 튀르크당에 의해 2차례 벌어졌다. 1880년대말 오스만 제국에는 약 250만 명의 그리스도교도 아르메니아인들이 살고 있었다. 동부 지방의 아르메니아인들은 러시아의 독려를 받아 지역 자치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이 운동이 확산됨에 따라 여러 정치집단이 조직되고 마침내 1887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 Armenian genocide, アルメニア人虐殺
    집단학살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오스만 제국 또는 튀르키예 정부가 오스만 제국의 영토에 거주했던 소수 민족이자 변두리 지역에 거주하던 기독교계 아르메니아인을 집단적으로 살해한 사건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튀르키예 정부의 아르메니아인 강제 이주가 시행되면서 수많은...
    도서 위키백과
  • 러시아계 아르메니아인 Russians in Armenia
    아르메니아어:Ռուսները Հայաստանում)은 아르메니아에 거주하는 러시아인으로 인구는 11,911명(2011년)으로 전체의 0.39%를 자치한다 이전에는 러시아계 아르메니아인의 인구가 더 많았지만 1988년 아르메니아 지진, 1991년 소련붕괴,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과 터키와 아제르바이잔의 봉쇄 및 그에 따른 급격한 경제침체...
    도서 위키백과
  • 아르메니아계 아제르바이잔인 Armenians in Azerbaijan
    아르메니아계 아제르바이잔인은 아제르바이잔에 거주하는 아르메니아인 또는 아르메니아계 후손들이다. 통계에 따르면 1988년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지 약 50만 명의 아르메니아인이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거주했다. 그러나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분쟁의 결과인 제1차...
    도서 위키백과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아르메니아 총대주교청 Surp Asdvadzadzin Patriarch..
    기독교 교회체 정보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아르메니아 총대주교는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의 두 총대주교 중 하나이다. 터키에서는 '이스탄불의 아르메니아 총대주교'라 칭한다. 현 총대주교는 메스롭 2세이며 총대주교좌는 이스탄불 파티흐구의 쿰카프에 설치되어 있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이후 1461년 호바킴...
    도서 위키백과
  •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공화국, Armenia
    으로, 독립국가연합(CIS)을 구성한 공화국의 하나이다. 면적은 2만 9743㎢, 인구는 305만 6382명(2015년 현재), 수도는 예레반(Yerevan)이다. 주민은 아르메니아인 97.9%, 쿠르드인 1.3%, 러시아인 0.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용어는 아르메니아어이며, 종교는 아르메니아정교 94.%, 기독교 4%, 조로아스터교 등...
    시대 :
    현대
    위치 :
    아시아 서부 러시아 남부
    수도 :
    예레반
    성격 :
    국가
    유형 :
    지명/국가
    면적 :
    2만 9743㎢
    언어 :
    아르메니아어, 러시아어
    정부/의회형태 :
    대통령 중심제, 공화제, 단원제
    종교 :
    아르메니아정교, 기독교, 조로아스타교
    분야 :
    정치·법제/외교
  • 아르메니아 문학 Armenian literature
    문자가 생기기 전에도 아르메니아에 이교도의 구전 문학이 있었다는 증거가 있으나 초기 그리스도교 성직자들의 극성 때문에 남아 있는 것이 거의 없다. 아르메니아인들은 300년경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뒤에도 약 1세기 동안 그리스어와 고대 시리아어로 씌어진 성서나 다른 종교 서적들을 사용해야 했다. 평민들은 이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아르메니아의 역사
    동맹국이던 아시리아가 바빌로니아와 메디아에 정복되자 그 여파로 스키타이인과 킴메리인에게 정복되었던 고대왕국이다. 스스로를 하이크인이라 부르던 아르메니아인들이 이주해왔을 때 우라르투의 발달된 농업기술은 아르메니아인들에게 특히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새로 이주해온 아르메니아인들은 곧...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 Armenian Catholic Church
    아르메니아인들은 300년경 그리스도교를 받아들이기 시작했고, 민족 단위로 그리스도교를 받아들인 최초의 민족이었다. 칼케돈 공의회(451) 이후 약 50년이 지난 뒤 아르메니아인들은 이 공의회의 그리스도론 결정을 반박하고, 근본적으로 동방정교회의 교리적 신념들을 지지하는 아르메니아 사도(정)교회의 교도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아르메니아인(Armenian)의 전세계 분포도
더보기